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기통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20기통.jpg|썸네일|300픽셀|'''20기통''']]
 
[[파일:20기통.jpg|썸네일|300픽셀|'''20기통''']]
 
 
'''20기통'''은 [[실린더]]가 20개 설치된 [[엔진]]이다. 주로 각 10개의 실린더로 구성된 2개의 뱅크를 [[크랭크축]]을 중심으로 V형으로 배치한 V20형 엔진으로 만들어진다. 대형 디젤 V20 엔진은 주로 디젤 [[기관차]], 광산용 [[대형트럭]], [[발전기]] 및 [[선박]] 추진 용도로 사용한다.
 
'''20기통'''은 [[실린더]]가 20개 설치된 [[엔진]]이다. 주로 각 10개의 실린더로 구성된 2개의 뱅크를 [[크랭크축]]을 중심으로 V형으로 배치한 V20형 엔진으로 만들어진다. 대형 디젤 V20 엔진은 주로 디젤 [[기관차]], 광산용 [[대형트럭]], [[발전기]] 및 [[선박]] 추진 용도로 사용한다.
  
 
==종류==
 
==종류==
 
===V20===
 
===V20===
[[V20]] 엔진은 20기통 [[피스톤]] [[엔진]]으로 10개의 [[실린더]]로 구성된 2개의 뱅크가 공통 [[크랭크축]] 주위에 V 구성으로 배열되어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V20_%EC%97%94%EC%A7%84 V20 엔진]〉, 《위키백과》</ref>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에서 1930년대 후반부터 선박 추진용으로 생산하기 시작한 대형 V20 디젤엔진이 대표적이다. 첫 번째는 MB 500 V12 엔진을 기반으로 한 MB 501 엔진으로, 1937년 이후 생산된 여러 [[어뢰정]]과 [[잠수함]]에 장착되었다. 이후에는 [[슈퍼차저]]가 장착된 MB 511과 MB 518 엔진을 생산했다. 루트비히스펠데에서 국영기업 [[모토렌베르크]](Motoren Werke)가 MB 511의 복제본을 VEB 20 KVD 25라는 이름으로 생산한 적도 있다. 전후 1951년부터 MB 518의 생산이 재개되었다. [[엠티유]](MTU)에서도 MB 20V 672라는 이름으로 생산한 바 있다. 1960년대에는 디젤 기관차용 EMD 645E3 2행정 V20 터보 디젤 엔진이 생산되었다. 해당 엔진의 총 배기량은 211L, 출력은 3,600마력이었다. 최대 출력은 자가시험 모드로 작동할 때 5,000마력에 가깝게 측정되었다. 이후 버전의 [[일렉트로-모티브 디젤]](Electro-Motive Diesel)의 EMD 645엔진은 EMD SD 45-2와 EMD SD 45T-2 기관차에 사용되었다. 일렉트로-모티브 디젤은 1995년 EMD SD 80MAC 기관차에 사용된 EMD 710 디젤 엔진의 V20 버전도 생산한 바 있다. EMD 710은 오늘날까지 계속 생산되고 있으며, 주로 발전용과 선박 추진용으로 사용된다. 현재 생산 중인 V20 디젤엔진으로는 [[만]](MAN SE) V28/33D STC, [[바르질라]](Wartsila) 20V32, MTU 20V4000, [[캐터필러]](Caterpillar) C175-20, [[커민스]](Cummins) QSK 120 등이 있다.<ref>〈[https://namu.wiki/w/20%EA%B8%B0%ED%86%B5 20기통]〉, 《나무위키》</ref>
+
[[V20]] 엔진은 20기통 [[피스톤]] [[엔진]]으로 10개의 [[실린더]]로 구성된 2개의 뱅크가 공통 [[크랭크축]] 주위에 V 구성으로 배열되어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V20_%EC%97%94%EC%A7%84 V20 엔진]〉, 《위키백과》</ref>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에서 1930년대 후반부터 선박 추진용으로 생산하기 시작한 대형 V20 디젤엔진이 대표적이다. 첫 번째는 MB 500 V12 엔진을 기반으로 한 MB 501 엔진으로, 1937년 이후 생산된 여러 [[어뢰정]]과 [[잠수함]]에 장착되었다. 이후에는 [[슈퍼차저]]가 장착된 MB 511과 MB 518 엔진을 생산했다. 루트비히스펠데에서 VEB 모토렌베르크가 MB 511의 복제본을 VEB 20 KVD 25라는 이름으로 생산한 적도 있다. 전후 1951년부터 MB 518의 생산이 재개되었다. MTU에서도 MB 20 V 672라는 이름으로 생산한 바 있다. 1960년대에는 디젤 기관차용 EMD 645E3 2행정 V20 터보 디젤 엔진이 생산되었다. 해당 엔진의 총 배기량은 211리터, 출력은 3,600마력이었다. 최대 출력은 자가시험 모드로 작동할 때 5,000마력에 가깝게 측정되었다. 이후 버전의 [[일렉트로-모티브 디젤]](Electro-Motive Diesel)의 EMD 645 엔진은 EMD SD45-2와 EMD SD45T-2 기관차에 사용되었다. 일렉트로-모티브 디젤은 1995년 EMD SD80MAC 기관차에 사용된 EMD 710 디젤 엔진의 V20 버전도 생산한 바 있다. EMD 710은 오늘날까지 계속 생산되고 있으며, 주로 발전용과 선박 추진용으로 사용된다. 현재 생산 중인 V20 디젤엔진으로는 [[만]](MAN) V28/33D STC, [[바르질라]](Wartsila) 20V32, MTU 20V4000, [[캐터필러]](Caterpillar) C175-20, [[커민스]](Cummins) QSK 120 등이 있다.<ref>〈[https://namu.wiki/w/20%EA%B8%B0%ED%86%B5 20기통]〉, 《나무위키》</ref>
  
