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2번째 줄: 2번째 줄:
  
 
==개요==
 
==개요==
 +
고려대학교는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위치한 서울캠퍼스, 세종캠퍼스 및 안암병원, 구로병원, 안산병원등 3개의 부속병원으로 구성되어있다.
  
 
==역사==
 
==역사==

2019년 9월 25일 (수) 16:13 판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Korea University,KU)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4년제 사립 대학교이다.

개요

고려대학교는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위치한 서울캠퍼스, 세종캠퍼스 및 안암병원, 구로병원, 안산병원등 3개의 부속병원으로 구성되어있다.

역사

  • 1905년 ~ 1917년
1905년 사립보성 전문학교로 개교한 고려대학교는 충숙공 이용익이 설립하였으며, 초대 교장은 신해영이 취임했다. 법률학전문과와 이재학전문과 2개 학과로 개교해 박동의 아어학교 건물을 사용하였다. 1906년 박동, 김교현의 가옥 200여칸을 매입해 교사를 확장하고 보전친목회 창립총회를 개최하였다. 1907년 법률학전문과와 이재학전문과를 각각 법률과와 경제과로 개칭하고 수업연한을 3년으로 연장시켰다. 이종호가 학교의 경영을 인수하고 학술지 '법정학계'기 창간되었다. 1910년 학과를 법과, 경제과, 상과, 정과의 4개 학과로 확장시키고 학교 이름을 '보성대학'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학부에 설립청원서를 제출했다. 기존 경제과를 폐지하고 상과를 설치, 천도교에서 보성전문학교를 인수했다. 1915년 총독부의 '전문학교규칙'이 시행됨에 따라 교명을 사립보성법률상업학교로 변경하고 수업연한 3년제의 법률과와 상업과를 운영했다.
  • 1918년 ~ 1945년
1918년 교사를 낙원동으로 이전, 1919년 보전 교주와 보전 학생들을 주축으로 한 3.1 운동이 일어났고 그로 인해 천도교 대도주와 교장, 학생대표등이 체포되었다. 1920년 재단법인 설립을 위해 기성회를 조직했다. 1921년 김기태와 박인호 등 58명의 공동명의로 재단법인 보성전문학교를 설립하였다. 재단법인을 설립함에 따라 교명을 보성전문학교로 환원하고 수업연한 3년제의 법과와 상과 2개과를 운영한다. 1922년 교사를 송현동으로 이전, 1923년 졸업생에 대한 조선인 판임관 특별임용자격을 인정받았다. 1925년 문예부 잡지인 '시종'과 교우회 잡지 '보성'이 창간되었고, 1926년 6.10 만세운동과 관련해 학생 200여명이 구속되었다. 1932년 재정난에 빠진 학교를 인촌 김성수 주도하에 재단법인 중앙학원이 보성전문학교를 인수했다. 1944년 조선총독부의 지시로 경성척식전문학교로 변경당하였으나 1945년 광복을 맞아 보성전문학교로 교명을 환원하게 된다.
  • 1946년 ~ 1959년
1946년 교명을 고려대학교로 개칭하였으며 종합대학으로 설립인가 하였다. 정법대학에 정치학과와 법률학과, 경상대학에 경제학과와 상학과, 문과대학에 국문학과, 영문학과, 철학과, 사학과를 신설하였다.1947년 학생의날과 광주학생항일운동 기념일을 맞아 '고대신문'을 창간했다. 영자신문인 'The Granite Tower'는 1954년 민영빈에 의해 창간되었으며 같은해 문리과대학 수물학과를 수학과와 물리학과로 분리 시켰다. 1956년 고연전을 재개시켰다. 1957년 UN 기탁 도서관, 한국고전국역위원회, 아세아문제연구소등을 설립하였다. 1959년 농업경영학과와 교육심리학과를 신설하고, 학교 배지로 진홍색 바탕에 호랑이 문양이 도안된 공통 배지를 마련하였다.
  • 1960년 ~ 1969년
1960년대에 고려대학교는 잦은 휴교 사태를 빚었다. 1960년 3.15 부정선거와 관련해 실종된 김주열 열사 시신이 발견되었고, 이와 관련해 거사를 계획하였다. 4월 18일 학생 약 3,000명이 자유당 정권의 독재에 항거하여 데모를 감행하였고 4.19혁명의 선봉이 되었다. 같은해 경영신문이 창간되었다.1961년 원예학과와 학도군사훈련단(ROTC)가 신설되었다. 1962년 박물관이 신축되어 개관했으며 심리학과 분리 개편 및 사회학과, 독문학과,불문학과, 축산학과, 통계학과등을 신설하였다. 1964년 6.3학생 시위와 관련해 학생 13명이 구속되었다. 1965년 2,500여명의 학생이 한일회담을 반대하며 시위했고, 이에 휴교를 결정하였다. 같은해 수천명의 학생이 한일협정 비준 무효화를 주장하며 5일간 시위를 벌여 무장군인 150명이 학교에 난입, 시위로 인해 4일간 휴교 조치 되었고 이와 관련해 문교부의 휴교령이 15일간 발령되었다. 1969년 3선 개헌 반대 시위로 5일간 휴교했으며, 신문방송연구소와 고대방송국이 설립 및 개국했다.
  • 1970년 ~1979년
  • 1980년 ~ 1989년
  • 1990년 ~ 1999년
  • 200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