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비인베스트먼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엘비인베스트먼트㈜'''(LBInvestment)<!--LB 인베스트먼트, LB인베스트먼트, -->1996년 7월 4일 LG그룹 계열의 LG창업투자회사로 설립되었으며, 20...)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엘비인베스트먼트㈜'''(LBInvestment)<!--LB 인베스트먼트, LB인베스트먼트, -->1996년 7월 4일 LG그룹 계열의 LG창업투자회사로 설립되었으며, 2008년 계열에서 독립하고 현재의 사명 LB인베스트먼트㈜로 변경하였다.  
+
'''엘비인베스트먼트㈜'''(LB Investment)<!--LB 인베스트먼트, LB인베스트먼트, 엘비인베스트먼트,--> 한국의 벤처캐피탈이다. 1996년 7월 4일 LG그룹 계열의 LG창업투자회사로 설립되었으며, 2008년 계열에서 독립하고 현재의 사명 LB인베스트먼트㈜로 변경하였다. 운용자산 규모는 7,000억원(2018년 기준)에 달한다.<ref>박호현 기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1VGHGGBZAN [시그널 초대석] 박기호 엘비인베스트먼트 대표 “VC 생존 열쇠는 신뢰 구축...벤처 네트워크 유지에 심혈']〉, 《서울경제》, 2019-03-06</ref>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12 신안빌딩 13층에 있으며 대표자는 [[구본천]]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12 신안빌딩 13층에 있으며 대표자는 [[구본천]]이다.  
+
2019년 8월, 엘비인베스트먼트는 [[다담 인베스트먼트], [[신한은행]], [[하나은행]]을 비롯해 국내 주요 금융권 투자기관과 함께 국내 블록체인 개발업체 [[블로코]]에 90억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에 참여했다.<ref>윤현기 기자,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6701 블로코, 90억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데이터넷》, 2019-08-22</ref>
  
 
== 개요 ==
 
== 개요 ==
 +
엘비인베스트먼트는 2007년에 상하이 법인을 설립하고 현재는 한국과 중국의 벤처 투자와 중대형 기업을 투자하는 [[사모투자]](Private Equity)회사로 성장하고 있다.
  
2001년 벤처캐피탈리스트 서베이에서 ‘가장 투자를 잘하는 벤처캐피탈’, 2010년 중소기업청 최고의 벤처캐피탈, 2011년 Best Execution House, 2014년 국민연금 우수운용사, 2018년 한국벤처투자 최우수 운용사, 2018년 우정사업본부 최우수 운용사로 선정되는 등 뛰어난 투자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창투사 평가에서도 전 기간 A등급 이상을 획득하여 안정적인 시스템 체계를 인정받았다.
+
엘비인베스트먼트는 2007년 중국 시장에 진출한 뒤 12년간 24개 기업에 1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다. 이 중 7개 기업은 매각, 상장(IPO)등을 통해 회수를 마쳤다. 중국 소프트웨어 업체 유유춘(UUCUN)과 온라인비디오 업체 피피스트림(PPSteam)을 중국 최대 전자상 거래 기업인 [[바이두]]에 식스룸즈(6Rooms)를 중국 상장기업인 송성연예에 마각한 것이 대표적이다. 2018년에는 2015년 투자했던 데이팅 애플리케이션 업체 탄탄(TanTan)을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중국 1위 데이팅 애플리케이션 업체 모모(MoMo)에 매각했다. 두차례 투자를 통해 3년만에 3.5배 수익을 거뒀다.
 +
2019년 들어서 공유경제, 디지털 헬스케어, 하이테크 분야 스타트업 투자에 주력하고 있다. 관련 분야 투자액은 1,100만 달러에 달하며 중국 핀테크 업체인 에셋프로(Asset-Pro), 공유경제 업체인 찹클라우드(Chomp-Cloud), 디지털 헬스케어업체인 91헬스(91Health)등이 꼽힌다.<ref name="마켓">김채연 기자, 〈[http://marketinsight.hankyung.com/apps.free/free.news.view?aid=201907092763r&category=IB_FREE [마켓인사이트]LB인베, 4년 연속 중국 내 톱 50 외국계 VC 선정]〉, 《마켓인사이트》, 2019-07-09</ref>
 +
 
