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 종류 ==
 
== 종류 ==
===스푸핑===
+
===스푸핑(Spoofing)===
[[스푸핑]](spoofing)은 '속이다'라는 뜻으로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IP 주소]](인터넷 규약 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 [[포트]]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과 관련된 모든 것을 대상으로 한다. 중간자 공격(man in the middle attack, MITM) 기법이며 각 단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탈취한다.
+
스푸핑은 '속이다'라는 뜻으로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IP 주소]](인터넷 규약 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 [[포트]]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과 관련된 모든 것을 대상으로 한다. 중간자 공격(man in the middle attack, MITM) 기법이며 각 단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탈취한다.
  
 
# [[에이알피 스푸핑]](주소 결정 프로토콜 스푸핑, Address Resolution Protocol Spoofing) : [[에이알피]](주소 결정 프로토콜,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는 IP 주소와 MAC 주소 또는 IP 주소와 이더넷을 연결하는 프로토콜이다. 이 단계를 공격하는 중간자 공격(man in the middle attack, MITM) 기법 중 하나이다. 공격자가 자신을 게이트웨이라고 속이고 피해자가 데이터 전송을 하는 동안 공격자에게 모든 정보가 노출되게 된다.
 
# [[에이알피 스푸핑]](주소 결정 프로토콜 스푸핑, Address Resolution Protocol Spoofing) : [[에이알피]](주소 결정 프로토콜,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는 IP 주소와 MAC 주소 또는 IP 주소와 이더넷을 연결하는 프로토콜이다. 이 단계를 공격하는 중간자 공격(man in the middle attack, MITM) 기법 중 하나이다. 공격자가 자신을 게이트웨이라고 속이고 피해자가 데이터 전송을 하는 동안 공격자에게 모든 정보가 노출되게 된다.
19번째 줄: 19번째 줄:
 
=== 그 외 ===
 
=== 그 외 ===
  
*[[에스큐엘 인젝션]](SQL injection; Structured Query Language injection) : [[에스큐엘]] 인젝션은 코드 인젝션의 한 기법으로 클라이언트의 입력값을 조작하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공격할 수 있는 공격 방식을 말한다. 주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제대로 필터링, 이스 케이 핑하지 못한 경우 발생한다.
+
*[[에스큐엘 삽입]](Structured Query Language injection, SQL injection) : [[에스큐엘]] 인젝션은 코드 인젝션의 한 기법으로 클라이언트의 입력값을 조작하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공격할 수 있는 공격 방식을 말한다. 주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제대로 필터링, 이스 케이 핑하지 못한 경우 발생한다.
  
 
*[[레인보우 테이블]](Rainbow Table) : 레인보우 테이블은 해시함수([[MD-5]], [[SHA-1]], [[SHA-2]] 등)를 사용하여 만들어낼 수 있는 값들을 대량으로 저장한 표이다.
 
*[[레인보우 테이블]](Rainbow Table) : 레인보우 테이블은 해시함수([[MD-5]], [[SHA-1]], [[SHA-2]] 등)를 사용하여 만들어낼 수 있는 값들을 대량으로 저장한 표이다.
31번째 줄: 31번째 줄:
 
*[[패스워드 크래킹]](Password Cracking) : 시스템의 비밀번호를 각종 툴(프로그램)을 통해 알아내는 공격 기법이다. 대표적으로 [[넷버스]](Netbus)가 있다.
 
*[[패스워드 크래킹]](Password Cracking) : 시스템의 비밀번호를 각종 툴(프로그램)을 통해 알아내는 공격 기법이다. 대표적으로 [[넷버스]](Netbus)가 있다.
  
