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MA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LG화학 배터리가 쓰이는 GM 전기차 플랫폼 '얼티엄'.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LG화학 배터리가 쓰이는 GM 전기차 플랫폼 '얼티엄']]
 
[[파일:LG화학 배터리가 쓰이는 GM 전기차 플랫폼 '얼티엄'.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LG화학 배터리가 쓰이는 GM 전기차 플랫폼 '얼티엄']]
 
[[파일:LG화학 전기차용 배터리셀.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LG화학 전기차용 배터리셀]]
 
[[파일:LG화학 전기차용 배터리셀.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LG화학 전기차용 배터리셀]]
 
+
'''NCMA'''는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NCMA)을 사용한 4원계 '''[[리튬 하이니켈 배터리]]'''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당초 예상보다 1년 앞 당겨 2021년 2분기에 출시한다. 새로 개발한 배터리 셀은 니켈과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산 리튬 양극 배터리로 코발트 비율을 5% 이하로 억제하고 니켈의 비율을 90%로 높였으며 알루미늄을 추가해 안성정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 NCMA배터리셀은 [[테슬라]]와 [[GM]]에게 공급한다. 테슬라용으로는 [[엘엔에프]](L&F)로부터 GM용으로는 [[포스코화학]]으로부터 양극재를 조달한다. 이를 바탕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다른 업체에게도 '''[[NCM]]'''에서 NCMA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NCMA는 [[LG화학]]과 GM의 합작사 얼티움 셀즈(Ultium Cells)도 올 해 생산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ref>채영석 기자,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10&wr_id=4117 LG에너지솔루션, NCMA 양극 배터리셀 양산 앞당긴다]〉, 《글로벌오토뉴스》, 2021-01-11</ref>  
'''NCMA'''(엔씨엠에이)는 [[니켈]]·[[코발트]]·[[망가니즈]]·[[알루미늄]]을 사용한 4원계 [[리튬 하이니켈 배터리]]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당초 예상보다 1년 앞 당겨 2021년 2분기에 출시한다. 새로 개발한 [[배터리셀]]은 니켈과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산 리튬 양극 배터리로 코발트 비율을 5% 이하로 억제하고 니켈의 비율을 90%로 높였으며 알루미늄을 추가해 안성정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 NCMA 배터리셀은 [[테슬라]]와 [[GM]]에게 공급한다. 테슬라용으로는 [[엘엔에프]](L&F)로부터 GM용으로는 [[포스코화학]]으로부터 양극재를 조달한다. 이를 바탕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다른 업체에게도 '''[[NCM]]'''에서 NCMA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NCMA는 [[LG화학]]과 GM의 합작사 얼티움 셀즈(Ultium Cells)도 올 해 생산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ref>채영석 기자,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10&wr_id=4117 LG에너지솔루션, NCMA 양극 배터리셀 양산 앞당긴다]〉, 《글로벌오토뉴스》, 2021-01-11</ref>  
 
  
 
주행거리와 안정성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NCMA 배터리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이전까지 대세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주행거리와 안정성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NCMA 배터리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이전까지 대세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10번째 줄: 9번째 줄:
 
NCMA는 기존 하이니켈 [[NCM]]에 알루미늄을 포함한 조합이다. 최근 배터리 제조사는 전기차 주행거리 향상을 위해 하이니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니켈이 많을수록 에너지밀도가 높아져 고용량 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 문제는 안정성이다. 보완재가 알루미늄이다. 알루미늄은 출력을 높여주고 화학적 불안정성을 낮춰준다. LG에너지솔루션이 NCMA 배터리를 다음 제품으로 낙점한 이유다. NCMA는 니켈 함량이 89~90% 수준에 코발트는 5% 이하다. 한 번 충전으로 600킬로미터(km) 이상을 달릴 수 있는 제품이다. 값은 코발트에 비해 20배가량 저렴하면서도 출력 성능을 높이는 알루미늄 추가로 가격 경쟁력을 높였다.
 
NCMA는 기존 하이니켈 [[NCM]]에 알루미늄을 포함한 조합이다. 최근 배터리 제조사는 전기차 주행거리 향상을 위해 하이니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니켈이 많을수록 에너지밀도가 높아져 고용량 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 문제는 안정성이다. 보완재가 알루미늄이다. 알루미늄은 출력을 높여주고 화학적 불안정성을 낮춰준다. LG에너지솔루션이 NCMA 배터리를 다음 제품으로 낙점한 이유다. NCMA는 니켈 함량이 89~90% 수준에 코발트는 5% 이하다. 한 번 충전으로 600킬로미터(km) 이상을 달릴 수 있는 제품이다. 값은 코발트에 비해 20배가량 저렴하면서도 출력 성능을 높이는 알루미늄 추가로 가격 경쟁력을 높였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19년 12월 GM과 배터리 합작법인 [[얼티엄셀즈]]를 설립했다. 얼티엄셀즈는 미국 오하이오주 로즈타운에 배터리 공장을 짓는다. 이곳에서 NCMA 배터리가 양산되고 GM 전기차에 투입된다. 테슬라도 하이니켈이면서 안정성을 갖춘 NCMA를 차세대 배터리로 선택했다.<ref>김도현 기자, 〈[http://m.ddaily.co.kr/m/m_article/?no=206605 GM 이어 테슬라도 'NCMA배터리'…LG, 차세대 시장 선점]〉, 《디지털데일리》, 2020-12-17</ref> <ref>이광영 기자,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2/18/2020121802511.html K배터리, 中 못 만든 '하이니켈 배터리'로 글로벌 선두 굳힌다]〉, 《IT조선》, 2020-12-20</ref>
+
LG에너지솔루션은 2019년 12월 GM과 배터리 합작법인 [[얼티엄셀즈]]를 설립했다. 얼티엄셀즈는 미국 오하이오주 로즈타운에 배터리 공장을 짓는다. 이곳에서 NCMA 배터리가 양산되고 GM 전기차에 투입된다. 테슬라도 하이니켈이면서 안정성을 갖춘 NCMA를 차세대 배터리로 선택했다.<ref>김도현 기자, 〈[http://m.ddaily.co.kr/m/m_article/?no=206605 GM 이어 테슬라도 'NCMA배터리'…LG, 차세대 시장 선점]〉, 《디지털데일리》, 2020-12-17</ref> <ref>이광영 기자,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2/18/2020121802511.html K배터리, 中 못 만든 '하이니켈 배터리'로 글로벌 선두 굳힌다]〉, 《IT조선》, 2020-12-20</ref>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채영석 기자,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10&wr_id=4117 LG에너지솔루션, NCMA 양극 배터리셀 양산 앞당긴다]〉, 《글로벌오토뉴스》, 2021-01-11
 
* 채영석 기자,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10&wr_id=4117 LG에너지솔루션, NCMA 양극 배터리셀 양산 앞당긴다]〉, 《글로벌오토뉴스》, 2021-01-11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