 +
== 주요 연혁 ==
 +
* 1996년 07월 LG창업투자회사 설립
 +
* 1998년 08월 정보통신부에서 제1호 정보통신전문투자조합 파트너로 선정. 09월 제1호 정보통신전문LG투자조합(100억) 결성
 +
* 1999년 10월 제2호 MIC 99-3 LG투자조합(100억) 결성. 10월 제3호 밀레니엄 LG투자조합(20억) 결성
 +
* 2000년 04월 LG그룹 계열분리, 제4호 LG-CEO 펀드(100억) 결성. 08월 제5호 뉴프론티어LG투자조합(100억) 결성. 12월 제6호 에이스LG투자조합(100억) 결성
 +
* 2002년 01월 제7호 MIC 2001-18 LG투자조합(125억) 결성. 06월 – 제8호 LG머큐리펀드(150억) 결성
 +
* 2003년 01월 구본천 대표이사 취임 07월 비전 2007 선포, 윤리강령 제정 및 임직원 윤리서약. 09월 제9호 2003 KIF-LG IT전문(장비)투자조합(230억) 결성
 +
* 2004년 09월 제10호 LG대중소기업협력펀드(250억) 결성. 12월 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상
 +
* 2005년 10월 제11호 LG쥬피터펀드(한국모태펀드05-06)(300억원) 결성
 +
* 2006년 08월 구본천 대표이사 산업포장 수상 (벤처코리아 2006). 11월 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CRC) 등록
 +
* 2007년 04월 제12호 국민연금07-06LG투자조합(270억) 결성. 08월 제13호 LG차이나펀드I(370억) 결성. 09월 LG기업구조조정조합1호(200억) 결성. 10월 중국 상하이 사무소 개설
 +
* 2008년 07월 사명변경 LB인베스트먼트, CI 및 비전 2012 제정. 08월 LB기업구조조정조합2호(42억) 결성
 +
* 2009년 04월 제14호 LB레오펀드(200억) 결성(주요출자자:모태펀드) 10월 제15호 09-8 LB투자조합(300억) 결성(주요출자자:국민연금) 12월 제16호 LB 제미니 신성장펀드(979억) 결성(주요출자자:모태펀드)
 +
* 2010년 03월 LG이노텍얼라이언스펀드(300억) 결성 (주요출자자:LG이노텍) 07월 제17호 KoFC-LB Pioneer Champ 2010-10호 투자조합(330억) 결성(주요출자자:한국산업은행) 10월 신성장벤처투자조합(260억) 결성 (주요출자자:LG전자)
 +
* 2011년 01월 제18호 LB 크로스보더 펀드 Ⅱ(715억) 결성(주요출자자:국민연금) 03월 2010년 최고의 벤처캐피탈 선정, 중소기업청장상(대상) 수상 12월 제19호 KoFC-LB Pioneer Champ 2011-4호 투자조합(716억) 결성(주요출자자:한국산업은행)
 +
* 2012년 2005~2012 – 중소기업청 창투사 평가 ‘all A’ 획득 (‘07-’09 평가 면제)
 +
* 2013년 11월 신성장벤처투자조합Ⅱ(152억) 결성 (주요출자자:LG전자) 12월 중소기업청 창투사 평가 “A+” 획득 (‘05~’13년)(경영상태, 조합운용, 운용인력, 투명성, 준법사항)
 +
 
 +
 
 +
 
 +
 
 +
== 수상내역 ==
 +
* 2001년 벤처캐피탈리스트 서베이에서 ‘가장 투자를 잘하는 벤처캐피탈’, 2010년 중소기업청 최고의 벤처캐피탈, 2011년 Best Execution House, 2014년 국민연금 우수운용사, 2018년 한국벤처투자 최우수 운용사, 2018년 우정사업본부 최우수 운용사로 선정되는 등 뛰어난 투자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창투사 평가에서도 전 기간 A등급 이상을 획득하여 안정적인 시스템 체계를 인정받았다.
 +
* 중국 유력 벤처전문 미디어인 '차이나 벤처'가 발표한 중국 내 외국계 벤처캐피탈 순위에서 39위에 올랐다. 4년 연속 50위권 내에 포함된 VC는 국내에선 LB가 유일하다.<ref name="마켓"></ref>
  
2007년 설립한 상해법인을 통해 아시아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
 
  
  

2019년 8월 28일 (수) 11:40 판

엘비인베스트먼트㈜(LB Investment) 한국의 벤처캐피탈이다. 1996년 7월 4일 LG그룹 계열의 LG창업투자회사로 설립되었으며, 2008년 계열에서 독립하고 현재의 사명 LB인베스트먼트㈜로 변경하였다. 운용자산 규모는 7,000억원(2018년 기준)에 달한다.[1]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12 신안빌딩 13층에 있으며 대표자는 구본천이다.

2019년 8월, 엘비인베스트먼트는 [[다담 인베스트먼트], 신한은행, 하나은행을 비롯해 국내 주요 금융권 투자기관과 함께 국내 블록체인 개발업체 블로코에 90억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에 참여했다.[2]

개요

엘비인베스트먼트는 2007년에 상하이 법인을 설립하고 현재는 한국과 중국의 벤처 투자와 중대형 기업을 투자하는 사모투자(Private Equity)회사로 성장하고 있다.

