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디추싱

해시넷
sms1208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7월 22일 (월) 15:4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디디추싱(滴滴出行, Didi Chuxing)중국 최대 차량공유기업으로 대륙을 대표하는 유니콘 기업 중 하나다. 2012년에 29살의 청년 청웨이(程維)가 디디다처(滴滴打車)를 창업했다. 2015년 2월 텐센트가 투자한 디디다처(滴滴打车, Didi Dache)와 알리바바 그룹이 투자한 콰이디다처(快的打车, Kuaidi Dache)가 합병하여 탄생했다.

중국 차량공유 시장에서 디디추싱의 점유율은 90%에 육박한다. 한때는 99.8%에 달했다가 그나마 줄어든 수치다. 디디추싱은 중국 400여개 도시에서 일평균 3,100만건 호출, 등록 운전자 2,100만명, 연간 이용객 5억5,000만명을 자랑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CB인사이츠가 지난 5월 발표한 중국 종합 모빌리티 기업 ‘디디추싱(滴滴出行)’의 기업가치 평가액은 560억달러, 한화로 67조원에 달한다. 전 세계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0억달러 넘는 비상장기업) 346개 중 바이트댄스와 우버에 이어 3위다.[1]

총재 겸 사장은 레노버 류촨즈(柳传志) 회장의 딸인 류칭(柳青, 류청, Liu Qing)이다. 2016년 5월 미국 애플이 10억 달러(약 1조원)를 투자했다. 8월 디디추싱이 중국 우버(Uber)를 인수 합병했다. 본사는 중국 베이징에 있다.

개요

디디추싱은 초기에는 택시 호출 위주였으나 지금은 모빌리티 서비스의 종합세트라 부를 정도로 진화했다. 다양한 차종의 승용차와 승합차 이용은 물론 카풀, 대리운전, 공유자전거 등 도로 교통에 관한 모든 서비스가 제공된다. 2018년에는 브라질의 차량공유 1위 업체 ‘99’를 인수, 남미에 진출했고 멕시코와 호주에도 지사를 냈다. 일본에서는 소프트뱅크와 합자회사를 설립, 온라인 택시 서비스 제공에 나섰다. 대만에서도 조만간 택시와 카풀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1]

주요 업무

  • 디디좐차(滴滴专车): 2014년 8월 19일, 디디다처(滴滴打車)가 프리미엄 비즈니스 여행자를 위한 프리미엄 서비스를 발표했고, 전통적인 택시업계를 겨냥해 콜택시 소프트웨어를 출시한 이후 선보인 두 번째 제품이다. 2018년 6월 29일에 리청좐처(礼橙专车)로 개명했다.
  • 디디콰이처(滴滴快车): 2015년 5월 7일, 디디콰이처가 항저우에서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일종 외출우대서비스이다.
  • 디디순펑처(滴滴顺风车): 2015년 6월 1일에 오픈되었으며 외출서비스공유를 겨냥한 것으로 디디콰이처보다 비용이 저렴하다.
  • 디디대리운전(滴滴代驾): 2015년 7월 28일에 서비스 출시를 선포하였으며 기본요금+키로수 요금계산 방식을 적용하는 동시에 운전기사에세

주요 인물

  • 청웨이 - 창업자

청웨이는 1983년 장시성 동북부의 상라오시에서 태어나 2005년 베이징화공대를 졸업하고 알리바바에 입사했다. 뛰어난 업무 능력으로 알리바바 창립 이래 B2B 부문 최연소 매니저로 승진한 그는 6년 동안 인터넷 전자기기를 팔며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알리페이의 B2C 부문 최연소 부총경리로 승진했지만 전무유망한 직장을 박차고 나와 디디추싱을 창업했다. 청웨이는 2015년 포춘으로부터 ‘40세 이하 중국 경영인 1위’에 선정된 데 이어 2016년 포브스아시아 ‘올해의 기업인’으로 선정됐다.[1]


제휴업체

  • 동남아 승차공유 시장 강자인 그랩(Grab)
  • 우버
  • 리프트


각주

  1. 1.0 1.1 1.2 양혜정 기자, 〈중원 대륙 평정 '디디추싱(滴滴出行)'〉, 《공유경제》, 2019-06-28

참고자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