 
==사용 분야==
 
==사용 분야==
 
===잠수함===
 
===잠수함===
1930년대 후반부터 [[메르세데스-벤츠]]는 해양 분야에도 진출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대형 V20 [[디젤엔진]]을 생산했다. 첫 번째로 제작한 엔진은 MB 500 V12 엔진을 기반으로 한 MB 501로, 1937년 등급의 슈넬부트와 여러 척의 [[잠수함]]에 장착되었다. 이후 버전에는 [[슈퍼차저]]를 장착한 MB 511 엔진과 MB 518 엔진이 포함되었는데, 이 엔진에는 [[인터쿨러]]도 추가되었다. MB 511의 사본은 모토렌베르크가 루트비히스펠데에서 생산하여 VEB 20 KVD 25라고 불렸다. MB 518의 생산은 1951년에 재개되었으며, 엔진의 버전은 MB 20V 672라고 불리는 엠티유에 의해서도 제조되었다.<ref>〈[https://namu.wiki/w/%EB%A9%94%EB%A5%B4%EC%84%B8%EB%8D%B0%EC%8A%A4-%EB%B2%A4%EC%B8%A0/%EA%B0%9C%EB%B0%9C%20%EB%B0%8F%20%EC%83%9D%EC%82%B0%EC%97%94%EC%A7%84#s-1.3 메르세데스-벤츠/개발 및 생산엔진]〉, 《나무위키》</ref>
+
1930년대 후반부터 [[메르세데스-벤츠]]는 해양 분야에도 진출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대형 V20 [[디젤엔진]]을 생산했다. 첫 번째로 제작한 엔진은 MB 500 V12 엔진을 기반으로 한 MB 501로, 1937년 등급의 슈넬부트와 여러 척의 [[잠수함]]에 장착되었다. 이후 버전에는 [[슈퍼차저]]를 장착한 MB 511 엔진과 MB 518 엔진이 포함되었는데, 이 엔진에는 [[인터쿨러]]도 추가되었다. MB 511의 사본은 VEB 모토렌베르크가 루트비히스펠데에서 생산하여 VEB 20 KVD 25라고 불렸다. MB 518의 생산은 1951년에 재개되었으며, 엔진의 버전은 MB 20 V 672라고 불리는 [[MTU]]에 의해서도 제조되었다.<ref>〈[https://namu.wiki/w/%EB%A9%94%EB%A5%B4%EC%84%B8%EB%8D%B0%EC%8A%A4-%EB%B2%A4%EC%B8%A0/%EA%B0%9C%EB%B0%9C%20%EB%B0%8F%20%EC%83%9D%EC%82%B0%EC%97%94%EC%A7%84#s-1.3 메르세데스-벤츠/개발 및 생산엔진]〉, 《나무위키》</ref>
 
