해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9번째 줄: 9번째 줄:
  
 
==종류==
 
==종류==
해커의 종류는 해커의 성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해커의 종류는 해커의 성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 '''화이트 해커(white hacker)'''
 
 
: 합법적이거나 보안 쪽에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을 화이트 해커 또는 화이트햇 해커(white-hat hacker)라고 부른다. 이들은 공익 또는 학업을 위한 순수 목적으로 정보시스템에 대해 해킹을 시도하며 해킹에 대한 대응 전력을 구상한다. 화이트 해커는 보안이라는 공통 주제로 여러 가지 직업으로 세분화 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취약점을 분석하는 '모의 해킹 컨설턴트', 취약점을 보안하는 '보안솔루션', 실시간 감시를 하는 '보안관제', 백신 개발을 하는 '악성코드 분석가', 사이버 수사대라 불리는 '포렌식 수사관'으로 나눌 수 있다.<ref>주들,〈[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7584952&memberNo=3107760 화이트해커 하는 일과 되는 법을 알아보자!]〉,《네이버 블로그》, 2017-05-10</ref> 대표적인 화이트 해커로 세계 3대 해커라고 불리는 [[㈜에스이웍스]]의 대표 [[홍민표]], [[㈜스틸리언]]의 대표 [[박찬암]] 그리고 [[구사무엘]] 등이 있다. 또한 [[빌 게이츠]](Bill Gates)나 [[스티브 잡스]](Steve Jobs)도 대표적인 화이트 해커라고 할 수 있다.
 
: 합법적이거나 보안 쪽에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을 화이트 해커 또는 화이트햇 해커(white-hat hacker)라고 부른다. 이들은 공익 또는 학업을 위한 순수 목적으로 정보시스템에 대해 해킹을 시도하며 해킹에 대한 대응 전력을 구상한다. 화이트 해커는 보안이라는 공통 주제로 여러 가지 직업으로 세분화 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취약점을 분석하는 '모의 해킹 컨설턴트', 취약점을 보안하는 '보안솔루션', 실시간 감시를 하는 '보안관제', 백신 개발을 하는 '악성코드 분석가', 사이버 수사대라 불리는 '포렌식 수사관'으로 나눌 수 있다.<ref>주들,〈[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7584952&memberNo=3107760 화이트해커 하는 일과 되는 법을 알아보자!]〉,《네이버 블로그》, 2017-05-10</ref> 대표적인 화이트 해커로 세계 3대 해커라고 불리는 [[㈜에스이웍스]]의 대표 [[홍민표]], [[㈜스틸리언]]의 대표 [[박찬암]] 그리고 [[구사무엘]] 등이 있다. 또한 [[빌 게이츠]](Bill Gates)나 [[스티브 잡스]](Steve Jobs)도 대표적인 화이트 해커라고 할 수 있다.
  
 
* '''블랙 해커(black hacker)'''
 
* '''블랙 해커(black hacker)'''
: 불법적이거나 윤리적이지 못한 해커를 블랙 해커 또는 블랙햇 해커(black-hat hacker)라고 부른다. [[크래커]](cracker)라고도 한다. 블랙 해커는 악의적 목적의 정보 체계 침입, 컴퓨터 [[소프트웨어]] 변조, 컴퓨터 [[바이러스]] 유포 등의 행위로 해를 끼친다. 대표적인 블랙 해커로 미국의 국방부가 있는 건물인 펜타곤(Pentagon)과 [[미국 국가안보국]](NSA)을 해킹한 [[케빈 미트닉]](Kevin Mitnick), 아이폰 탈옥과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을 해킹한 [[조지 호츠]](George Hotz), [[뉴욕 타임즈]]의 내부 [[네트워크]]를 해킹한 [[애드리안 라모]](Adrian Lamo) 그리고 [[나사]](NASA)를 해킹한 [[게리 맥키논]](Gary McKinnon)과 [[조나단 제임스]](Jonathan James) 등이 있다.
+
: 불법적이거나 윤리적이지 못한 해커를 블랙 해커 또는 블랙햇 해커(black-hat hacker)라고 부른다. [[크래커]](cracker)라고도 한다. 블랙 해커는 악의적 목적의 정보 체계 침입, 컴퓨터 [[소프트웨어]] 변조, 컴퓨터 [[바이러스]] 유포 등의 행위로 해를 끼친다. 대표적인 블랙 해커로 미국의 국방부가 있는 건물인 펜타곤(Pentagon)과 [[미국 국가안보국]](NSA)을 해킹한 [[케빈 미트닉]](nnon)과 [[조나단 제임스]](Jonatha
 
 
* '''그레이 해커(gray hacker)'''
 
 
: 그레이햇 해커(gray-hat hacker)라고 부른다. 화이트햇(white hat)과 블랙햇(black hat)에서 파생된 것으로, 흰색과 검은색을 섞으면 회색이 되는 것에서 생겨난 용어이다. 그레이 해커는 화이트 해커와 블랙 해커의 중간 성질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중간 성질이란 해킹 기술을 어떤 때는 선한 목적으로 어떤 때는 악의적 목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이 아니다. 그레이 해커는 항상 좋은 목적에서 해킹한다. 그러나 그레이 해커는 허가 없이 시스템에 침투한다. 하지만 시스템을 파괴하지는 않고 알아낸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오히려 보안 장치를 설치하기도 한다. 목적은 선하지만 침입 자체는 불법이므로 그레이 해커는 법적 문제를 고려하여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ref>Lty0x00,〈[http://blog.naver.com/taeyoun795/220583681455 해커의 분류]〉,《네이버 블로그》, 2015-12-31</ref>
 
: 그레이햇 해커(gray-hat hacker)라고 부른다. 화이트햇(white hat)과 블랙햇(black hat)에서 파생된 것으로, 흰색과 검은색을 섞으면 회색이 되는 것에서 생겨난 용어이다. 그레이 해커는 화이트 해커와 블랙 해커의 중간 성질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중간 성질이란 해킹 기술을 어떤 때는 선한 목적으로 어떤 때는 악의적 목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이 아니다. 그레이 해커는 항상 좋은 목적에서 해킹한다. 그러나 그레이 해커는 허가 없이 시스템에 침투한다. 하지만 시스템을 파괴하지는 않고 알아낸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오히려 보안 장치를 설치하기도 한다. 목적은 선하지만 침입 자체는 불법이므로 그레이 해커는 법적 문제를 고려하여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ref>Lty0x00,〈[http://blog.naver.com/taeyoun795/220583681455 해커의 분류]〉,《네이버 블로그》, 2015-12-31</ref>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