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광산구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광산구 구기
광산구 위치
광산구청

광산구(光山區)는 광주광역시의 서쪽에 있는 구이다.[1]

개요[편집]

광주광역시의 서부, 경도상으로는 동경 126˚ 38´ 35˝~ 126˚ 51´ 46˝, 위도상으로는 북위 35˚ 04´ 28˝~35˚ 14´ 51˝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영산강을 경계로 서구·동구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전남 함평군, 남쪽으로는 남구 및 전남 나주시, 북쪽으로는 전남 장성군과 접한다. 구의 동쪽 끝은 신창동, 서쪽 끝은 삼도동, 남쪽 끝은 동곡동, 북쪽 끝은 임곡동이며, 동서 길이는 19.0㎞, 남북 길이는 19.6㎞이다. 면적은 222.9㎢로 시 전체 면적의 44.5%를 차지하여 5개 구 가운데 가장 넓다. 행정구역은 21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를 상징하는 꽃은 목련, 나무는 소나무, 새는 백로이다. 구를 대표하는 마스코트는 광산구의 무한한 잠재력을 바탕으로 21세기 지식기반 사회를 이끌어 갈 젊고 패기 있는 광산인으로 형상화한 '광산이'이다. 구청 소재지는 송정동이다.

광산(光山) 김 씨,광산 탁씨의 본관인 광산이 바로 이 곳. 엄밀히 말하면 '광산' 자체가 광주광역시의 조선 시대 별칭이다. 조선 시대에는 '-주(州)'의 이름을 가진 곳을 '-천(川)', '-산(山)'으로 바꾸기도 하였는데 반란 등으로 고을의 등급을 낮추는 지역 연좌에도 그런 식으로 변경하는 일이 있었다. 이에 따라 '광주목'이 '광산현'이란 이름으로 일시적으로 강등 개칭된 사례가 있다.[2][3]

자연환경[편집]

광산구의 서북부 지역은 용진산(349m)을 비롯한 저산지대이고 서남부 지역은 복룡산(227m)이 있어 장성군 및 함평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나 산악 지대라기 보다는 구릉지 사이로 넓지 않은 군소 평야지를 형성하고 있다.

황룡강을 따라 남부지역으로 내려가면 강 양편에 넓은 평야 지대를 이루고 있으며 이 평야 지대가 광산구의 중심부를 차지하고 있다. 동부 중앙지대를 흐르고 있는 영산강은 물 흐름이 완만하여 유역이 비옥하고 넓은 평야가 형성되어 신흥동, 동곡 일대의 서석 평야가 나주 평야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광산구는 표고 100m 이내의 구릉지와 평야가 전체 면적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사 15° 이하의 면적이 79.2%를 차지하고 있다.

황해 연안을 흐르는 제주 해류(황해 해류) 및 남서쪽에서 이동해 오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온난하고 강수량이 많으며, 전남 평야와 남령 산지의 경계지대에 위치하므로 양 지역의 점이형(漸移型) 기후를 나타낸다.

연평균기온은 13.6℃이며, 1월 평균기온은 0.0℃, 8월 평균기온은 26.1℃로 연교차(年較差)는 26.2℃이다. 강수량은 연중 총량 1,289㎜로 3∼5월에 18%, 6∼9월에 59%의 비가 내리며, 연강수 일수는 133일 정도이다.

바람은 북서풍과 서풍이 많으며, 여름철에는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는 무등산지의 영향으로 남풍과 서풍이 많고, 계절풍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겨울에는 북서 계절풍, 여름에는 남서 계절풍이 분다.[4]

역사[편집]

신창동에서 발굴된 독무덤(옹관묘) 등 선사시대의 유적 및 유물이 확인된다. 삼한시대에는 마한의 구사오차국(臼斯烏且國)과 불미지국(不彌支國)에 속하였을 것으로 비정된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무진군(武珍郡)에 속하여 지금의 본량동·임곡동 일대에 수천현(水川縣), 평동·삼도동과 나주시 노안면 일대에 복령현(伏龍縣)이 설치되었다.