*[[포맷스트링 공격]]<!--포맷 스트링 공격-->(Format String Attack) : 문자열의 출력 포맷을 애매하게 설정할 때의 취약점을 포착하여, 메모리의 RET 위치에 악성코드 주소를 입력하여 공격하는 기법<ref>모찌, 〈[https://mozzihacker.tistory.com/17 해킹 공격의 종류와 간단요약]〉, 《티스토리》, 2017-01-25</ref>
+
*[[포맷 스트링 공격]](Format String Attack) : 문자열의 출력 포맷을 애매하게 설정할 때의 취약점을 포착하여, 메모리의 RET 위치에 악성코드 주소를 입력하여 공격하는 기법<ref>모찌, 〈[https://mozzihacker.tistory.com/17 해킹 공격의 종류와 간단요약]〉, 《티스토리》, 2017-01-25</ref>
  
 
*[[지능형 지속 공격]](Advanced Persistent Threat, APT) : 지속적이고 지능적인 해킹 공격의 통칭이다. 최근 APT라는 개념은, 지능적으로 이메일을 이용해 악성코드 등을 심거나 강제로 암호화시켜 데이터를 날리거나 메일 내용을 통해 심리적 허점을 파고드는 형태로 초점이 맞춰져 가는 추세이다.
 
*[[지능형 지속 공격]](Advanced Persistent Threat, APT) : 지속적이고 지능적인 해킹 공격의 통칭이다. 최근 APT라는 개념은, 지능적으로 이메일을 이용해 악성코드 등을 심거나 강제로 암호화시켜 데이터를 날리거나 메일 내용을 통해 심리적 허점을 파고드는 형태로 초점이 맞춰져 가는 추세이다.
37번째 줄: 37번째 줄:
 
*[[사이트 간 요청 위조]](Cross-site requset forgery, CSRF) :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중 하나로 사용자가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공격자가 의도한 행동을 하여 특정 웹페이지를 보안에 취약하게 한다거나 수정, 삭제 등의 작업을 하게 만드는 공격 방법을 뜻한다.
 
*[[사이트 간 요청 위조]](Cross-site requset forgery, CSRF) :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중 하나로 사용자가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공격자가 의도한 행동을 하여 특정 웹페이지를 보안에 취약하게 한다거나 수정, 삭제 등의 작업을 하게 만드는 공격 방법을 뜻한다.
  
*[[사이트 간 스크립팅]](XSS; Cross-Site Scripting) : 웹상에서 가장 기초적인 취약점 공격 방법의 하나로, 악의적인 사용자가 공격하려는 사이트에 스크립트를 넣는 기법이다. 공격에 성공하면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는 삽입된 코드를 실행하여, 보통 의도치 않은 행동을 수행시키거나 쿠키나 세션 토큰 등의 민감한 정보를 탈취한다.
+
*[[사이트 간 스크립팅]](Cross-site Scripting, XSS) : 웹상에서 가장 기초적인 취약점 공격 방법의 하나로, 악의적인 사용자가 공격하려는 사이트에 스크립트를 넣는 기법이다. 공격에 성공하면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는 삽입된 코드를 실행하여, 보통 의도치 않은 행동을 수행시키거나 쿠키나 세션 토큰 등의 민감한 정보를 탈취한다.
  
*[[누킹]](Nucking) : 특정 아이피에 대량의 [[패킷]]을 보내 인터넷 접속을 끊는 [[크래킹]]의 일종. 일부 온라인 게임 유저들은 본인이 방장이 되기 위해서, 혹은 맘에 안 드는 유저를 퇴장시키기 위해서 사용한다고 한다.
+
*[[누킹]](Nucking) : 특정 아이피에 대량의 패킷을 보내 인터넷 접속을 끊는 크래킹의 일종. 일부 온라인 게임 유저들은 본인이 방장이 되기 위해서, 혹은 맘에 안 드는 유저를 퇴장시키기 위해서 사용한다고 한다.
  
 
*[[버퍼 오버플로]](Buffer Overflow) : 버그의 일종 또는 이를 이용한 공격 방법이다.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입력받는 값이 버퍼를 가득 채우다 못해 넘쳐흘러 버퍼 이후의 공간을 침범하는 현상을 뜻한다.
 
