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T (자동차)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SRT (자동차) 로고.png|썸네일|200픽셀|'''SRT'''(Strees & Racing Technology)]]
+
[[파일:에스알티 로고.png|썸네일|200픽셀|'''에스알티'''(SRT, Strees & Racing Technology)]]
[[파일:SRT (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SRT'''(Strees & Racing Technology)]]
+
[[파일:에스알티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에스알티'''(SRT, Strees & Racing Technology)]]
 
[[파일:스텔란티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스텔란티스]]'''(Stellantis)]]
 
[[파일:스텔란티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스텔란티스]]'''(Stellantis)]]
[[파일:SRT (자동차) 엠블럼.png|썸네일|300픽셀|'''SRT''' 엠블럼]]
+
[[파일:에스알티 엠블럼.png|썸네일|300픽셀|'''에스알티'''(SRT) 엠블럼]]
  
'''SRT'''(에스알티)는 "Strees & Racing Technology"의 약자로서, 미국의 고성능 자동차 브랜드이다. [[스텔란티스]] 그룹에 속한다.  
+
'''에스알티'''(SRT, Strees & Racing Technology)는 미국의 고성능 자동차 그룹이다. SRT는 1989년 '''[[닷지]]''' 바이퍼(Dodge Viper)를 개발하기 위해 "팀 바이퍼"(Team Viper)로 시작했다. 나중에 플리머스 프로블러의 개발자인 팀 프롤러(Team Proler)와 합병하여 특수 차량 엔지니어링"(SVE)이 되었다. SRT는 '스트리트 앤드 레이싱 테크놀로지(Street and Racing Technology)'의 줄임말로, 닷지의 고성능 모델 라인업이다. 2002년 1월부터 2004년 경까지 "PVO"(Performance Vehicle Operations)로 이름이 바뀌었다. 모든 PVO 차량이 "SRT" 브랜드를 사용했기 때문에, 2004년에 개발 팀 자체가 SRT로 이름이 바뀌었다. SRT는 크라이슬러, 닷지, 지프 브랜드의 차량을 생산했다.<ref> "[https://en.wikipedia.org/wiki/Street_%26_Racing_Technology Street & Racing Technology]", ''Wikipedia'', </ref>
  
SRT는 1989년 '''[[닷지]]''' 바이퍼(Dodge Viper)를 개발하기 위해 "팀 바이퍼"(Team Viper)로 시작했다. 나중에 플리머스 프로블러의 개발자인 팀 프롤러(Team Proler)와 합병하여 특수 차량 엔지니어링"(SVE)이 되었다. SRT는 '스트리트 앤드 레이싱 테크놀로지(Street and Racing Technology)'의 줄임말로, 닷지의 고성능 모델 라인업이다. 2002년 1월부터 2004년 경까지 "PVO"(Performance Vehicle Operations)로 이름이 바뀌었다. 모든 PVO 차량이 "SRT" 브랜드를 사용했기 때문에, 2004년에 개발 팀 자체가 SRT로 이름이 바뀌었다. SRT는 크라이슬러, 닷지, 지프 브랜드의 차량을 생산했다.<ref>"[https://en.wikipedia.org/wiki/Street_%26_Racing_Technology Street & Racing Technology]", ''Wikipedia''</ref>
+
2011년에는 고성능 모델을 개발하는 '''[[크라이슬러]]'''그룹의 고성능 브랜드로 런칭되었으며 전문 부서에서 크라이슬러 내 가장 유니크한 독립 브랜드로 재탄생하게 됐다. SRT 모델들은 한정된 수량으로 생산되며 모터 스포츠 기술을 일반 차량에 접목해 고성능 자동차의 정수를 보여 주었다. 현재 '''[[FCA]]''' 와 '''[[PSA그룹]]'''이 합병된 '''[[스텔란티스]]'''(Stellantis)가 만들어지면서 FCA 의 라인업 일부가 변경되었고 그 중 SRT(Street & Racing Technology) 부서가 해체되었다. 이제 SRT 브랜드는 엔지니어만 유지되며 다른 고성능 모델을 개발하고 만드는데 사용된다고 한다. 그러나, SRT 브랜드의 차량 판매는 계속할 것이라고 한다.<ref> 〈[https://rgbstance.com/1106 스텔란티스(Stellantis), SRT 부서 해체]〉, 《RGB 스탠스》, 2021-02-16</ref>   
 
