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세그먼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D세그먼트]]'''<!--D 세그먼트-->(D Segment)는 [[유럽]]의 차량 분류 기준으로, [[전장]] 4300mm부터 4700mm이하의 이하의 [[차량]]을 가리킨다. [[대한민국]]의 [[중형차]], 미국에서는 라지카(Large car)로 형용된다.<ref> 김민수, 〈[http://www.carlab.co.kr/news/5299 알파벳으로 말해요! A, B, C...세그먼트]〉, 《카랩》, 2016-02-06</ref> 일반차에 비해 고급스럽고 럭셔리한 [[세단]]들이 속해있다는 특징이 있다. [[비엠더블유]](BMW) [[3시리즈]](3 Series), [[아우디]](Audi) [[A4]],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C클래스]](C class) 등이 포함된다. [[현대자동차㈜]] [[쏘나타]](Sonata)나 [[쉐보레]](Chevrolet) [[말리부]](Malibu)는 전장이 이보다 크지만 편의상 D세그먼트라고 불린다.
+
'''[[D세그먼트]]'''(D Segment)는 [[유럽]]의 차량 분류 기준으로, [[전장]] 4300mm부터 4700mm이하의 이하의 [[차량]]을 가리킨다. [[대한민국]]의 [[중형차]] 개념과 유사한데, 일반차에 비해 고급스럽고 럭셔리한 [[세단]]들이 속해있다. [[비엠더블유]](BMW) [[3시리즈]](3 Series), [[아우디]](Audi) [[A4]],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C클래스]](C class) 등이 포함된다. [[현대자동차㈜]] [[쏘나타]](Sonata)나 [[쉐보레]](Chevrolet) [[말리부]](Malibu)는 전장이 이보다 크지만 편의상 D세그먼트라고 불린다.
{{:자동차 배너}}
+
 
 +
==개요==
 +
D세그먼트는 미들 세단으로 불리는 대중 자동차에 비해 고급스러운 세단들이 속해있는 카테고리다.  D세그먼트는 전장이 4,300mm ~ 4,700mm 사이에 있는 중형차들을 지칭하며 미국에서는 라지카(Large car)로 형용된다.<ref> 김민수, 〈[http://www.carlab.co.kr/news/5299 알파벳으로 말해요! A, B, C...세그먼트]〉, 《카랩》, 2016-02-06</ref> 자동차의 세그먼트 분류는 시대에 따라 크기와 사양들이 변화하고 국가마다 분류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모호하고 주관적인 부분이 많다. [[대한민국]]에서는 [[경차]], [[소형차]], [[중형차]], [[대형차]]이 네 가지에 [[준중형차]], [[준대형차]] 개념을 더해 분류한다.<ref> 엠에스리,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lagrange0115&logNo=221190962005 자동차 세그먼트 (Car classification) ]〉, 《네이버 블로그》, 2018-01-22 </ref> 반면 해외에서는 나라마다, 혹은 지역마다 다른 기준으로 차를 분류하는데 그 중 국내에서도 가장 많이 언급되는 개념이 바로 유럽의 [[세그먼트]](Segment)다. 세그먼트는 [[차체]] 길이에 따라 구분하는 [[유럽]]의 자동차 분류 방법이다. 차체의 길이란 자동차의 앞 [[범퍼]]에서 뒷 범퍼까지의 길이를 말하는데, 다른 말로는 [[전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세그먼트는 전장에 길이에 따라 [[A세그먼트]]부터 [[F세그먼트]]까지를 구분하고 있고 용도에 따라 [[J세그먼트]], [[M세그먼트]], [[S세그먼트]]로 구분하기도 한다.<ref> 카스탯,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2697610&memberNo=35796412 자동차 분류 기준, 세그먼트(Segment)란 뭘까?]〉, 《네이버 블로그》, 2019-07-22 </ref>
  
 
==대표 차량==
 
==대표 차량==
23번째 줄: 25번째 줄:
 