 
 
===덤프트럭===
 
===덤프트럭===
[[무한궤도]]를 처음 고안한 회사로 유명한 [[캐터필러]]의 광산용 [[덤프트럭]] [[797F]]는 20기통 106ℓ 엔진이 들어간다. 길이 15m, 너비 9.5m, 높이 7.5m의 거대한 덤프트럭으로 타이어 지름만 약 4m이다. 총 여섯 개의 [[타이어]]를 장착하는데 타이어 한 개 가격이 약 4,700만 원에 달한다.<ref>모터트렌드,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714331&memberNo=25911442&vType=VERTICAL 크고 아름다운 녀석들]〉, 《네이버 포스트》, 2018-09-18</ref> 최고출력은 4,055마력, 최대토크는 2277.6kg·m에 이른다. 최고속도는 68km/h이고 최대 적재 용량은 363t이다.<ref>안정환, 〈[https://www.motortrendkorea.com/sub/view.html?no=4759&cate1Name=ISSUE 진짜 배기량 깡패를 찾아라!]〉, 《현대모비스》, 2020-05-29</ref> [[연료탱크]]의 용량은 6,814L이며 [[냉각수]]의 용량만 해도 1,194L에 달한다.<ref>김상영 기자, 〈[http://www.top-rider.com/news/articleView.html?idxno=5197 세계에서 가장 큰 차 TOP3…집채만 한 차들의 정체는?]〉, 《탑라이더》, 2011-06-05</ref> 797F는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세 가지 형태의 운전실을 선택할 수 있고 [[모니터링 시스템]], [[감지 시스템]] 등 첨단 사양을 갖췄다.
+
무한궤도를 처음 고안한 회사로 유명한 캐터필러의 797F는 광산용 [[덤프트럭]]이다. 길이 15m, 너비 9.5m, 높이 7.5m의 거대한 덤프트럭으로 타이어 지름만 약 4m이다. 총 여섯개의 [[타이어]]를 장착하는데 타이어 한 개 가격이 약 4700만원에 달한다.<ref>모터트렌드,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714331&memberNo=25911442&vType=VERTICAL 크고 아름다운 녀석들]〉, 《네이버 포스트》, 2018-09-18</ref> 최고출력은 4055마력, 최대토크는 2277.6kg·m에 이른다. 최고속도는 68km/h이고 최대 적재 용량은 363t이다.<ref>안정환, 〈[https://www.motortrendkorea.com/sub/view.html?no=4759&cate1Name=ISSUE 진짜 배기량 깡패를 찾아라!]〉, 《현대모비스》, 2020-05-29</ref> [[연료탱크]]의 용량은 6814리터이며 [[냉각수]]의 용량만 해도 1194리터에 달한다.<ref>김상영 기자, 〈[http://www.top-rider.com/news/articleView.html?idxno=5197 세계에서 가장 큰 차 TOP3…집채만 한 차들의 정체는?]〉, 《탑라이더》, 2011-06-05</ref> 797F는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세 가지 형태의 운전실을 선택할 수 있고 [[모니터링 시스템]], [[감지 시스템]] 등 첨단 사양을 갖췄다.
  
 
{{각주}}
 
{{각주}}
25번째 줄: 23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엔진]]
 
* [[실린더]]
 
* [[다기통]]
 
* [[8기통]]
 
* [[10기통]]
 
* [[12기통]]
 
* [[16기통]]
 
* [[18기통]]
 
 
 
{{자동차 부품|검토 필요}}
 
{{자동차 부품|검토 필요}}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