*[[버퍼 오버플로]](Buffer Overflow) : 버그의 일종 또는 이를 이용한 공격 방법이다.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입력받는 값이 버퍼를 가득 채우다 못해 넘쳐흘러 버퍼 이후의 공간을 침범하는 현상을 뜻한다.
45번째 줄: 45번째 줄:
 
*[[부채널 공격]] : 암호 알고리즘을 대상으로 한 물리적 공격 기법을 뜻한다. 이 기법은 먼저 하드웨어로의 매우 근접한 접근이 필요하고, 대상 컴퓨터를 매우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는 맹점 때문에 실용성이 떨어진다. 그러나 암호 기능을 포함하는 모듈을 제조하여 유통하기 위해서는 엄격한 인증 절차를 거치는데 [[비침습적 공격]]에 대한 평가가 비중 있게 다뤄진다. 비침습적 공격은 부채널 공격을 포함하는 용어로 향후 IoT 기반 산업이 성장할 때, 부채널 공격에 대한 위협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부채널 공격]] : 암호 알고리즘을 대상으로 한 물리적 공격 기법을 뜻한다. 이 기법은 먼저 하드웨어로의 매우 근접한 접근이 필요하고, 대상 컴퓨터를 매우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는 맹점 때문에 실용성이 떨어진다. 그러나 암호 기능을 포함하는 모듈을 제조하여 유통하기 위해서는 엄격한 인증 절차를 거치는데 [[비침습적 공격]]에 대한 평가가 비중 있게 다뤄진다. 비침습적 공격은 부채널 공격을 포함하는 용어로 향후 IoT 기반 산업이 성장할 때, 부채널 공격에 대한 위협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디도스]](DDoS) 공격 :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을 뜻하는 것으로, 기존의 도스(DoS; Denial of Service) 공격, 즉 [[서비스 거부 공격]]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것이다. 인터넷상에서 웹 사이트를 공격하는 방법의 하나로 사이버 테러의 대표적 경우다.  
+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 공격) : 디도스,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을 뜻하는 것으로 서비스 거부 공격 DoS(Denial of Service attack)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것이다. 인터넷상에서 웹 사이트를 공격하는 방법의 하나로 사이버테러의 대표적 경우다.  
  
 
*[[브루트 포스]](Brute Force) : 브루트 포스는 무차별 대입 공격이라고도 하는데 조합 가능한 모든 문자열을 하나씩 대입해 보는 방식으로 문제를 푸는 것인데, 얼핏 단순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항상 정확도가 100%를 보장한다는 점에서, 자원만 충분하다면 가장 무서운 방법이다.
 
*[[브루트 포스]](Brute Force) : 브루트 포스는 무차별 대입 공격이라고도 하는데 조합 가능한 모든 문자열을 하나씩 대입해 보는 방식으로 문제를 푸는 것인데, 얼핏 단순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항상 정확도가 100%를 보장한다는 점에서, 자원만 충분하다면 가장 무서운 방법이다.
  
*[[사전 공격]](Dictionary Attack): 암호화되어 저장된 [[패스워드]]를 알아내기 위한 공격 방법 중 하나로 보통 널리 사용되는 날짜, 전화번호 등과 같은 패턴들을 사전(dictionary) 형태로 만들고 이들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공격한다.
+
*[[사전 공격]]: 암호화되어 저장된 비밀번호를 알아내기 위한 공격 방법 중 하나로 보통 널리 사용되는 날짜, 전화번호 등과 같은 패턴들을 사전 형태로 만들고 이들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공격한다.
  
 
*[[사회공학]] : 사회공학이란 보안 학적 측면에서 기술적인 방법이 아닌 사람들 간의 기본적인 신뢰를 기반으로 사람을 속여 비밀정보를 획득하는 기법이다. 인간 상호 작용의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사람들을 속여 정상 보안 절차를 깨트리기 위한 비기술적 침입 수단이다.
 
*[[사회공학]] : 사회공학이란 보안 학적 측면에서 기술적인 방법이 아닌 사람들 간의 기본적인 신뢰를 기반으로 사람을 속여 비밀정보를 획득하는 기법이다. 인간 상호 작용의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사람들을 속여 정상 보안 절차를 깨트리기 위한 비기술적 침입 수단이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