지금의 광산구 지역은 조선 시대의 광주 목과 나주목 일대에 해당한다. 광주목은 1489년(성종 20) 광산현(光山縣)으로 강등된 이래로 모반·패륜·강상죄 등의 이유로 여러 차례 광산현으로 읍호(邑號)의 승강을 거듭하였다. 1895년 23부제가 실시되어 광주목이 나주부 관할의 광주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896년(고종 33) 13도제가 시행되어 광주군은 41개 면을 관할하는 1등 군(郡)으로서 전라남도 관찰부(觀察府) 소재지가 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광주군의 41개 면이 15개 면(광주·서방·지한·석곡·우치·본촌·극락·서창·송정·비아·하남·임곡·동곡·효천·대촌)으로 개편되었는데, 송정면·비아면·하남면·임곡면·동곡면과 서창면 일부가 지금의 광산구에 해당한다. 1931년 광주면이 광주읍으로, 1935년 광주군의 일부인 광주읍이 광주부로 승격됨에 따라 광주군은 광산군으로 개칭되었고, 1937년 송정면이 송정읍으로 승격되었다.

1949년 광주시에 있던 군청사가 송정읍으로 이전하고 나주군 관할의 평동면·삼도면·본량면이 광산군에 편입되었다. 1955년 광산군의 효지면·서방면·극락면과 석곡면 일부가 광주시에 편입된 데 이어 1957년에는 지산면·대촌면·서창면이 광주시에 편입되었다. 1961년 광주시가 중부·동부·남부·서부·지산·북부·대촌·서창의 8개 출장소로 개편되었다가 1963년에 대촌출장소와 서창출장소가 광산 군으로 환원되었다. 1986년 송정읍이 송정시로 승격되어 광산군과 분리되었다가 1988년 송정시와 광산군이 광주 직할시에 편입되어 광산구가 설치되었으며, 같은 해에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1989년 원동·중앙동·호남동이 각각 송정1동·2동·3동으로 개칭되었고, 1993년 하남출장소가 하남출장소와 월곡동으로 분동된 뒤 1995년에 월곡동이 월곡1~2동으로 분동되었다. 같은 해에 서창·대촌 출장소가 각각 서구와 남구에 편입되었으며, 1997년 비아출장소가 비아동과 신가동으로 분 동되고 첨단지소가 설치되어 10동 7출장소 체제로 개편되었다. 1998년 출장소가 동(洞)으로 전환되고 송정 2~3동이 송정 2동으로, 용운동과 소촌동이 어룡동으로 통폐합되었다. 2002년 비아동이 비아동과 첨단동으로 분 동된데이어 2003년에는 첨단동이 첨단 1~2동으로, 신가동이 신가동과 운남동으로 분 동되었다. 2009년 신가동이 신가동과 신창동으로 분 동되었으며, 2010년 신가동이 다시 신가동과 수완동으로 분 동되어 지금의 21개 행정동 체제가 갖추어졌다.

2018년을 기준하여 행정구역은 21행정동(송정 1~2동·도산동·신흥동·어룡동·우산동·월곡 1~2동·비아동·첨단 1~2동·신가동·운남동·신창동·수완동·하남동·임곡동·동곡동·평동·삼도동·본량동) 79 법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편집]

광주의 중요 공업 지역은 광산구에 밀집해 있는데, 대표적인 산업단지로는 하남 산업단지, 평동 산업단지, 첨단 산업단지가 있다. 주요 공장으로는 하남 산업단지에 소재한 기아 특수차량 공장 및 소재공장이 있으며,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이 소촌 동에 위치하고 있다. 평동 산업단지에는 이탈리아의 상용차 업체 이베코의 한국 공장이 있다. 현재는 하남동에 있는 진곡산업단지는 부지 조성과 분양이 거의 끝나고 공장 입주 중이며, 함평군과 협업 중인 광주형 일자리로 유명한 삼도동에 있는 빛그린 산업단지도 토지 보상이 상당 부분 끝나고 완공되었다.

