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인증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1번째 줄: 61번째 줄:
 
|align=left|* 6자리 핀 번호 또는 생체인증, 패턴 방식<br>* 별도 앱 다운로드<br>* 유효기간 3년
 
|align=left|* 6자리 핀 번호 또는 생체인증, 패턴 방식<br>* 별도 앱 다운로드<br>* 유효기간 3년
 
|}
 
|}
=== 카카오페이 인증 ===
+
* '''[[카카오페이 인증]]'''(kakaopay) : [[㈜카카오]]의 자회사이자 모바일 결제 및 디지털 지갑 서비스로, 모바일 결제 및 온라인 결제 서비스 업체인 [[카카오페이]]2017년 6월 사설 인증서 서비스인 카카오페이 인증을 내놨다. 카카오페이 인증은 공인인증서와 동일한 공개키 기반구조(PKI)의 전자서명 기술 및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됐다. PKI 방식은 위조 및 변경이 불가한 전자서명 방식으로, 이용자에게 안전한 검증 절차로써 활용된다. 카카오페이 인증의 가장 큰 장점은 카카오톡 안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본인을 인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용자는 카카오페이 인증을 통해 중요 전자문서 확인ㆍ서명, 제휴 기관ㆍ기업 서비스로 간편 로그인, 개인정보 이용기관 웹사이트에서의 본인 확인, 증권 거래 시 빠른 서명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안티미러링 생체인증(FIDO) 기술 사용으로 해킹 및 보안 위험에도 강하다. 현재 카카오페이 인증 이용자 수는 1,000만 명이며, 공공기관과 금융기관에서 쓰이고 있다. 인증에는 8~15자리 비밀번호 또는 생체인증이 사용되며, 유효기간은 2년이다.<ref name="카카오페이ㆍ패스"> 최아름 기자, 〈[http://www.koit.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936 민간 인증 시장 활기...카카오페이ㆍ패스 대세 경쟁]〉, 《정보통신신문》, 2020-06-01</ref>
[[카카오페이 인증]](kakaopay)[[㈜카카오]]의 자회사이자 모바일 결제 및 디지털 지갑 서비스로, 모바일 결제 및 온라인 결제 서비스 업체인 [[카카오페이]]2017년 6월 내놓은 사설 인증서 서비스다. 카카오페이 인증은 공인인증서와 동일한 공개키 기반구조(PKI)의 전자서명 기술 및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됐다. PKI 방식은 위조 및 변경이 불가한 전자서명 방식으로, 이용자에게 안전한 검증 절차로써 활용된다. 카카오페이 인증의 가장 큰 장점은 카카오톡 안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본인을 인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용자는 카카오페이 인증을 통해 중요 전자문서 확인ㆍ서명, 제휴 기관ㆍ기업 서비스로 간편 로그인, 개인정보 이용기관 웹사이트에서의 본인 확인, 증권 거래 시 빠른 서명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안티미러링 생체인증(FIDO) 기술 사용으로 해킹 및 보안 위험에도 강하다. 현재 카카오페이 인증 이용자 수는 1,000만 명이며, 공공기관과 금융기관에서 쓰이고 있다. 인증에는 8~15자리 비밀번호 또는 생체인증이 사용되며, 유효기간은 2년이다.<ref name="카카오페이ㆍ패스"> 최아름 기자, 〈[http://www.koit.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936 민간 인증 시장 활기...카카오페이ㆍ패스 대세 경쟁]〉, 《정보통신신문》, 2020-06-01</ref>
+
* '''[[패스 (인증서)|패스]]'''(PASS) : 이동통신 3사는 2012년부터 문자메시지를 활용해 본인인증을 하던 방식을 앱 기반으로 개선, 핀테크 기업 [[㈜아톤]]과 협력해 2018년 공동의 인증서인 패스를 만들었다.<ref name="카카오페이ㆍ패스"></ref> 패스는 본인인증 앱과 연동되는 사설인증서로 공공기관의 각종 본인확인·온라인 서류발급 신청·금융거래·계약서 전자서명 등에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기존 인증수단에 비해 편의성이 뛰어나다.<ref> 정미하 기자,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16/2019011601313.html (해설) SK텔레콤 ICO 지원 서비스 물거품되나(?)]〉, 《IT조선》, 2019-01-16</ref> ‘[[패스]]’앱 실행 후 1분 이내에 발급이 가능하고, 가입 이후에 휴대전화 번호만 입력하면 전자서명을 할 수 있다. 비대면 계좌 개설, 자동이체 전자서명, 보험, 전자상거래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 가능하고 ‘패스’ 앱을 활용하면 복잡한 솔루션 개발 없이 바로 이용할 수 있어 관련 서비스 생태계 구축에도 용이하다. ‘패스 인증서’는 기존 [[공인인증서]]나 금융권 앱 이상의 높은 보안 수준을 자랑한다. 통신사 인증서버와 인증서 플랫폼 간의 전용 네트워크를 이중화하고 통신 구간의 보안도 강화해 외부 공격에 대비했다. 백신 프로그램과 보안 키패드, 위변조 방지기술, [[인증서]]를 휴대전화 내 보안영역에 저장하는 WBC(White Box Cryptography) 기술 등을 적용해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한다.<ref>김상중 기자, 〈[http://knnws.com/m/view.php?idx=5988 SKT,본인인증앱 기반 패스 인증서 출시]〉, 《케이앤뉴스》, 2019-04-25 </ref>
=== 패스 ===
+
* '''[[뱅크사인]]'''(BankSign) : 뱅크사인이란 한국의 은행권이 공동으로 도입한 블록체인 기반의 인증 서비스이다. 뱅크사인은 공개키(PKI) 기반의 인증 기술, 블록체인 기술, 스마트폰 기술 등 첨단기술의 융합을 통해 전자금융거래를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해준다. 은행권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출시된 은행 공동 인증 서비스 뱅크사인은 기존의 인증기술과 스마트폰의 첨단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인증서비스로, 이를 통해 고객들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전자금융거래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ref>efnews, 〈[https://blog.naver.com/efnews/221352363317 은행공동인증서비스 ‘뱅크사인’...블록체인 플랫폼 본격가동 (파이낸셜신문)]〉, 《네이버 블로그》, 2018-09-04</ref> 18개 컨소시엄 참여은행 중 3개 [[은행]]([[산업은행]], [[씨티은행]], [[카카오은행]])을 제외한 15개 은행([[NH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스탠다드차타드 SC제일은행]], [[KEB하나은행]],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SH수협은행]], [[DGB대구은행]], [[BNK부산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BNK경남은행]], [[K뱅크]])에서 뱅크사인을 이용할 수 있다.<ref>손예술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5&sid2=230&oid=092&aid=0002144707 은행권 블록체인 공동인증서비스 ‘뱅크사인’ 사용화]〉, 《지디넷코리아》, 2018-08-27</ref>
[[패스 (인증서)|패스]](PASS)이동통신 3사는 2012년부터 문자메시지를 활용해 본인인증을 하던 방식을 앱 기반으로 개선, 핀테크 기업 [[㈜아톤]]과 협력해 2018년 만든 공동의 인증서다.<ref name="카카오페이ㆍ패스"></ref> 패스는 본인인증 앱과 연동되는 사설인증서로 공공기관의 각종 본인확인·온라인 서류발급 신청·금융거래·계약서 전자서명 등에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기존 인증수단에 비해 편의성이 뛰어나다.<ref> 정미하 기자,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16/2019011601313.html (해설) SK텔레콤 ICO 지원 서비스 물거품되나(?)]〉, 《IT조선》, 2019-01-16</ref> ‘[[패스]]’앱 실행 후 1분 이내에 발급이 가능하고, 가입 이후에 휴대전화 번호만 입력하면 전자서명을 할 수 있다. 비대면 계좌 개설, 자동이체 전자서명, 보험, 전자상거래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 가능하고 ‘패스’ 앱을 활용하면 복잡한 솔루션 개발 없이 바로 이용할 수 있어 관련 서비스 생태계 구축에도 용이하다. ‘패스 인증서’는 기존 [[공인인증서]]나 금융권 앱 이상의 높은 보안 수준을 자랑한다. 통신사 인증서버와 인증서 플랫폼 간의 전용 네트워크를 이중화하고 통신 구간의 보안도 강화해 외부 공격에 대비했다. 백신 프로그램과 보안 키패드, 위변조 방지기술, [[인증서]]를 휴대전화 내 보안영역에 저장하는 WBC(White Box Cryptography) 기술 등을 적용해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한다.<ref>김상중 기자, 〈[http://knnws.com/m/view.php?idx=5988 SKT,본인인증앱 기반 패스 인증서 출시]〉, 《케이앤뉴스》, 2019-04-25 </ref>
 
