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그테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6번째 줄: 36번째 줄:
 
고객 데이터유출방지(DLP)는 보안기술의 일종으로 내부 정보에 대한 유출 방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기업 구성원, 프로세스, 기술의 결합을 통해 고객 또는 직원 기록 등의 개인 신원확인 정보(PII), 재무제표, [[마케팅]] 계획과 같은 기업 정보, 프로젝트 또는 제품 계획, 사업 내용, 영업 비밀, 고객 정보, 소스 코드와 같은 지적 재산(IP)을 포함하는 기밀 정보 등이 기업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솔루션이다. 즉, 내부자에 의한 정보 유출 행위 및 외부 불법 접근 행위를 차단하고 통제,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기업의 업무용 PC에 저장되어 있는 중요 정보가 아무런 통제 없이 자사 직원들에 의해서 업무용 또는 비업무용으로 밖으로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망연계 분야에서의 고객 데이터유출방지 탑재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유에스비]] [[메모리]]와 같은 저장장치와 메일이나 인쇄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기타의 방법을 통한 데이터의 외부유출 차단에 중점을 두고 있다. 기본적인 동작 방식은 데이터의 분류와 자료의 흐름 감시이며 데이터의 흐름을 감시함으로써 데이터유출을 감시하고 차단할 수 있다. 망연계 자료전송 시스템에서는 기본적으로 고객 데이터유출방지 기술을 적용하고 있고 보통 결제 시스템과 연계하여 검증된 자료만 전송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ref>한컴인텔리전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ds_datasecurity&logNo=221416234930&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강력한 보안을 위한 데이터 유출 방지(DLP)와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네이버 블로그》, 2018-12-10</ref>
 
고객 데이터유출방지(DLP)는 보안기술의 일종으로 내부 정보에 대한 유출 방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기업 구성원, 프로세스, 기술의 결합을 통해 고객 또는 직원 기록 등의 개인 신원확인 정보(PII), 재무제표, [[마케팅]] 계획과 같은 기업 정보, 프로젝트 또는 제품 계획, 사업 내용, 영업 비밀, 고객 정보, 소스 코드와 같은 지적 재산(IP)을 포함하는 기밀 정보 등이 기업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솔루션이다. 즉, 내부자에 의한 정보 유출 행위 및 외부 불법 접근 행위를 차단하고 통제,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기업의 업무용 PC에 저장되어 있는 중요 정보가 아무런 통제 없이 자사 직원들에 의해서 업무용 또는 비업무용으로 밖으로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망연계 분야에서의 고객 데이터유출방지 탑재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유에스비]] [[메모리]]와 같은 저장장치와 메일이나 인쇄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기타의 방법을 통한 데이터의 외부유출 차단에 중점을 두고 있다. 기본적인 동작 방식은 데이터의 분류와 자료의 흐름 감시이며 데이터의 흐름을 감시함으로써 데이터유출을 감시하고 차단할 수 있다. 망연계 자료전송 시스템에서는 기본적으로 고객 데이터유출방지 기술을 적용하고 있고 보통 결제 시스템과 연계하여 검증된 자료만 전송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ref>한컴인텔리전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ds_datasecurity&logNo=221416234930&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강력한 보안을 위한 데이터 유출 방지(DLP)와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네이버 블로그》, 2018-12-10</ref>
  
=== 고객신원확인 ===
+
===고객신원확인===
[[고객신원확인]](Know Your Customer)는 금융 범죄나 자금 세탁을 방지하기 위해 고객의 신원을 확인하는 글로벌 규제이다. 금융 범죄가 고도화될수록 신원 위조에 대한 위험이 더욱 커지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고객 신원확인 절차는 점점 복잡하고 불투명해지게 된다. 해외의 경우, 고객신원확인 프로세스가 완료되는데 3~4주 정도 소요되기도 하고 나라별, [[금융기관]]별로 별도 인증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효율성 및 고객 경험이 저하되기도 한다. [[분산원장]] 기술인 블록체인을 고객신원확인에 적용함으로써 국가 또는 기관 간 상이한 본인 인증기준을 단순화할 뿐 아니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고객신원확인 플랫폼을 통해 고객 신원확인 결과를 금융기업 간 공유함으로써 고객은 한 번의 본인 인증으로 여러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분산된 네트워크에 저장된 본인 인증정보를 활용함으로써 기존 개인정보의 집중 관리로 인한 부담을 덜면서도 보안이 강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새 블록이 기존 블록체인에 추가될 때 분산된 블록의 [[암호화]] 확인 절차가 요구되기 때문에 성능과 효율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블록체인 [[트랜잭션]] 처리 기능을 개선하는 등으로 블록체인 기술은 지속해서 발전 중이다.<ref name="박훈2">박훈 프로, 〈[https://www.samsungsds.com/global/ko/support/insights/regtech_2.html?moreCnt=1&backTypensight&category=all 2편 RegTech 적용 사례 및 전망]〉, 《삼성에스디에스》, 2020-08-12</ref>
+
[[고객신원확인]](Know Your Customer)는 금융 범죄나 자금 세탁을 방지하기 위해 고객의 신원을 확인하는 글로벌 규제이다. 금융 범죄가 고도화될수록 신원 위조에 대한 위험이 더욱 커지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고객 신원확인 절차는 점점 복잡하고 불투명해지게 된다. 해외의 경우, 고객신원확인 프로세스가 완료되는데 3~4주 정도 소요되기도 하고 나라별, [[금융기관]]별로 별도 인증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효율성 및 고객 경험이 저하되기도 한다. 분산원장 기술인 블록체인을 고객신원확인에 적용함으로써 국가 또는 기관 간 상이한 본인 인증기준을 단순화할 뿐 아니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고객신원확인 플랫폼을 통해 고객 신원확인 결과를 금융기업 간 공유함으로써 고객은 한 번의 본인 인증으로 여러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분산된 네트워크에 저장된 본인 인증정보를 활용함으로써 기존 개인정보의 집중 관리로 인한 부담을 덜면서도 보안이 강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새 블록이 기존 블록체인에 추가될 때 분산된 블록의 암호화 확인 절차가 요구되기 때문에 성능과 효율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블록체인 트랜잭션 처리 기능을 개선하는 등의 지속적으로 발전 중이다.<ref name="박훈2">박훈 프로, 〈[https://www.samsungsds.com/global/ko/support/insights/regtech_2.html?moreCnt=1&backTypensight&category=all 2편 RegTech 적용 사례 및 전망]〉, 《삼성에스디에스》, 2020-08-12</ref>
  
 
=== 자금세탁방지 ===
 
=== 자금세탁방지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