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6번째 줄: 16번째 줄:
  
 
===인수합병===
 
===인수합병===
1990년대 이후 자동차 산업은 기술의 발달과 시장의 개방으로 크게 확대되었다. 기아㈜는 카니발이 출시되던 해인 1998년 당시 국내에서는 외환위기로 인해 모든 기업이 위험에 처하자 외국계 기업의 인수합병 대상이 되었다. 또한, 무리한 사세 확장과 잘못된 판단에 의한 과잉투자로 자금이 경색되고 부채가 증가했다. 결국, 외환위기의 살얼음판을 국내 대표적인 자동차 기업도 피해갈 수는 없었으며, 1997년 7월 15일에 부도가 나면서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에 기아㈜는 계열사를 줄이며 인원을 감축했다. 결국, 1998년 4월 15일에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등 경영진은 사퇴하게 되었다. 이후, 현대그룹, [[대우자동차]], [[삼성그룹]], [[포드]]의 네 개 회사가 기아㈜를 인수하기 위한 경쟁입찰에 참여했다. 결국, 1998년 11월에 현대그룹이 기아㈜를 인수했으며, 기아㈜는 2000년 8월 현대그룹에서 분리되어 현대자동차그룹에 편입되었다. 2001년 4월에는 현대자동차㈜ 및 현대모비스㈜와 함께 현대자동차그룹의 삼대 축을 이루면서 회생의 전기를 마련했다. 특히, 기아㈜는 현대자동차그룹의 인수 이후에도 불과 2년 만에 흑자로 전환되며 성공적으로 회생했다. 이는 가장 효과적인 회생절차이자 한국에서 발생한 산업 분야 최고의 기업 인수합병(M&A)으로 손꼽히고 있다.<ref>이슬, 〈[http://tago.kr/story/TG300-D22.htm 기아자동차 이야기]〉, 《타고》, 2020-12-15</ref>
+
1990년대 이후 자동차 산업은 기술의 발달과 시장의 개방으로 크게 확대되었다. 기아㈜는 카니발이 출시되던 해인 1998년 당시 국내에서는 외환위기로 인해 모든 기업이 위험에 처하자 외국계 기업의 인수합병 대상이 되었다. 또한, 무리한 사세 확장과 잘못된 판단에 의한 과잉투자로 자금이 경색되고 부채가 증가했다. 결국, 외환위기의 살얼음판을 국내 대표적인 자동차 기업도 피해갈 수는 없었으며, 1997년 7월 15일에 부도가 나면서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에 기아㈜는 계열사를 줄이며 인원을 감축했다. 결국, 1998년 4월 15일에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등 경영진은 사퇴하게 되었다. 이후, 현대그룹, [[대우자동차]], [[삼성그룹]], [[포드]]의 네 개 회사가 기아㈜를 인수하기 위한 경쟁입찰에 참여했다. 결국, 1998년 11월에 현대그룹이 기아㈜를 인수했으며, 기아㈜는 2000년 8월 현대그룹에서 분리되어 현대자동차그룹에 편입되었다. 2001년 4월에는 현대자동차㈜ 및 현대모비스㈜와 함께 현대자동차그룹의 삼대 축을 이루면서 회생의 전기를 마련했다. 특히, 기아㈜는 현대자동차그룹의 인수 이후에도 불과 2년 만에 흑자로 전환되며 성공적으로 회생했다. 이는 가장 효과적인 회생절차이자 국내에서 발생한 산업 분야 최고의 기업 인수합병(M&A)으로 손꼽히고 있다.<ref>이슬, 〈[http://tago.kr/story/TG300-D22.htm 기아자동차 이야기]〉, 《타고》, 2020-12-15</ref>
  
