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엇게임즈

해시넷
jungh0052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8월 7일 (금) 11:35 판 (새 문서: '''라이엇 게임즈'''<!--라이엇 게임즈-->(Riot Games Inc)는 미국의 게임 개발 회사이다. 캘리포니아주 산타 모니카에 본사를 두고 있다. 2008...)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라이엇 게임즈(Riot Games Inc)는 미국의 게임 개발 회사이다. 캘리포니아주 산타 모니카에 본사를 두고 있다. 2008년 10월 첫 개발작 '리그 오브 레전드: 운명의 충돌'을 발표했고 2009년 10월에 '리그 오브 레전드'라는 이름으로 게임을 발매한 이후 운영하고 있다. 2006년 설립 당시에는 미국의 회사였으나, 2011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게임사인 텐센트에게 인수되어 텐센트 소속의 자회사가 되었다. 또한, 북미와 유럽 지역에서 자체적으로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인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를 개최하고 있다. 아일랜드, 대한민국, 브라질, 터키, 호주에 지사를 두고 있다.

개요

텐센트 산하의 게임 개발 회사, e스포츠 대회 주최 및 운영사이다. 마크 메릴과 브렌든 벡이 2006년에 공동창업한 회사이며 유명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개발사이기도 하다. 도타 올스타즈의 개발자였던 구인수를 영입해서 첫 작품인 리그 오브 레전드를 개발했고, 출시 2개월만에 동접 10만 명을 달성했고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이 플레이하는 게임중 하나이며 매달 플레이하는 유저의 수(MAU)가 1억명을 넘는다. 성장성을 눈여긴 텐센트가 2011년부터 지분 50%이상을 인수했으며 2015년 12월에 완전 인수했다. 하지만 텐센트측에서 경영간섭을 하지 않고 라이엇 게임즈 본사 법인은 캘리포니아 주에 있는데다 게임 자체의 개발, 업데이트 부분은 모두 라이엇 미국 본사가 100% 전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그 외에도 유럽, 대한민국, 브라질, 상하이, 터키, 호주, 싱가포르 등 전세계에 총 24개의 지사를 운영중인데 이중에서 라이엇 게임즈 홍콩 스튜디오는 라이엇 게임즈가 직접 세운 첫번째 국제 게임 개발 스튜디오이며 2020년 말에 두번째 국제 게임 개발 스튜디오를 싱가포르에 오픈한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라이엇 게임즈 더블린지사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관련을 주 업무로 한다.

블록체인과 라이엇 게임즈

가치 데이터 플랫폼 DREP, 테스트넷 2.0 발표 LoL 개발자 참여

블록체인 기반 공유 가치 데이터 네트워크 구축 프로젝트 ‘드렙(DREP)’이 테스트넷2.0을 발표했다. 블록체인 기반 게임과 플랫폼 등 각종 디앱(D App)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안착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LOL)’의 개발사 ‘라이엇 게임즈 차이나’에 속한 다니엘 왕 감독이 조언자로 참가했다. 앞서 드렙은 전날 디 앱 개발을 간소화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드렙 테스트넷2.0 리만(DREP Test net 2.0 Riemann)을 출시했다고 알렸다. 이번에 출시된 테스트넷은 블록체인 저장 비용을 줄이면서 합의 알고리즘과 네트워크 전송 효율성을 향상했다. 핵심 기술은 코드 변환 기술인 후크를 기반으로 한 ‘파이프라인’, 다중서명 기술 구현, 드렙 아이디 인증, 플랫폼 연결 기능 ‘클라이언트’, 다중 코인 지원 월렛 등 5가지다. 클라이언트는 이를 통해 외부 앱에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하고, 앱은 이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 블록마다 실행 코드가 선택되므로 효율성이 크게 향상됐다.[1]

