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블록체인

해시넷
218.146.11.139 (토론)님의 2019년 9월 6일 (금) 10:2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블록체인기술과 사물인터넷 서로간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융합한것.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도입으로 신뢰 구축, 비용 절감, 데이터 거래시장 활성화, 확장된 보안 등의 효과를 가진다.


개요

초기 블록체인은 암호화폐로 거래할 시 발생가능한 해킹이나 위조,변조등을 막는 기술로 사용되며 관심을 받기 시작했으나, 금융 거래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영역으로 확장 하며 4차산업혁명의 혁신 기술로 주목받았다.

등장배경

역사

특징

보안

블록체인의 보안은 확장성이 좋고 분권화 되어 있기 때문에 사물인터넷 단말기와 애플리케이션, 플랫폼등에 가져다 줄 수 있다. 사물인터넷 역시 분산되어 있고 분권화 되어있기 때문인데 IBM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의 비지니스와 운영 가치를 안전하게 해제할 수 있는 후보"로 블록 체인을 강조 했다. [1] 블록체인은 안전하고 신뢰되는 응답 확인 방식으로 다비아스 간에 돈이나 데이터 등 자산의 일부를 직접 전송할 수 있는 단순한 인프라를 제공한다. 즉, 블록체인은 분권화된 통제를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블록체인의 기반 보안 구조는 더 확장성이 뛰어날 수 밖에 없다.


회복력

경제학자이자 MIT 교수인 크리스천 카탈리니는 블록체인은 생태계관점을 사용해 사물인터넷을 포함한 모든 거래에서 인증과 네트워킹의 비용을 극적으로 줄여주며, 단일 주체에 너무 많은 통제권을 부여하지 않는다고 설명한다. [2] 또한 블록체인은 트랜잭션이나 인터랙션과 관련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프로세스를 감시하는 데 적합하고 특정조건을 만족해야 작업을 수행하는 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런 특징으로 IoT네트워크가 외부 공격에 대한 회복력을 키울 수 있다.


비용효율성

블록체인은 트랜잭션이나 인터랙션과 관련한 애플리케이션이기 때문에


활용

사물블록체인은 주로 사물인터넷의 기기인증, 데이터 위변조검사및 상거래를 위해 활용된다.

기기인증

사물인터넷에 접속되는 기기의 권한과 인증 정보를 블록에 저장하고, 중앙화된 인증기관 (CA)에서 탈피한 인증 방법을 제공한다. 스마트그리드등 보안이 중요한 분야에 활용된다.

위조,변조 방지

수집된 데이터의 해쉬 값을 삭제나 변경이 불가능한 블록체인에 저장한다. 위조나 변조등 수정여부에 대한 검증이 가능하게 되므로 데이터의 투명성을 높여준다.

데이터 상거래

판매자가 자신이 소유한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나 장치 자체의 사용권한을 블록체인에 등록한다. 구매자는 비용을 지불하여 중개자 없이 계약조건을 컴퓨터 코드로 작성하여 조건충족시 계약이 이행되는 블록체인 스마트계약등을 통해 개인간의 자동화된 거래가 가능하다.


종류

HDAC

HDAC(Hyundai Digital Asset Currency)는 IoT용으로 특화된 자체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한국 기업인 현대가 지원한다.

IoT Chain

IoT Chain

문제점

운영 및 호환성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