엘비인베스트먼트는 2007년 중국 시장에 진출한 뒤 12년간 24개 기업에 1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다. 이 중 7개 기업은 매각, 상장(IPO)등을 통해 회수를 마쳤다. 중국 소프트웨어 업체 유유춘(UUCUN)과 온라인비디오 업체 피피스트림(PPSteam)을 중국 최대 전자상 거래 기업인 바이두에 식스룸즈(6Rooms)를 중국 상장기업인 송성연예에 마각한 것이 대표적이다. 2018년에는 2015년 투자했던 데이팅 애플리케이션 업체 탄탄(TanTan)을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중국 1위 데이팅 애플리케이션 업체 모모(MoMo)에 매각했다. 두차례 투자를 통해 3년만에 3.5배 수익을 거뒀다. 2019년 들어서 공유경제, 디지털 헬스케어, 하이테크 분야 스타트업 투자에 주력하고 있다. 관련 분야 투자액은 1,100만 달러에 달하며 중국 핀테크 업체인 에셋프로(Asset-Pro), 공유경제 업체인 찹클라우드(Chomp-Cloud), 디지털 헬스케어업체인 91헬스(91Health)등이 꼽힌다.[3]

주요 연혁

  • 1996년 07월 LG창업투자회사 설립
  • 1998년 08월 정보통신부에서 제1호 정보통신전문투자조합 파트너로 선정. 09월 제1호 정보통신전문LG투자조합(100억) 결성
  • 1999년 10월 제2호 MIC 99-3 LG투자조합(100억) 결성. 10월 제3호 밀레니엄 LG투자조합(20억) 결성
  • 2000년 04월 LG그룹 계열분리, 제4호 LG-CEO 펀드(100억) 결성. 08월 제5호 뉴프론티어LG투자조합(100억) 결성. 12월 제6호 에이스LG투자조합(100억) 결성
  • 2002년 01월 제7호 MIC 2001-18 LG투자조합(125억) 결성. 06월 – 제8호 LG머큐리펀드(150억) 결성
  • 2003년 01월 구본천 대표이사 취임 07월 비전 2007 선포, 윤리강령 제정 및 임직원 윤리서약. 09월 제9호 2003 KIF-LG IT전문(장비)투자조합(230억) 결성
  • 2004년 09월 제10호 LG대중소기업협력펀드(250억) 결성. 12월 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상
  • 2005년 10월 제11호 LG쥬피터펀드(한국모태펀드05-06)(300억원) 결성
  • 2006년 08월 구본천 대표이사 산업포장 수상 (벤처코리아 2006). 11월 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CRC) 등록
  • 2007년 04월 제12호 국민연금07-06LG투자조합(270억) 결성. 08월 제13호 LG차이나펀드I(370억) 결성. 09월 LG기업구조조정조합1호(200억) 결성. 10월 중국 상하이 사무소 개설
  • 2008년 07월 사명변경 LB인베스트먼트, CI 및 비전 2012 제정. 08월 LB기업구조조정조합2호(42억) 결성
  • 2009년 04월 제14호 LB레오펀드(200억) 결성(주요출자자:모태펀드) 10월 제15호 09-8 LB투자조합(300억) 결성(주요출자자:국민연금) 12월 제16호 LB 제미니 신성장펀드(979억) 결성(주요출자자:모태펀드)
  • 2010년 03월 LG이노텍얼라이언스펀드(300억) 결성 (주요출자자:LG이노텍) 07월 제17호 KoFC-LB Pioneer Champ 2010-10호 투자조합(330억) 결성(주요출자자:한국산업은행) 10월 신성장벤처투자조합(260억) 결성 (주요출자자:LG전자)
  • 2011년 01월 제18호 LB 크로스보더 펀드 Ⅱ(715억) 결성(주요출자자:국민연금) 03월 2010년 최고의 벤처캐피탈 선정, 중소기업청장상(대상) 수상 12월 제19호 KoFC-LB Pioneer Champ 2011-4호 투자조합(716억) 결성(주요출자자:한국산업은행)
  • 2012년 2005~2012 – 중소기업청 창투사 평가 ‘all A’ 획득 (‘07-’09 평가 면제)
  • 2013년 11월 신성장벤처투자조합Ⅱ(152억) 결성 (주요출자자:LG전자) 12월 중소기업청 창투사 평가 “A+” 획득 (‘05~’13년)(경영상태, 조합운용, 운용인력, 투명성, 준법사항)



수상내역

  • 2001년 벤처캐피탈리스트 서베이에서 ‘가장 투자를 잘하는 벤처캐피탈’, 2010년 중소기업청 최고의 벤처캐피탈, 2011년 Best Execution House, 2014년 국민연금 우수운용사, 2018년 한국벤처투자 최우수 운용사, 2018년 우정사업본부 최우수 운용사로 선정되는 등 뛰어난 투자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창투사 평가에서도 전 기간 A등급 이상을 획득하여 안정적인 시스템 체계를 인정받았다.
  • 중국 유력 벤처전문 미디어인 '차이나 벤처'가 발표한 중국 내 외국계 벤처캐피탈 순위에서 39위에 올랐다. 4년 연속 50위권 내에 포함된 VC는 국내에선 LB가 유일하다.[3]



참고자료

  • 박호현 기자, 〈[시그널 초대석 박기호 엘비인베스트먼트 대표 “VC 생존 열쇠는 신뢰 구축...벤처 네트워크 유지에 심혈']〉, 《서울경제》, 2019-03-06
  • 윤현기 기자, 〈블로코, 90억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데이터넷》, 2019-08-22
  • 3.0 3.1 김채연 기자, 〈[마켓인사이트LB인베, 4년 연속 중국 내 톱 50 외국계 VC 선정]〉, 《마켓인사이트》, 2019-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