[[쉐보레]](Chevrolet) [[말리부]](Malibu)는 [[제너럴모터스]](GM)에서 생산하는 쉐보레 브랜드의 D세그먼트 [[승용차]]이다. 4세대 모델 이후 14년의 공백을 제외하더라도 자동차 업계에서 가장 오랜 기간 존재해 온 중형 세단으로 대한민국과 미국, 중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누적 판매량 1천만 대를 돌파한 쉐보레의 대표적인 글로벌 모델이다. 출시 당시 최고 출력 300마력의 5.4리터 V8 엔진을 장착한 말리부SS는 [[쿠페]]와 [[컨버터블]] 두 가지 모델로 판매되었고 프리미엄 모델로서 효율과 넓은 공간을 찾는 소비자들의 인기를 끌었다.<ref> 윤수정 기자, 〈[https://www.carisyou.com/magazine/FOCUS/74471 54년 역사 쉐보레 말리부, 연내 부분변경 모델 출시]〉, 《카이즈유》, 2018-11-06 </ref> 2020년 쉐보레는 스타일과 편의성이 더해진 2021년형 더 뉴 말리부(The new Malibu)를 새롭게 공개하며 말리부에 새롭게 적용한 무선 [[스마트폰]] 프로젝션 시스템은 고객들에게 편리한 경험을 선사했다. 또한 말리부에는 저속 및 고속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 전방 보행자 감지 및 제동 시스템, 지능형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차선 이탈 경고 및 차선 유지 보조시스템 등 안전 시스템을 탑재하여 운전자의 편안하고 안전한 주행을 위해 힘썼다. 동급 최고의 퍼포먼스를 발휘하는 2.0L 직분사 가솔린 터보엔진과 뛰어난 효율을 자랑하는 1.35L 직분사 가솔린 E-터보엔진이 제공된다. 최고출력 253마력, 최대토크 36.0kg.m의 폭발적인 성능을 발휘하며, 최적의 변속 타이밍으로 최고 출력 260마력까지 완벽하게 대응하는 3세대 6단 자동변속기와 결합되었다. E-터보엔진은 최고출력 156마력, 최대토크 24.1kg.m의 뛰어난 퍼포먼스를 선사한다. 또한 복합연비 14.2km/l라는 동급 최고의 연비를 실현, 대한민국 [[가솔린]] 중형 모델로는 최초로 복합 연비 2등급을 획득했다. 그뿐만 아니라 말리부 E-터보 모델은 첨단 배출가스 저감 기술을 바탕으로 제3종 저공해 차량 인증을 획득하여 저 [[배기량]]에 따른 세제 혜택은 물론 공영주차장 할인 등 친환경 차량이 누리는 각종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ref> 황민성 기자, 〈[http://www.kn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2282 스타일과 편의성 더해진 2021년형 쉐보레 더 뉴 말리부 출시]〉, 《경남 데일리》, 2020-10-20 </ref>
 
[[쉐보레]](Chevrolet) [[말리부]](Malibu)는 [[제너럴모터스]](GM)에서 생산하는 쉐보레 브랜드의 D세그먼트 [[승용차]]이다. 4세대 모델 이후 14년의 공백을 제외하더라도 자동차 업계에서 가장 오랜 기간 존재해 온 중형 세단으로 대한민국과 미국, 중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누적 판매량 1천만 대를 돌파한 쉐보레의 대표적인 글로벌 모델이다. 출시 당시 최고 출력 300마력의 5.4리터 V8 엔진을 장착한 말리부SS는 [[쿠페]]와 [[컨버터블]] 두 가지 모델로 판매되었고 프리미엄 모델로서 효율과 넓은 공간을 찾는 소비자들의 인기를 끌었다.<ref> 윤수정 기자, 〈[https://www.carisyou.com/magazine/FOCUS/74471 54년 역사 쉐보레 말리부, 연내 부분변경 모델 출시]〉, 《카이즈유》, 2018-11-06 </ref> 2020년 쉐보레는 스타일과 편의성이 더해진 2021년형 더 뉴 말리부(The new Malibu)를 새롭게 공개하며 말리부에 새롭게 적용한 무선 [[스마트폰]] 프로젝션 시스템은 고객들에게 편리한 경험을 선사했다. 또한 말리부에는 저속 및 고속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 전방 보행자 감지 및 제동 시스템, 지능형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차선 이탈 경고 및 차선 유지 보조시스템 등 안전 시스템을 탑재하여 운전자의 편안하고 안전한 주행을 위해 힘썼다. 동급 최고의 퍼포먼스를 발휘하는 2.0L 직분사 가솔린 터보엔진과 뛰어난 효율을 자랑하는 1.35L 직분사 가솔린 E-터보엔진이 제공된다. 최고출력 253마력, 최대토크 36.0kg.m의 폭발적인 성능을 발휘하며, 최적의 변속 타이밍으로 최고 출력 260마력까지 완벽하게 대응하는 3세대 6단 자동변속기와 결합되었다. E-터보엔진은 최고출력 156마력, 최대토크 24.1kg.m의 뛰어난 퍼포먼스를 선사한다. 또한 복합연비 14.2km/l라는 동급 최고의 연비를 실현, 대한민국 [[가솔린]] 중형 모델로는 최초로 복합 연비 2등급을 획득했다. 그뿐만 아니라 말리부 E-터보 모델은 첨단 배출가스 저감 기술을 바탕으로 제3종 저공해 차량 인증을 획득하여 저 [[배기량]]에 따른 세제 혜택은 물론 공영주차장 할인 등 친환경 차량이 누리는 각종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ref> 황민성 기자, 〈[http://www.kn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2282 스타일과 편의성 더해진 2021년형 쉐보레 더 뉴 말리부 출시]〉, 《경남 데일리》, 2020-10-20 </ref>
  