=== 뱅크사인 ===
 
[[뱅크사인]](BankSign)한국의 은행권이 공동으로 도입한 블록체인 기반의 인증 서비스이다. 뱅크사인은 공개키(PKI) 기반의 인증 기술, 블록체인 기술, 스마트폰 기술 등 첨단기술의 융합을 통해 전자금융거래를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해준다. 은행권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출시된 은행 공동 인증 서비스 뱅크사인은 기존의 인증기술과 스마트폰의 첨단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인증서비스로, 이를 통해 고객들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전자금융거래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ref>efnews, 〈[https://blog.naver.com/efnews/221352363317 은행공동인증서비스 ‘뱅크사인’...블록체인 플랫폼 본격가동 (파이낸셜신문)]〉, 《네이버 블로그》, 2018-09-04</ref> 18개 컨소시엄 참여은행 중 3개 [[은행]]([[산업은행]], [[씨티은행]], [[카카오은행]])을 제외한 15개 은행([[NH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스탠다드차타드 SC제일은행]], [[KEB하나은행]],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SH수협은행]], [[DGB대구은행]], [[BNK부산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BNK경남은행]], [[K뱅크]])에서 뱅크사인을 이용할 수 있다.<ref>손예술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5&sid2=230&oid=092&aid=0002144707 은행권 블록체인 공동인증서비스 ‘뱅크사인’ 사용화]〉, 《지디넷코리아》, 2018-08-27</ref>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