=== 경영권 승계 ===
+
===경영권 승계===
 
1940년, 정주영 초기 회장은 "일본의 통제를 받지 않는 사업이 없을까?"라는 생각에서 아도서비스(Art Service)라는 작은 자동차 정비 회사를 인수했다. 당시 25세의 젊은 정주영 초기 회장은 3,500원을 주고 자동차 정보소를 인수했지만, 향후 아도서비스는 글로벌 자동차 제조회사로 성장한 현대자동차그룹의 뿌리가 된다. 1942년 5월에 일본이 내린 기업 정비령에 의해 다른 공장에 흡수 합병되었고, 정주영 초기 회장은 부득이하게 자동차 정비업을 중단하고 운송업을 시작하여 광석 운반 하청을 했지만, 불화로 인해 이마저도 그만두게 되었다. 해방 이후 1946년에 정주영은 서울시 중구 초동에 있던 대지에 정비공장을 짓고 현대자동차 공업사라는 이름으로 다시 자동차 정비업을 시작했다. 이후, 건설업으로 돈을 번 정주영은 정부로부터 자동차 회사 설립 허가를 받고 자동차 제조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미국에서 유학 후 현대건설에서 일하고 있던 정주영의 넷째 동생인 정세영을 대표이사로 정했다. 현대그룹 내부에서는 첫 시도로 인한 부담감과 가능성에 확신이 서지 않아 독자적 모델 개발을 꺼렸지만, 정세영 대표는 굴하지 않고 독자 모델 개발을 강하게 추진했다. 이후, 포니를 통해 보여준 가능성으로 당시 현대자동차의 대표였던 정세영 회장은 '포니 정'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1999년에는 정세영 회장의 뒤를 이어 정몽구 회장이 현대그룹의 경영권을 이어받게 되었다. 또한, 정세영 회장은 아들인 정몽규에게 대표 자리를 물려주고자 했으나, 형인 정주영 회장이 집안 장자인 정몽구에게 물려줄 것을 요구하여 결국 조카에게 물려주게 되었다. 새로 현대그룹의 대표이사로 취임한 정몽구는 현장 경영과 품질 경영을 내세우며, 현대자동차㈜를 글로벌 5위에 달하는 완성차 회사로 성장시켰다.<ref>이하나, 〈[http://tago.kr/story/TG300-D04.htm 한국 자동차 산업의 역사, 현대자동차]〉, 《타고》, 2020-11-16</ref>
 
1940년, 정주영 초기 회장은 "일본의 통제를 받지 않는 사업이 없을까?"라는 생각에서 아도서비스(Art Service)라는 작은 자동차 정비 회사를 인수했다. 당시 25세의 젊은 정주영 초기 회장은 3,500원을 주고 자동차 정보소를 인수했지만, 향후 아도서비스는 글로벌 자동차 제조회사로 성장한 현대자동차그룹의 뿌리가 된다. 1942년 5월에 일본이 내린 기업 정비령에 의해 다른 공장에 흡수 합병되었고, 정주영 초기 회장은 부득이하게 자동차 정비업을 중단하고 운송업을 시작하여 광석 운반 하청을 했지만, 불화로 인해 이마저도 그만두게 되었다. 해방 이후 1946년에 정주영은 서울시 중구 초동에 있던 대지에 정비공장을 짓고 현대자동차 공업사라는 이름으로 다시 자동차 정비업을 시작했다. 이후, 건설업으로 돈을 번 정주영은 정부로부터 자동차 회사 설립 허가를 받고 자동차 제조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미국에서 유학 후 현대건설에서 일하고 있던 정주영의 넷째 동생인 정세영을 대표이사로 정했다. 현대그룹 내부에서는 첫 시도로 인한 부담감과 가능성에 확신이 서지 않아 독자적 모델 개발을 꺼렸지만, 정세영 대표는 굴하지 않고 독자 모델 개발을 강하게 추진했다. 이후, 포니를 통해 보여준 가능성으로 당시 현대자동차의 대표였던 정세영 회장은 '포니 정'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1999년에는 정세영 회장의 뒤를 이어 정몽구 회장이 현대그룹의 경영권을 이어받게 되었다. 또한, 정세영 회장은 아들인 정몽규에게 대표 자리를 물려주고자 했으나, 형인 정주영 회장이 집안 장자인 정몽구에게 물려줄 것을 요구하여 결국 조카에게 물려주게 되었다. 새로 현대그룹의 대표이사로 취임한 정몽구는 현장 경영과 품질 경영을 내세우며, 현대자동차㈜를 글로벌 5위에 달하는 완성차 회사로 성장시켰다.<ref>이하나, 〈[http://tago.kr/story/TG300-D04.htm 한국 자동차 산업의 역사, 현대자동차]〉, 《타고》, 2020-11-16</ref>
  