주요 공공기관 및 기업체 지사로는 근로복지공단 광산지사, 한국농어촌공사 전남지역본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 농수산식품유통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한국 환경공단 광주 전남 제주환경본부, 국민연금공단 광주지역본부, 기업은행 광주지사, 산업은행 광주지점, 수협 전남지역금융본부, 농협은행 광주 영업본부, SK 텔레콤 광주지사, KT 광주본부 등이 있다. 광역자치단체 지점급의 주요 금융 공기업 기업시설은 우산동, 특히 무진 대로변에 집중되어 있으며, 첨단지구에 정부 광주 지방합동청사 및 각종 광기술 연구센터가 모여 있다. 2015년 11월에는 광주광산고용센터가 월곡동(하남대로 154)에 신설되었다. 실업급여 신청하려고 금남로까지 힘들게 갈 필요가 없어졌다. 동시에 영광군, 함평군도 신설된 광주 광산 고용센터 관할로 옮겨졌다. 2020년 4월 3일 하남3지구(하남대로 83)에 광산구와 영광군을 관할하는 광산세무서가 신설되었고 호남대학교 부근에 있던 구 서광주세무서 광산지서는 폐쇄되었다.

기타 중요시설로는 광주공항이 있으며, 고속열차가 정차하는 광주송정역도 이곳에 있다. 호남고속선의 개통으로 호남고속철도 차량기지도 생겼다. 그리고 광주송정역이 5,000억 원 규모의 KTX 환승센터 사업에 선정되어서 지역 정치권에서는 공항 및 공군 관련 시설을 모두 무안군으로 보내버리고, 넓은 공항 부지에 수완지구+신가지구+신창지구+장덕지구+운남지구의 크기와 비슷한 신도심 '솔마루 시티'로 2025년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다만 전라남도 측에서는 민항기 쪽만 가져가려는 반면에 광주는 제1 전투비행단을 필두로 한 군공항, 서구 서창동에 있는 탄약고까지 몽땅 전남 무안군으로 보내버릴 생각인지라 단시일에 타협이 쉽게 이뤄질 것 같지는 않다. 그와는 별도로 평동의 포 사격장은 전라남도 인근 시도로 옮겨가기로 육군과 합의가 되었다.

교통[편집]

교통의 요충지로서 육상 교통이 발달하였다. 도로 교통호남고속도로(고속국도 25호선)가 전남 순천시 서면에서 광산구의 신창동~비아동 지역을 거쳐 충남 논산시 연무읍까지 이어지고, 무안 광주 고속도로(고속국도 12호선)가 전남 무안군 망운면에서 광산구의 동산동~운수동까지 이어진다. 일반국도는 전남 목포시에서 광산구의 신창동~비아동 등지를 거쳐 경기도 파주시까지 이어지는 1호선을 비롯하여 13호선(전남 완도군 완도읍~광산구~충남 금산군 금성면), 22호선(전남 정읍시 연지동~광산구~전남 순천시 중앙동) 등이 지나간다.

국가지원지방도(국지도)는 49호선이 전남 해남군 화원면에서 광산구의 용봉동~오산동 등지를 거쳐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까지 이어진다. 일반 지방도는 734호선이 전남 정읍시 입암면에서 광산구의 오산동~광산동을 거쳐 전남 장성군 북이면까지 이어진다. 이밖에 시의 외곽을 연결하는 제2 순환도로가 광산구의 신가동~수완동 등지를 거쳐 간다.