 +
[[파일:더 뉴 G70.jpg|썸네일|300픽셀|'''[[제네시스 G70]]'''(Genesis G70)]]
 
===현대자동차㈜ 제네시스 G70===
 
===현대자동차㈜ 제네시스 G70===
[[파일:더 뉴 G70.jpg|썸네일|300픽셀|'''[[제네시스 G70]]'''(Genesis G70)]]
 
 
[[제네시스 G70]](Genesis G70)은 [[현대자동차㈜]]의 [[고급차]] 브랜드인 [[제네시스]](Genesis)에서 판매 및 생산하는 [[후륜구동]] D세그먼트 [[스포츠세단]]이다. 제네시스 브랜드 구축 이후 2015년 12월 출시된 [[제네시스 G90]]에 이어 2017년 9월 두 번째로 개발된 차종이다.<ref name="벤츠2">〈[https://ko.wikipedia.org/wiki/%EC%A0%9C%EB%84%A4%EC%8B%9C%EC%8A%A4_G70 제네시스 G70"]〉, 《위키백과》</ref> 제네시스 G70은 비엠더블유 3시리즈,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아우디 A4, [[인피니티 Q50]](Infiniti Q50), [[렉서스 IS]](Lexus IS) 등과 경쟁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제네시스 G70에 장착되는 엔진은 상위 모델에 장착되는 3.3 V6 직분사 트윈 터보엔진은 최고 출력 370마력, 토크는 52.0kg/m이며 토크 밴드의 설정이 1,300rpm부터 4,500rpm까지 고르게 분포되어 실주행 영역에서 풍부한 파워를 낼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제로백]]은 4.7초로, 대한민국 자동차 회사에서 출시한 5초 이하의 제로백을 기록한 것은 앞서 [[기아자동차㈜]] [[스팅어]](Stinger)의 4.9초에 이어 두 번째다.<ref name="벤츠2"></ref> 첫 번째 모델 출시 이후 2020년 10월 20일 첫 번째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더 뉴 제네시스 G70(The new Genesis G70)이 출시되었으며, 더 뉴 G70은 상위 모델인 [[제네시스 G80]], [[제네시스 GV80]]과 마찬가지로 먼저 주문을 받은 후 생산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세계 최고의 자동차 전문지로 꼽히는 미국 모터트렌드(Motor Trend)의 1949년 창간 이후 대한민국 자동차 최초로 G70이 2019 올해의 차로 선정된 이력이 있다.<ref> 김참 기자,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2/03/2018120301943.html 제네시스 G70, 美모터트렌드 ‘올해의 차’로...“BMW 3시리즈 대항마"]〉, 《조선비즈》, 2018-12-03</ref>
 
