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티패스(TPASS)

해시넷
Tpasstoken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2월 14일 (월) 16:57 판 (티패스 토큰 (TPASS TOKEN): 새 문단)
이동: 둘러보기, 검색

라운드로빈

Welcome! 라운드로빈

AMM 기반의 보상형 디파이 서비스 라운드로빈은 클레이튼 네트워크 기반의 AMM(Automated Market Makers) 방식 탈중앙 보상 프로토콜로, 참여자의 프로토콜 활성화 기여도에 따라 보상을 지급합니다. 참여자는 토큰을 풀에 예치하고 유동성을 제공함으로써 라운드로빈 프로토콜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유동성 제공자가 예치한 토큰은 라운드로빈의 Factory Contract로 전송되며 매매 오더북 대신 AMM에 의해 즉각적으로 토큰 교환이 가능합니다. 유동성 제공자가 유동성 제공으로 받는 보상은 크게 두 가지 입니다. 보상 지급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Protocol Overview 페이지에 나와있습니다. 수수료: 교환자가 토큰을 교환할 때 지불하는 0.3%의 수수료는 유동성 풀에 다시 예치되어 풀 지분율에 비례하여 유동성 제공자에게 지급됩니다. 라운드로빈 프로토콜 토큰*(RoundRobin Protocol Token / 이하 RRT): 유동성 제공자의 풀 지분율에 비례하여 지급됩니다.

  • RRT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Tokenomics 페이지에 나와있습니다.

이러한 보상은 참여자의 유동성 제공을 독려하여 유동성 풀 규모를 늘리는데 기여합니다. 규모가 커진 유동성 풀은 토큰 교환을 활성화합니다. 토큰 교환이 활성화될수록 유동성 제공자는 더 많은 수수료를 보상 받습니다. 이는 참여자들로만 프로토콜이 활성화되는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생태계의 이상적인 선순환 구조입니다. Anyone who participates can get it 울새로 알려진 로빈은 새끼들에게 먹이를 줄 때 일정하게 순서대로 주는 특징이 있습니다. 라운드로빈의 서비스명과 프로토콜은, 특정한 규칙을 가지고 효율적으로 새끼들에게 먹이를 주는 로빈의 모습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라운드로빈의 참여자라면 누구나 다양한 형태의 보상을 받을 수 있고 가장 효율적이고 공정한 방식으로 보상이 지급됩니다. 라운드로빈을 이용하는데 특별한 자격은 필요 없습니다. 디파이 금융 서비스를 통해 수익 실현을 기대한다면, 누구나 라운드로빈의 참여자가 될 수 있습니다. RoundRobin에는 ‘기회 ’가 있습니다. 로빈의 스토리처럼 모든 참여자들에게 공평하고 투명하게 기회를 제공합니다. 수익 창출을 기대한다면, 라운드로빈의 보상 시스템이 당신의 기대를 실현해 줄 수 있습니다. 디파이 서비스의 어려운 참여 방법과 낮은 접근성 때문에 참여를 망설였다면, 인터넷 뱅킹을 이용하듯이 언제, 어디서나 디파이 서비스를 쉽고 편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라운드로빈이 입문서 역할을 해드립니다. 여러분들의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기회'가 라운드로빈에 있습니다.

라운드로빈 특징 국내 디파이 시장의 주요 메인넷 클레이튼 기반 프로젝트 라운드로빈은 디파이 서비스 이용에 최적화된 클레이튼 네트워크 기반의 서비스입니다. 클레이튼은 국내 디파이 시장의 주요 메인넷으로 높은 확장성과 저렴한 가스요금, 빠른 스마트 컨트랙트 처리 속도를 기반으로 원활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기존의 클레이튼 기반 가상자산을 보유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한 참여자라면 누구나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참여자 경험에 최적화된 UI/UX 라운드로빈은 참여자의 경험에 최적화된 UI/UX 를 통해, 참여자가 직관적으로 서비스를 인지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디파이 서비스를 처음 이용하는 참여자는 직관적이고 친절한 디자인과 설명을 통해 보다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라운드로빈의 주요 UI/UX는 기존 디파이 서비스에서 볼 수 있었던 정보와 주요 화면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디파이 서비스에 익숙한 참여자들은 새로운 이론 숙지 과정 없이 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형태의 풍부한 보상 라운드로빈의 보상 시스템은 누구나 쉽게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보상을 제공합니다. 유동성 제공에 기여한 참여자는 예치한 가상자산에 대한 이자로 받은 라운드로빈 프로토콜 토큰(이하 RRT)으로 풀의 이자율을 높이기 위해 투표하거나 NFT 마켓, 메타버스 등 다양한 연계 서비스의 기축통화로 사용하여 부가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본 기능은 라운드로빈 V2부터 적용되며, V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RoundRobin V2 페이지에 나와 있습니다.