62번째 줄: 62번째 줄:
 
* '''경로 추천''' : 이피트 앱에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면 전국의 충전소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충전시간을 포함한 최적의 충전 경로를 추천한다.
 
* '''경로 추천''' : 이피트 앱에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면 전국의 충전소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충전시간을 포함한 최적의 충전 경로를 추천한다.
  
== 기타 ==
+
==기타==
 
=== 사이트 확대 개편 ===
 
=== 사이트 확대 개편 ===
 
[[파일:현대모터그룹 테크 사이트.jpg|썸네일|500픽셀|'''현대모터그룹 테크 사이트''']]
 
[[파일:현대모터그룹 테크 사이트.jpg|썸네일|500픽셀|'''현대모터그룹 테크 사이트''']]
78번째 줄: 78번째 줄:
  
 
== 그룹사 ==
 
== 그룹사 ==
=== 완성차 ===
+
===완성차===
 
{{글 보임 시작}}
 
{{글 보임 시작}}
 
{{로고글자블록
 
{{로고글자블록
87번째 줄: 87번째 줄:
 
* '''[[기아㈜]]'''(KIA) : 70년 이상의 역사를 거치며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로 성장해온 저력을 기반으로 새로운 사명과 로고를 발표하고 자동차 제조사를 넘어 혁신적인 모빌리티 경험을 선사하는 브랜드로 도약하고 있다. 풀 라인업을 구축해 가고 있는 [[전기차]]를 통해 [[친환경차]]의 대중화를 주도하는 한편,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와 모빌리티 서비스 사업을 확대해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한다. 앞으로 기아는 고유의 독창적인 디자인과 고도화된 [[자율주행]] 기술, 진보된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통해 브랜드 슬로건 ‘Movement that inspires’를 실현하며 고객이 움직임 속에서 영감을 받을 수 있는 공간과 시간을 만들고자 한다.
 
* '''[[기아㈜]]'''(KIA) : 70년 이상의 역사를 거치며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로 성장해온 저력을 기반으로 새로운 사명과 로고를 발표하고 자동차 제조사를 넘어 혁신적인 모빌리티 경험을 선사하는 브랜드로 도약하고 있다. 풀 라인업을 구축해 가고 있는 [[전기차]]를 통해 [[친환경차]]의 대중화를 주도하는 한편,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와 모빌리티 서비스 사업을 확대해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한다. 앞으로 기아는 고유의 독창적인 디자인과 고도화된 [[자율주행]] 기술, 진보된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통해 브랜드 슬로건 ‘Movement that inspires’를 실현하며 고객이 움직임 속에서 영감을 받을 수 있는 공간과 시간을 만들고자 한다.
  
=== 부품사 ===
+
===부품사===
 
{{글 보임 시작}}
 
{{글 보임 시작}}
 
{{로고글자블록
 
{{로고글자블록
101번째 줄: 101번째 줄:
 
* '''[[현대파텍스㈜]]'''(Hyundai Partecs) : 2005년 출범한 대한민국 최초의 자동차 A/S부품 전문기업이다. 현대자동차㈜·기아㈜ 차량 중 생산이 중단된 모델의 차체 A/S부품을 프레스-차체-도장-포장의 일관생산체제를 통하여 신속하게 공급하고 있으며, 해외 반조립 부품(CKD, Complete Knock Down)도 공급하고 있다. 110여 차종에 이르는 다품종의 일관 생산방식을 통한 납기 단축과 생산원가 절감을 실현하고, 안정적인 공급기반 마련으로 고객의 기대에 부응하고 있다.
 
