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리눅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리눅스'''(Linux)]]
 
[[파일:리눅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리눅스'''(Linux)]]
 
[[파일:리눅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리눅스'''(Linux)]]
 
[[파일:리눅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리눅스'''(Linux)]]
[[파일:리누스 토르발스.jpg|썸네일|200픽셀|'''[[리누스 토르발스]]'''(Linus Torvalds)]]
 
  
 
'''리눅스'''(Linux)는 [[유닉스]](UNIX)를 기반으로 제작한 무료 [[오픈소스]] [[운영체제]](OS)이다. 1991년 11월에 핀란드 헬싱키 대학의 학생이었던 [[리누스 토르발스]](Linus Torvalds)가 [[컴퓨터]] 운영체제에서 작동하던 유닉스를 386PC 기종의 개인 컴퓨터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리눅스는 [[레드햇 리눅스]](RHEL), [[센트오에스]](CentOS), [[우분투]](Ubuntu) 등 다양한 배포판이 존재하며 리눅스를 기반으로 [[안드로이드]]와 [[타이젠]] 등의 운영체제가 파생되었다.
 
'''리눅스'''(Linux)는 [[유닉스]](UNIX)를 기반으로 제작한 무료 [[오픈소스]] [[운영체제]](OS)이다. 1991년 11월에 핀란드 헬싱키 대학의 학생이었던 [[리누스 토르발스]](Linus Torvalds)가 [[컴퓨터]] 운영체제에서 작동하던 유닉스를 386PC 기종의 개인 컴퓨터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리눅스는 [[레드햇 리눅스]](RHEL), [[센트오에스]](CentOS), [[우분투]](Ubuntu) 등 다양한 배포판이 존재하며 리눅스를 기반으로 [[안드로이드]]와 [[타이젠]] 등의 운영체제가 파생되었다.
98번째 줄: 97번째 줄:
  
 
===가상 메모리===
 
===가상 메모리===
리눅스는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를 지원한다. 가상 메모리 기술은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디스크 일부를 마치 확장된 주기억장치(RAM)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이 기술에 따르면, 커널은 실제 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메모리 블록 중에 당장 쓰이지 않는 것을 디스크에 저장하는데, 이를 통해 사용 가능한 메모리 영역을 훨씬 늘릴 수 있게 된다. 만일 디스크에 저장되었던 메모리 블록이 다시 필요하게 되면 그것은 다시 실제 메모리 안으로 올려지며, 대신 다른 블록이 디스크로 내려가게 된다. 그러나 이런 과정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사용자에게는 전혀 보이지 않으며, 프로그램들에도 그저 많은 양의 메모리가 있는 것처럼 보일 뿐이어서 점유하고 있는 메모리가 디스크에 있는지 실제 메모리에 있는지 전혀 신경 쓸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러나 하드디스크를 읽고 쓰는 시간은 주기억장치보다 훨씬 느리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실행은 그만큼 더디게 된다.  
+
리눅스는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를 지원한다. 가상 메모리 기술은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디스크 일부를 마치 확장된 주기억장치(RAM)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이 기술에 따르면, 커널은 실제 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메모리 블록 중에 당장 쓰이지 않는 것을 디스크에 저장하는데, 이를 통해 사용 가능한 메모리 영역을 훨씬 늘릴 수 있게 된다. 만일 디스크에 저장되었던 메모리 블록이 다시 필요하게 되면 그것은 다시 실제 메모리 안으로 올려지며, 대신 다른 블록이 디스크로 내려가게 된다. 그러나 이런 과정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사용자에게는 전혀 보이지 않으며, 프로그램들에도 그저 많은 양의 메모리가 있는 것처럼 보일 뿐이어서 점유하고 있는 메모리가 디스크에 있는지 실제 메모리에 있는지 전혀 신경 쓸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러나 하드디스크를 읽고 쓰는 시간은 주기억장치보다 훨씬 느리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실행은 그만큼 더디게 된다.  
  
