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4번째 줄: 44번째 줄:
 
이러한 관리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어떤 명령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보통 명령의 실행은 유저의 입력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며 이때 유저의 입력을 어떻게 받아서 처리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도와주는 것이 셸이다. 셸은 운영체제상에서 다양한 운영 체제 기능과 서비스를 구현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리눅스 명령어를 해석하는 명령어 해석기로 사용자와 리눅스 운영체제 간의 인터페이스와 셸 [[프로그래밍]] 언어를 해석한다. 키보드와 같은 단말 장치를 통해서 유저의 입력을 받아 여러 프로그램이나 명령을 실행하는 것이다. 유저는 셸과 대화를 나누고 다시 셸은 커널과 대화를 나누는 방식이다. 결국 이러한 셸을 사용하면 유저는 복잡한 커널 단위의 연산을 알 필요 없이 셸 상의 인터페이스로 시스템 자원들을 쉽게 관리할 수 있다.<ref>twinJH , 〈[https://twinjh.tistory.com/12 리눅스/유닉스의 시스템 구조(커널과 쉘)]〉, 《티스토리》, 2012-12-16</ref> <ref>꿈꾸는개발자,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cw0531&logNo=220611837266&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kr%2F 리눅스의 구조와 특징 소개]〉, 《네이버 블로그》, 2016-01-28</ref>
 
이러한 관리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어떤 명령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보통 명령의 실행은 유저의 입력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며 이때 유저의 입력을 어떻게 받아서 처리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도와주는 것이 셸이다. 셸은 운영체제상에서 다양한 운영 체제 기능과 서비스를 구현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리눅스 명령어를 해석하는 명령어 해석기로 사용자와 리눅스 운영체제 간의 인터페이스와 셸 [[프로그래밍]] 언어를 해석한다. 키보드와 같은 단말 장치를 통해서 유저의 입력을 받아 여러 프로그램이나 명령을 실행하는 것이다. 유저는 셸과 대화를 나누고 다시 셸은 커널과 대화를 나누는 방식이다. 결국 이러한 셸을 사용하면 유저는 복잡한 커널 단위의 연산을 알 필요 없이 셸 상의 인터페이스로 시스템 자원들을 쉽게 관리할 수 있다.<ref>twinJH , 〈[https://twinjh.tistory.com/12 리눅스/유닉스의 시스템 구조(커널과 쉘)]〉, 《티스토리》, 2012-12-16</ref> <ref>꿈꾸는개발자,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cw0531&logNo=220611837266&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kr%2F 리눅스의 구조와 특징 소개]〉, 《네이버 블로그》, 2016-01-28</ref>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이란 파일(자료)사용자가 쉽게 접근 및 발견 할 수 있도록 운영체제가 시스템의 디스크 상에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보관하는 방식으로 리눅스 운영체제의 경우에는 파티션을 나누고 정리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운영체제가 파일들을 일정한 규칙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디스크의 파티션상에 저장하게 되면 저장장치 내에서 파일 저장을 저장하는 게 용이해지고 파일을 검색과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리눅스는 대표적으로 "이엑스티 3,4(ext3, ext4), 아이에스오 9660(iso9660), 스왑(swap), 엔에프에스(nfs), 엑스에프에스(xfs)" 등의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파일이란 자기테이프, 청공카드, 또는 [[주기억장치]]나 디스크처럼 물리적인 하드웨어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집합을 말하며 데이터 정보의 논리적인 저장 단위로도 볼 수 있다.<ref name=:인">〈[http://www.incodom.kr/Linux/%ED%8C%8C%EC%9D%BC%EC%8B%9C%EC%8A%A4%ED%85%9C 파일시스템]〉, 《인코돔》, 2019-08-30</ref>
+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이란 파일(자료)사용자가 쉽게 접근 및 발견 할 수 있도록 운영체제가 시스템의 디스크 상에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보관하는 방식으로 리눅스 운영체제의 경우에는 파티션을 나누고 정리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운영체제가 파일들을 일정한 규칙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디스크의 파티션상에 저장하게 되면 저장장치 내에서 파일 저장을 저장하는 게 용이해지고 파일을 검색과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리눅스는 대표적으로 "이엑스티 3,4(ext3, ext4), 아이에스오9660(iso9660), 스왑(swap), 엔에프에스(nfs), 엑스에프에스(xfs)" 등의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파일이란 자기테이프, 청공카드, 또는 [[주기억장치]]나 디스크처럼 물리적인 하드웨어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집합을 말하며 데이터 정보의 논리적인 저장 단위로도 볼 수 있다.<ref name=:인">〈[http://www.incodom.kr/Linux/%ED%8C%8C%EC%9D%BC%EC%8B%9C%EC%8A%A4%ED%85%9C 파일시스템]〉, 《인코돔》, 2019-08-30</ref>
  
 
;디렉토리 구성
 
;디렉토리 구성
96번째 줄: 96번째 줄:
  
 
|}
 
|}
 
 
===가상 메모리===
 
===가상 메모리===
 
리눅스는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를 지원한다. 가상 메모리 기술은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디스크 일부를 마치 확장된 주기억장치(RAM)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이 기술에 따르면, 커널은 실제 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메모리 블록 중에 당장 쓰이지 않는 것을 디스크에 저장하는데, 이를 통해 사용 가능한 메모리 영역을 훨씬 늘릴 수 있게 된다. 만일 디스크에 저장되었던 메모리 블록이 다시 필요하게 되면 그것은 다시 실제 메모리 안으로 올려지며, 대신 다른 블록이 디스크로 내려가게 된다. 그러나 이런 과정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사용자에게는 전혀 보이지 않으며, 프로그램들에도 그저 많은 양의 메모리가 있는 것처럼 보일 뿐이어서 점유하고 있는 메모리가 디스크에 있는지 실제 메모리에 있는지 전혀 신경 쓸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러나 하드디스크를 읽고 쓰는 시간은 주기억장치보다 훨씬 느리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실행은 그만큼 더디게 된다.  
 
리눅스는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를 지원한다. 가상 메모리 기술은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디스크 일부를 마치 확장된 주기억장치(RAM)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이 기술에 따르면, 커널은 실제 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메모리 블록 중에 당장 쓰이지 않는 것을 디스크에 저장하는데, 이를 통해 사용 가능한 메모리 영역을 훨씬 늘릴 수 있게 된다. 만일 디스크에 저장되었던 메모리 블록이 다시 필요하게 되면 그것은 다시 실제 메모리 안으로 올려지며, 대신 다른 블록이 디스크로 내려가게 된다. 그러나 이런 과정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사용자에게는 전혀 보이지 않으며, 프로그램들에도 그저 많은 양의 메모리가 있는 것처럼 보일 뿐이어서 점유하고 있는 메모리가 디스크에 있는지 실제 메모리에 있는지 전혀 신경 쓸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러나 하드디스크를 읽고 쓰는 시간은 주기억장치보다 훨씬 느리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실행은 그만큼 더디게 된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