* '''[[현대파텍스㈜]]'''(Hyundai Partecs) : 2005년 출범한 대한민국 최초의 자동차 A/S부품 전문기업이다. 현대자동차㈜·기아㈜ 차량 중 생산이 중단된 모델의 차체 A/S부품을 프레스-차체-도장-포장의 일관생산체제를 통하여 신속하게 공급하고 있으며, 해외 반조립 부품(CKD, Complete Knock Down)도 공급하고 있다. 110여 차종에 이르는 다품종의 일관 생산방식을 통한 납기 단축과 생산원가 절감을 실현하고, 안정적인 공급기반 마련으로 고객의 기대에 부응하고 있다.
  
=== 제조업 ===
+
===제조업===
 
{{글 보임 시작}}
 
{{글 보임 시작}}
 
{{로고글자블록
 
{{로고글자블록
112번째 줄: 112번째 줄:
 
* '''[[현대로템㈜]]''' : 철도차량 제작, 방위산업, 플랜트 엔지니어링을 수행하는 글로벌 종합 중공업 기업이다. [[전동차]], [[고속열차]], [[기관차]], [[경전철]], [[트램]] 등 모든 철도차량의 제작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수소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수소전기열차 개발과 수소인프라 사업을 통해 친환경 수소 시대를 이끌고 있다. 현장 작업자를 보조하는 산업용 웨어러블 로봇 기술은 자동차 생산라인과 제철소 등의 생산현장에서 우수성을 입증하고 있으며, 전차와 차륜형장갑차 등의 지상무기뿐 아니라 스마트 무인무기체계 기술개발과 사업 확장에도 집중해 국가 안보유지에 힘을 더한다.
 
* '''[[현대로템㈜]]''' : 철도차량 제작, 방위산업, 플랜트 엔지니어링을 수행하는 글로벌 종합 중공업 기업이다. [[전동차]], [[고속열차]], [[기관차]], [[경전철]], [[트램]] 등 모든 철도차량의 제작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수소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수소전기열차 개발과 수소인프라 사업을 통해 친환경 수소 시대를 이끌고 있다. 현장 작업자를 보조하는 산업용 웨어러블 로봇 기술은 자동차 생산라인과 제철소 등의 생산현장에서 우수성을 입증하고 있으며, 전차와 차륜형장갑차 등의 지상무기뿐 아니라 스마트 무인무기체계 기술개발과 사업 확장에도 집중해 국가 안보유지에 힘을 더한다.
  
=== 건설업 ===
+
===건설업===
 
{{글 보임 시작}}
 
{{글 보임 시작}}
 
{{로고글자블록
 
{{로고글자블록
123번째 줄: 123번째 줄:
 
* '''[[현대도시개발㈜]]''' : 충남 태안군 천수만 B지구 일원에 레저, 주거 및 산업을 중심으로 자족적 복합기능을 갖춘 태안기업도시를 개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해의 바다였던 곳이 농지를 거쳐 대지로 거듭나면서 새로운 세상을 여는 미래 도시가 건설된다는 의미를 담아 대지를 뜻하는 스페인어를 차용한 라티에라(LaTierra) 브랜드를 구축하고 골프장, 테마파크, 스마트 주거단지, 상업업무단지 및 스마트 모빌리티·신재생에너지 산업단지 등 다양한 테마시설과 주거, 휴양, 산업·연구 시설을 결합한 미래형 복합 도시를 조성하고 있다.
 
* '''[[현대도시개발㈜]]''' : 충남 태안군 천수만 B지구 일원에 레저, 주거 및 산업을 중심으로 자족적 복합기능을 갖춘 태안기업도시를 개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해의 바다였던 곳이 농지를 거쳐 대지로 거듭나면서 새로운 세상을 여는 미래 도시가 건설된다는 의미를 담아 대지를 뜻하는 스페인어를 차용한 라티에라(LaTierra) 브랜드를 구축하고 골프장, 테마파크, 스마트 주거단지, 상업업무단지 및 스마트 모빌리티·신재생에너지 산업단지 등 다양한 테마시설과 주거, 휴양, 산업·연구 시설을 결합한 미래형 복합 도시를 조성하고 있다.
  