리그오브레전드 가상화폐 투자 관련 공식 입장발표

라이엇 게임즈는 블록체인 기술이라는 명목하에 투자를 유도하고 있는 가상화폐가 있어 본인들의 입장을 공개했다. 라이엇 게임즈는 당사가 서비스하는 게임 및 관련 서비스에서 파생되는 어떠한 데이터도 제3자가 가상화폐나 블록체인에 활용하도록 허용하지 않는다. 이는 라이엇 게임즈와 공식적으로 사업 제휴를 맺은 업체 또는 서드파티 개발자 모두에게 예외 없이 적용되는 정책이다. 라이엇 게임즈는 당사가 서비스하는 게임 및 관련 서비스에서 파생되는 어떠한 데이터도 상기 정책을 위반하여 허용되지 않은 분야에 활용되는 것을 용인하지 않을 것이며, 제3자가 이러한 위반 행위를 모의 또는 시도하는 예도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엄중히 대응할 것임을 알려 드린다고 전했다. 결론은 가상화폐나 블록체인은 라이엇 게임즈와 전혀 무관하다.[2]


랭킹볼, 리그오브레전드(LOL) 예측 게임 서비스 개시
블록체인 기반 스포츠 예측 게임 랭킹볼(Ranking Ball)과 인기 온라인게임 리그오브레전드(LOL, 롤)가 만났다. 2020년 3월 22일(현지 시각) 랭킹볼은 라이엇 게임즈에서 개발한 MOBA(Multi player Online Battle Arena) 게임 ‘리그오브레전드’ 등 온라인 게임 프로리그 경기와 연계된 서비스를 개시했다. 2019년 3월, 북미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랭킹볼은 블록체인 기반 게임 플랫폼을 스포츠에 접목한 플랫폼이다. 사용자들은 스포츠와 e스포츠 경기를 실시간으로 보면서 경기 중계와 예측 데이터에 접근하고, RBG코인과 가상 게임 화폐를 기반으로 직접 예측에도 참여할 수 있다. 랭킹볼은 미국프로야구(MLB)를 시작으로 미국프로풋볼(NFL), 미국프로농구(NBA) 등과 관련 스포츠 예측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 19’로 많은 경기가 취소되면서 서비스가 잠시 주춤했다. 다행히 잠정 휴식에 들어갔던 롤의 중국 프로 리그(LPL)와 유럽의 챔피언십(LEC), 챔피언십 시리즈(LCS)의 재개로 해당 프로 리그 경기와 연계된 게임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게 되면서 인기를 끌고 있다. 롤의 경우, 특정 선수의 킬(Kill)과 어시스트 등이나 특정 팀의 승리 여부를 예측, 사용자별 점수와 순위 결과에 따라 랭킹볼 플랫폼 내에서 레벨을 올리고 게임 화폐를 획득할 수 있다. 랭킹볼에서 최근 제공했던 롤 예측 경기는 LPL의 펀플러스 피닉스(FPX)와 로열 네버 기브 업(RNG) 간 경기로 FPX가 RNG를 2:0으로 누르고 5연승 달성에 성공했다. 이날 이용자들은 랭킹볼 앱과 웹으로 실시간 게임 중계를 시청했다. 또한, 랭킹볼은 2019년 1월, 글로벌 암호 화폐 거래소 코인베네(CoinBene)서 토큰 간편 구매를 진행했다. 앞서 동반관계 체결 발표 이후 단계적 행보를 보인 바 있다.[3]
  1. 김수찬 기자, 〈가치 데이터 플랫폼 DREP, 테스트넷 2.0 발표…LoL 개발자 참여〉, 《한국블록체인뉴스》, 2019-03-28
  2. 헤헤, 〈(롤)리그오브레전드&오피지지 가상화폐 투자관련 공식 입장발표〉, 《티스토리》, 2019-03-15
  3. tjdrud3013@tvcc.kr, 〈랭킹볼, 리그오브레전드(LOL) 예측 게임 서비스 개시〉, 《티브이씨씨뉴스》, 2020-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