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장

해시넷
dltjsdud6771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11월 22일 (월) 15:07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부장은 소재, 부품, 장비를 줄여 이르는 말이다.

개요

소부장은 소재, 부품, 장비의 줄임말이다. 소재는 어떤 제품을 만드는데 바탕이 되는 재료를 의미하고, 부품은 기계, 장치를 이루는 개별 구성품을 의미한다. 장비는 어떤 제품을 만들거나 검사하는 기계 등을 뜻한다. 즉, 소부장이란 어떤 제품을 만드는데 있어 기초가 되는 산업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2019년 11월 22일 오전 충남 천안 MEMC코리아 실리콘 웨이퍼 2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의 축하 연설 중 처음 나왔다.[1] 2019년 일본에서 반도체, 디스플레이 소재, 부품 등을 대한민국으로 수출하는 것을 규제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이로 인해 국내에서는 기초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졌고, 정부에서도 기초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정책을 추진했다. 그 일환으로 2019년 말 소재, 부품, 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이 제정되었고, 2020년 4월에 시행되었다. 주로 국내에서 소부장을 말할 때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과 관련해서 말할 때가 많다. 아무래도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이 국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관련 소부장 기업들이 많기 때문이다.[2]

소재

소재는 어떤 것을 만들 시 기본이 되는 재료이다. 2차 전지를 만드는데 필수적인 4가지 소재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이 이에 해당한다. SNE리서치는 글로벌 배터리 수요가 2020년 139GWh에서 2030년 3254GWh로 무려 23배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배터리 원가의 약 62~63%를 차지하는게 소재 값이다. 같은 기간 배터리 4대 핵심 소재(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 시장은 213억 달러에서 1232억 달러(138조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소재를 국산화하지 않는다면 배터리와 전기차 시장에서 아무리 약진해도 제대로 실리를 챙기기 어렵다는 의미다. 희토류 부자 중국이 진작부터 저가공세를 통해 소재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한데에도 이런 계산이 깔려있다. 2020년 기준 중국 업체들의 양극재 시장 점유율은 57.8%, 음극재는 66.4%, 분리막은 54.6%, 전해질은 71.7%다.

부품

부품은 기계를 구성하는 최소의 기능 단위이다. 아무리 복잡한 기계 장치에서도, 단순한 기계요소를 조합해 구성된다. 기계요소의 상당수는 국제 표준화 기구(ISO)의 국제표준규격이나 등 각국의 국가 규격으로 규정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메카트로닉스의 진전에 의해 많은 복잡한 메카니즘이 전자 회로나 마이크로 프로세서 편입 시스템에 얻어지고는 있지만, 기계적인 동작을 수반하는 부분이 남는 일도 아직 많아 기계요소를 이용한 설계나 기계요소 그 자체의 연구 개발은 여전히 중요한 공학상의 분야이다. 지금도 마이크로 머신의 연구를 하고 있지만, 현재 각 부품을 만드는 방법을 시행하고 있을 단계이다.[3]

장비

장비는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만든 전자 기기를 말한다. 장치, 장비, 기기라고도 한다.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워치, VR 기기, 네트워크 장비 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있다.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마이크, 하드디스크, CD ROM 드라이브 등 주변장치들도 디바이스의 일종이다. 노트북처럼 크기가 작은 컴퓨터에서 디바이스란 물리적으로 좀 더 많이 통합된 장치를 가리키는 경향이 있다.

각주

  1. NOGRIN, 〈소부장 뜻과 주요 관련주 및 강소기업, 전망〉, 《N잡펭귄》, 2020-12-08
  2. 사용자 gefmr, 〈소부장 뜻, 의미 알아보기 - 반도체 소부장 관련주〉, 《티스토리》, 2021-04-13
  3. 기계요소〉, 《위키백과》

참고자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