티패스 토큰 (TPASS TOKEN)

티패스 토큰(TPASS TOKEN)
티캐시(TCASH)

티패스(TPASS) 프로젝트는 아날로그의 디지털화를 넘어 디지털의 가치를 아날로그로 옮기는 비전을 실천해 나가는 AR기반 메타버스 프로젝트입니다. 티패스 토큰(TPASS TOKEN)은 티패스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지급결제 및 자산화토큰에 특화된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입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AI가 발전하면서 각종 산업에서 자동화가 진행되면 현실세계에서 개인은 점점 소외되게 되고 디지털 세계에서의 활동이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디지털 경제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만든 가치가 공정하게 현실 세계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이 필요합니다. 중앙화된 특정 생태계에서 만들어진 디지털가치는 복제되고 조작될 수 있습니다. 이에 티패스는 방화벽으로 이루어진 중앙화된 WEB 2.0 생태계를 Seamless하게 블록체인을 통해 넘어설 수 있는 자유로운 WEB 3.0 생태계를 만들어 갑니다.

티패스는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사기업이 참여하기 어려운 공공영역인 대중교통시설의 결제, 광고 생태계 등을 유관기관(노동조합)의 네트워크를 통해 탈중앙화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나아가 선박, 항공으로 그 범위를 넓히고 현실 세계의 대중교통 시스템을 디지털 전환하고 티패스를 통해 디지털세계를 자유롭게 항해할 수 있는 티켓을 만들어 갑니다.

티패스 토큰(TPASS TOKEN)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로 이루어진 메타버스 플랫폼 런칭을 위해 탄생했습니다.


탭월드 (TAP World)

티패스는 AR기반의 메타버스 플랫폼인 탭월드를 런칭합니다. 탭월드에서는 매달 리그를 통해 플랫폼내 수익이 일반유저들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합니다. 탭월드에서는 탭월드 안에서 수수료로 사용되는 티패스코인과 스테이블 코인인 티캐시가 사용됩니다. 또한 탭월드내 광고수익을 유저들이 가져갈 수 있도록 디지털정류장을 NFT로 발행하며 각 유저들은 자신만의 콘텐츠로 구독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탭월드(TAP World)


디지털 버스 정류소 NFT

AR종합플랫폼인 탭월드의 저작권의 기초를 이루는 NFT입니다

디지털 버스 정류소는 현실 세계의 버스 정류소를 NFT로 발행합니다. 디지털 버스정류소는 탭월드의 수익을 분배하는 핵심자산으로 크리에이티브 이코노미를 만드는데 일조합니다. 최종적으로 각 정류소를 중심으로 커뮤니티가 생성가능합니다. 가산디지털단지역(18209)(DigitalBusStaion_18209) 가산디지털단지역(18226)(DigitalBusStaion_18226) 가산디지털단지역(18503)(DigitalBusStaion_18503) 가산디지털단지역(18603)(DigitalBusStaion_18603) 가산디지털단지역(18834)(DigitalBusStaion_18834)


오션오아시스 (Ocean OASIS)

오션오아시스는 탭월드와 함께 TPASS의 메인 DAPP입니다. 카훼리, 크루즈 등 대형 여객선내에 AR메타버스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연태훼리를 테스트베드로 매표, 방역은 물론 AR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오션오아시스(Ocean OASIS)


티캐시(TCASH)

티캐시는 탈중앙화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티캐시의 유동성은 티패스의 락업에 의해 발생합니다. 그에 따라 티캐시 사용처가 확대될 수록 티패스의 가치는 상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