[[제네시스 G70]](Genesis G70)은 [[현대자동차㈜]]의 [[고급차]] 브랜드인 [[제네시스]](Genesis)에서 판매 및 생산하는 [[후륜구동]] D세그먼트 [[스포츠세단]]이다. 제네시스 브랜드 구축 이후 2015년 12월 출시된 [[제네시스 G90]]에 이어 2017년 9월 두 번째로 개발된 차종이다.<ref name="벤츠2">〈[https://ko.wikipedia.org/wiki/%EC%A0%9C%EB%84%A4%EC%8B%9C%EC%8A%A4_G70 제네시스 G70"]〉, 《위키백과》</ref> 제네시스 G70은 비엠더블유 3시리즈,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아우디 A4, [[인피니티 Q50]](Infiniti Q50), [[렉서스 IS]](Lexus IS) 등과 경쟁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제네시스 G70에 장착되는 엔진은 상위 모델에 장착되는 3.3 V6 직분사 트윈 터보엔진은 최고 출력 370마력, 토크는 52.0kg/m이며 토크 밴드의 설정이 1,300rpm부터 4,500rpm까지 고르게 분포되어 실주행 영역에서 풍부한 파워를 낼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제로백]]은 4.7초로, 대한민국 자동차 회사에서 출시한 5초 이하의 제로백을 기록한 것은 앞서 [[기아자동차㈜]] [[스팅어]](Stinger)의 4.9초에 이어 두 번째다.<ref name="벤츠2"></ref> 첫 번째 모델 출시 이후 2020년 10월 20일 첫 번째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더 뉴 제네시스 G70(The new Genesis G70)이 출시되었으며, 더 뉴 G70은 상위 모델인 [[제네시스 G80]], [[제네시스 GV80]]과 마찬가지로 먼저 주문을 받은 후 생산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세계 최고의 자동차 전문지로 꼽히는 미국 모터트렌드(Motor Trend)의 1949년 창간 이후 대한민국 자동차 최초로 G70이 2019 올해의 차로 선정된 이력이 있다.<ref> 김참 기자,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2/03/2018120301943.html 제네시스 G70, 美모터트렌드 ‘올해의 차’로...“BMW 3시리즈 대항마"]〉, 《조선비즈》, 2018-12-03</ref>
 
==기준==
 
[[세그먼트]](Segment)는 차량의 등급을 나타내는 용어로 차량의 [[전장]]과 용도를 기준으로 분류한 것이다. 주로 [[유럽]]에서 사용하며 전장 길이에 따라 알파벳 순서대로 [[A세그먼트]] 부터 [[F세그먼트]]로, 용도에 따라 [[J세그먼트]], [[M세그먼트]], [[S세그먼트]]로 분류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배기량]]에 따라 경형, 소형, 준중형, 중형, 준대형, 대형으로 구분한다. 최근 자동차 트렌드에 맞는 분류법은 미국식 분류법인데 마이크로, 서브 콤팩트, 콤팩트, 미드사이즈, 엔트리레벨 럭셔리, 풀사이즈, 미드사이즈 럭셔리, 풀사이즈 럭셔리, 그랜드 투어fh, 슈퍼카, 컨버터블, 로드스터 등 비교적 세분되어 있다.<ref name="우종국">우종국 자동차칼럼니스트, 〈[https://www.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181242 올댓카 : 아반떼 유럽선 ‘중형차’ 미국선 ‘콤팩트카’]〉, 《일요신문》, 2016-05-20</ref> 한편 차의 크기가 지속적으로 커져 A세그먼트의 3.5m 기준과 F세그먼트의 5m 기준을 제외하면 무너진 지 오래다. [[C세그먼트]] 차들의 길이는 4.6m를 넘은 지 오래고, D세그먼트 차들은 4.8m를 넘어 4.9m를 넘어서려 하고 있다. 컴팩트 이그제큐티브 카를 비롯한 유럽향 D세그먼트 차들도 4.7m를 넘었고, 비교적 엄격했던 E/F세그먼트의 기준인 5m도 의미가 없어지려 하고 있다. 당장 쉐보레 임팔라는 E세그먼트로 출시됐으나 5,110mm이다.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