철도 교통은 대전조차장역에서 전남 목포시 목포 읍까지 운행하는 호남선이 광산구의 임곡역~하남역~북송정역~광주송정역을 거쳐 간다. 광주송정역에서 호남고속선이 충청북도의 오송역까지 이어져 경부고속선과 접속함으로써 서울시의 용산역까지 이동 시간이 1시간 30분대에 단축되었다. 또 경전선의 지선인 광주선이 광주송정역에서 극락강역을 거쳐 북구의 광주역까지 운행한다. 도시철도는 1호선이 광산구의 공항역~송정공원역~광주송정역~도산역을 거쳐 평동역을 종점으로 하며, 광주송정역에서 호남선·호남고속선·광주선과 접속한다.

항공 교통은 신촌동의 광주공항에서 김포·제주·양양 국제공항을 오가는 국내선을 운항하고 있으나 무안국제공항 활성화 방안에 따라 2021년에 폐쇄된다.

관광[편집]

관광 명소로는 용진층만(聳珍層巒;용진산의 겹겹이 솟은 산봉우리), 어등낙조(魚登落照;어등산 너머로 해가 지는 일몰 풍경), 용강어화(龍江魚火;황룡강에서 고기잡이 하는 불빛), 낙수야색(樂水野色;극랑 강변에 펼쳐지는 넓고 푸른 들), 석문가예(石門架霓;석문산의 기암들 사이로 나타나는 일곱 빛깔 무지개), 복룡귀운(伏龍歸雲;용이 엎드려 있는 형상의 복룡산 허리를 감도는 흰구름), 풍영만귀(風詠晩歸;풍영정에 앉아 풍월을 읊조리다 밤 늦게 돌아오는 정취), 호가 송음(浩歌松陰;호가정에 드리운 짙푸른 노송 그늘) 등이 '광산 8경'으로 꼽힌다. 또한 광산동의 '빙월당과 황룡강 물안개'가 '광주 8경'의 하나로 꼽히는데,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 기대승을 배향하는 빙월당(광주기념물 9)은 울창한 송림에 둘러싸여 풍경이 아름답고, 주변의 황룡강에서 피어오르는 물안개와 어우러져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밖에 황룡강의 섬에 잔디광장·산책로·물놀이장 등을 조성한 송산동의 송산유원지, 호남권 제일의 호수공원이라 불리는 쌍암동의 쌍암공원, 일제강점기의 시인 용아(龍兒) 박용철(朴龍喆)의 생가를 복원한 소촌동의 용아생가(광주기념물 13) 등의 명소가 있다.

문화행사 및 축제[편집]

광산구 출신의 시인 박용철의 업적을 기려 매년 5월에 열리는 용아 문학제, 광산구 출신의 판소리 명창 임방울의 업적을 기려 매년 9~10월 중에 국악 경연대회로 열리는 임방울국악제, 광산구 출신의 수채화가 배동신을 기려 회화·서예·문인화 분야의 미술 인재를 발굴하는 배동 신어등 미술제, 쌍암공원에서 매년 음력 1월 15일에 공동체 화합을 위하여 열리는 정월 대보름 민속축제 등이 있다.

문화재[편집]

국가 문화재로는 초기 철기시대의 토기 가마터와 배수시설·독무덤 등 고대 농경문화와 생활유적이 발굴된 '광주 신창동 유적'이 사적 제375호로 지정되었다. 이 밖에 1920년대에 건립된 '광주 장덕동 근대 한옥'이 국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시 지정 문화재로는 광주유형문화재 3점(신룡동 오층석탑·취병 조형 유허비·고봉문집 목판)과 광주무형문화재 2점(광산 농악·대목장), 양송천 묘역·양 씨 삼강문·월계동 장고분을 비롯한 광주기념물 7점, 광주 민속문화재 1점(입석마을 입석), 무양서원·용진정사·고내상성지를 비롯한 광주문화재자료 11점 등이 있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광산구〉, 《위키백과》
  2. 광산구〉, 《네이버 지식백과》
  3. 광산구〉, 《나무위키》
  4. 광산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광산구 문서는 한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