 
2011년에는 고성능 모델을 개발하는 '''[[크라이슬러]]''' 그룹의 고성능 브랜드로 런칭되었으며 전문 부서에서 크라이슬러 내 가장 유니크한 독립 브랜드로 재탄생하게 됐다. SRT 모델들은 한정된 수량으로 생산되며 모터 스포츠 기술을 일반 차량에 접목해 고성능 자동차의 정수를 보여 주었다. 현재 '''[[FCA]]''' 와 '''[[PSA그룹]]'''이 합병된 '''[[스텔란티스]]'''(Stellantis)가 만들어지면서 FCA 의 라인업 일부가 변경되었고 그 중 SRT(Street & Racing Technology) 부서가 해체되었다. 이제 SRT 브랜드는 엔지니어만 유지되며 다른 고성능 모델을 개발하고 만드는데 사용된다고 한다. 그러나, SRT 브랜드의 차량 판매는 계속할 것이라고 한다.<ref> 〈[https://rgbstance.com/1106 스텔란티스(Stellantis), SRT 부서 해체]〉, 《RGB 스탠스》, 2021-02-16</ref>   
 
 
{{:자동차 배너|테슬라}}
 
{{:자동차 배너|테슬라}}
  
 
== 개요 ==
 
== 개요 ==
SRT가 모델에 사용하는 명명 규칙은 차량의 엔진 유형을 나타낸다. "SRT" 뒤에 오는 숫자는 엔진 실린더의 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Crysler 300C SRT8은 6.1L Hemi V-8이며 SRT 버전은 Crysler 300C SRT-8로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Dodge Viper SRT-10과 Dodge Ram SRT-10은 8.3L V-10을 탑재하고 있다.
+
에스알티가 모델에 사용하는 명명 규칙은 차량의 엔진 유형을 나타낸다. "SRT" 뒤에 오는 숫자는 엔진 실린더의 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Crysler 300C SRT8은 6.1L Hemi V-8이며 SRT 버전은 Crysler 300C SRT-8로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Dodge Viper SRT-10과 Dodge Ram SRT-10은 8.3L V-10을 탑재하고 있다.
  
 
현재 가장 빠른 SRT 생산 모델은 쿼터마일 시간이 9.65초인 2018년형 닷지 챌린저 데몬, 쿼터마일 시간이 11.5초인 2021년형 닷지 챌린저 SRT 슈퍼 스톡, 쿼터마일 시간이 10.6초인 2021년형 닷지차저 SRT 헬캣 레디아이, 11.0초인 2015년형 닷지 차저 헬캣이다. 쿼터마일 타임 11.1초인 2013년형 닷지 바이퍼, 2015년형 챌린저 헬캣은 11.2초, 닷지 듀랑고 SRT 헬캣은 11.5초, 지프 그랜드 체로키 트랙호크는 11.5초, 그리고 닷지 챌린저 R/T 스캣 팩 1320 쿼터마일 타임은 11.7초이다. 다른 SRT 모델들은 AMG 기반의 크라이슬러 크로스파이어 SRT-6의 경우 12.8초, 닷지 네온 SRT-4의 경우 13.9초의 쿼터마일 성능을 기록하였다.
 
현재 가장 빠른 SRT 생산 모델은 쿼터마일 시간이 9.65초인 2018년형 닷지 챌린저 데몬, 쿼터마일 시간이 11.5초인 2021년형 닷지 챌린저 SRT 슈퍼 스톡, 쿼터마일 시간이 10.6초인 2021년형 닷지차저 SRT 헬캣 레디아이, 11.0초인 2015년형 닷지 차저 헬캣이다. 쿼터마일 타임 11.1초인 2013년형 닷지 바이퍼, 2015년형 챌린저 헬캣은 11.2초, 닷지 듀랑고 SRT 헬캣은 11.5초, 지프 그랜드 체로키 트랙호크는 11.5초, 그리고 닷지 챌린저 R/T 스캣 팩 1320 쿼터마일 타임은 11.7초이다. 다른 SRT 모델들은 AMG 기반의 크라이슬러 크로스파이어 SRT-6의 경우 12.8초, 닷지 네온 SRT-4의 경우 13.9초의 쿼터마일 성능을 기록하였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