=== 금융업 ===
+
===금융업===
 
{{글 보임 시작}}
 
{{글 보임 시작}}
 
{{로고글자블록
 
{{로고글자블록
134번째 줄: 134번째 줄:
 
* '''[[현대차증권㈜]]''' : 개인·기업금융을 비롯하여 퇴직연금, 파생상품 분야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 금융투자회사다. 리테일부문은 2020년 사상 최대의 실적을 거두고 적극적인 디지털 전환을 실행하며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가는 중이다. IB 부문 역시 다양한 프로젝트 파이낸싱(Project financing) 수주와 기업금융 인수·주관을 통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또한 2020년 한국기업 지배구조원(KCGS)에서 발표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에서 증권사 중 최고 등급인 통합 A 등급을 받으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실현해가고 있다.
 
* '''[[현대차증권㈜]]''' : 개인·기업금융을 비롯하여 퇴직연금, 파생상품 분야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 금융투자회사다. 리테일부문은 2020년 사상 최대의 실적을 거두고 적극적인 디지털 전환을 실행하며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가는 중이다. IB 부문 역시 다양한 프로젝트 파이낸싱(Project financing) 수주와 기업금융 인수·주관을 통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또한 2020년 한국기업 지배구조원(KCGS)에서 발표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에서 증권사 중 최고 등급인 통합 A 등급을 받으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실현해가고 있다.
  
=== 기타 ===
+
===기타===
 
{{글 보임 시작}}
 
{{글 보임 시작}}
 
{{로고글자블록
 
{{로고글자블록
141번째 줄: 141번째 줄:
 
{{글 보임 끝}}
 
{{글 보임 끝}}
 
* '''[[현대글로비스㈜]]''' : ‘Global Smart SCM Provider’라는 모토 아래 독보적인 물류 경쟁력을 갖추고 고객 가치사슬 전반의 효율화를 지원하는 글로벌 종합물류기업이다. 국내외 유수의 [[완성차]] 브랜드에 완벽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며, 에너지·소비재·e커머스 등 다양한 사업군에서 관련 물류 사업을 수행한다. 해외공장에 [[자동차 부품]]을 공급하는 KD(Knock down) 사업과 [[중고차]] 유통시장 선진화에 앞장서는 오토비즈 사업, 글로벌 네트워크 기반의 트레이딩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친환경 [[수소]]와 [[전기차]] 밸류체인의 통합 운영체계를 구축하며 종합 솔루션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 '''[[현대글로비스㈜]]''' : ‘Global Smart SCM Provider’라는 모토 아래 독보적인 물류 경쟁력을 갖추고 고객 가치사슬 전반의 효율화를 지원하는 글로벌 종합물류기업이다. 국내외 유수의 [[완성차]] 브랜드에 완벽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며, 에너지·소비재·e커머스 등 다양한 사업군에서 관련 물류 사업을 수행한다. 해외공장에 [[자동차 부품]]을 공급하는 KD(Knock down) 사업과 [[중고차]] 유통시장 선진화에 앞장서는 오토비즈 사업, 글로벌 네트워크 기반의 트레이딩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친환경 [[수소]]와 [[전기차]] 밸류체인의 통합 운영체계를 구축하며 종합 솔루션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 '''[[㈜이노션]]''' : 전 세계 유수 브랜드를 대상으로 창의적인 마케팅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며 주요 광고제와 디자인 어워드에서 역량을 인정받고 있는 글로벌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그룹이다. 한국 본사를 비롯해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중동을 포함한 21개국에 구축한 31개 거점에서 약 3,000명의 임직원과 함께 FIFA 월드컵, 국제 모터쇼, 상하이엑스포, 여수엑스포, 미국 슈퍼볼과 같은 대형 글로벌 이벤트를 통해 경험과 역량을 축적하며 글로벌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기업으로 성장했다. 광고 기획과 제작은 물론 콘텐츠·디지털·미디어 신사업을 진행하며 차별화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
* '''[[㈜이노션]]''' : 국내외 유수 브랜드를 대상으로 창의적인 마케팅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며 주요 광고제와 디자인 어워드에서 역량을 인정받고 있는 글로벌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그룹이다. 한국 본사를 비롯해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중동을 포함한 21개국에 구축한 31개 거점에서 약 3,000명의 임직원과 함께 FIFA 월드컵, 국제 모터쇼, 상하이엑스포, 여수엑스포, 미국 슈퍼볼과 같은 대형 글로벌 이벤트를 통해 경험과 역량을 축적하며 글로벌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기업으로 성장했다. 광고 기획과 제작은 물론 콘텐츠·디지털·미디어 신사업을 진행하며 차별화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 '''[[해비치호텔앤드리조트㈜]]''' : 국내외 호텔, 리조트, 골프장, 레스토랑, 오피스 VIP 서비스 등을 운영한다. 1999년 36홀 규모의 해비치 컨트리클럽 제주를 시작으로, 제주도 내 해비치 호텔&리조트와 경기도 소재의 롤링힐스 호텔, 남양주의 해비치컨트리클럽 서울, 괌에 위치한 웨스틴 리조트를 보유하고 있으며, 서울 종로에 뉴 아메리칸 레스토랑, 한식, 중식, 일식 등 네 개의 레스토랑 운영 및 프라임 오피스빌딩의 프리미엄 서비스를 맡는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 중이다. 해비치 호텔&리조트/골프는 최고급 시설과 서비스 노하우를 기반으로 품격 있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내외 레저문화의 저변을 넓혀가고 있다.
 
* '''[[해비치호텔앤드리조트㈜]]''' : 국내외 호텔, 리조트, 골프장, 레스토랑, 오피스 VIP 서비스 등을 운영한다. 1999년 36홀 규모의 해비치 컨트리클럽 제주를 시작으로, 제주도 내 해비치 호텔&리조트와 경기도 소재의 롤링힐스 호텔, 남양주의 해비치컨트리클럽 서울, 괌에 위치한 웨스틴 리조트를 보유하고 있으며, 서울 종로에 뉴 아메리칸 레스토랑, 한식, 중식, 일식 등 네 개의 레스토랑 운영 및 프라임 오피스빌딩의 프리미엄 서비스를 맡는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 중이다. 해비치 호텔&리조트/골프는 최고급 시설과 서비스 노하우를 기반으로 품격 있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내외 레저문화의 저변을 넓혀가고 있다.
 
* '''[[현대오토에버㈜]]''' : 내장(In-Car)과 외장(Out-Car) 영역 전반의 [[소프트웨어]]와 인프라를 안정적, 효율적, 혁신적으로 지원하는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프로바이더로서,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구축하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유연하게 연결하며, [[클라우드]]와 [[데이터]] 서비스 기반으로 다가올 모빌리티 생태계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차량용 소프트웨어 플랫폼, [[내비게이션]], 정밀지도와 같은 자동차 소프트웨어 기술, 다양한 산업군에 대한 시스템 통합 및 운영 사업과 관련 컨설팅을 수행하면서 축적한 독보적인 [[IT]] 기술·솔루션을 바탕으로 SW 분야를 통합하여 그룹의 모빌리티 비전 실현에 앞장선다.
 
* '''[[현대오토에버㈜]]''' : 내장(In-Car)과 외장(Out-Car) 영역 전반의 [[소프트웨어]]와 인프라를 안정적, 효율적, 혁신적으로 지원하는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프로바이더로서,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구축하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유연하게 연결하며, [[클라우드]]와 [[데이터]] 서비스 기반으로 다가올 모빌리티 생태계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차량용 소프트웨어 플랫폼, [[내비게이션]], 정밀지도와 같은 자동차 소프트웨어 기술, 다양한 산업군에 대한 시스템 통합 및 운영 사업과 관련 컨설팅을 수행하면서 축적한 독보적인 [[IT]] 기술·솔루션을 바탕으로 SW 분야를 통합하여 그룹의 모빌리티 비전 실현에 앞장선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