 
이렇듯 가상적인 메모리로 쓰이는 하드디스크의 영역을 `스왑 영역(swap space)'이라고 한다. 리눅스는 스왑 영역으로 일반적인 파일을 사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스왑을 위한 파티션을 사용할 수도 있다. 스왑 파티션은 속도가 빠르지만, 스왑 파일은 그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스왑 영역이 얼마나 많이 필요한지를 미리 알고 있다면 그만큼 스왑 파티션을 잡으면 된다. 그러나 스왑 영역이 얼마나 필요할지 확실히 모른다면, 우선 스왑 파일을 사용해서 시스템을 가동해 보고 필요한 공간이 얼마인지 파악한 후에 스왑 파티션을 구성한다. 또한 리눅스에서는 여러 개의 스왑 파티션과 스왑 파일을 섞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언제나 큰 용량의 스왑 영역을 잡을 필요 없이 그때그때 필요한 만큼만 스왑을 늘려줄 수 있음으로 편리하다.<ref>3DMP , 〈[https://3dmpengines.tistory.com/1663 리눅스에서의 가상메모리란?]〉, 《티스토리》, 2017-01-28</ref>
 
이렇듯 가상적인 메모리로 쓰이는 하드디스크의 영역을 `스왑 영역(swap space)'이라고 한다. 리눅스는 스왑 영역으로 일반적인 파일을 사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스왑을 위한 파티션을 사용할 수도 있다. 스왑 파티션은 속도가 빠르지만, 스왑 파일은 그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스왑 영역이 얼마나 많이 필요한지를 미리 알고 있다면 그만큼 스왑 파티션을 잡으면 된다. 그러나 스왑 영역이 얼마나 필요할지 확실히 모른다면, 우선 스왑 파일을 사용해서 시스템을 가동해 보고 필요한 공간이 얼마인지 파악한 후에 스왑 파티션을 구성한다. 또한 리눅스에서는 여러 개의 스왑 파티션과 스왑 파일을 섞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언제나 큰 용량의 스왑 영역을 잡을 필요 없이 그때그때 필요한 만큼만 스왑을 늘려줄 수 있음으로 편리하다.<ref>3DMP , 〈[https://3dmpengines.tistory.com/1663 리눅스에서의 가상메모리란?]〉, 《티스토리》, 2017-01-28</ref>
130번째 줄: 129번째 줄:
  
 
===가상 콘솔===
 
===가상 콘솔===
가상 [[콘솔]](Virtual console)은 '가상의 모니터'로 하나의 모니터를 장착한 시스템에 여러 개의 가상 화면을 제공하여 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이다. 시스템을 관리하다 보면 화면 1개만으로는 여러 개의 작업을 하기에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가상의 화면 6개를 제공하는 가상 콘솔을 통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상 콘솔 이동 및 전환 단축키는 컨트롤(Ctrl) 키와 알트(Alt)키 그리고 F1키부터 F6키(Ctrl + Alt + F1 ~ F6)까지 사용한다.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6개의 가상 콘솔을 제공하지만, 리눅스 배포판, 서버, 데스크톱에 따라 가상 콘솔 개수가 다르기도 하다. 사용자가 6명일 경우 루트(root) 사용자부터 각각 'tt1 ~ tt6'의 사용자 번호를 갖게 된다. 'tty'명령어는 표준 출력에 해당하는 터미널의 장치 파일 이름을 출력해준다. 보통 현재 사용 중인 터미널의 파일명을 확인할 때 사용한다.<ref>IT 양햄찌(jhnyang) , 〈[https://jhnyang.tistory.com/51 가상 콘솔(Virtual Consoles)이란?]〉, 《티스토리》, 2019-02-05</ref>  
+
가상 [[콘솔]](Virtual console)은 '가상의 모니터'로 하나의 모니터를 장착한 시스템에 여러 개의 가상 화면을 제공하여 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이다. 시스템을 관리하다 보면 화면 1개만으로는 여러 개의 작업을 하기에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가상의 화면 6개를 제공하는 가상 콘솔을 통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상 콘솔 이동 및 전환 단축키는 컨트롤(Ctrl) 키와 알트(Alt)키 그리고 F1키부터 F6키(Ctrl + Alt + F1 ~ F6)까지 사용한다.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6개의 가상 콘솔을 제공하지만, 리눅스 배포판, 서버, 데스크톱에 따라 가상 콘솔 개수가 다르기도 하다. 사용자가 6명일 경우 루트(root) 사용자부터 각각 'tt1 ~ tt6'의 사용자 번호를 갖게 된다.  
 +
;가상콘솔 확인법
 +
'tty'명령어는 표준 출력에 해당하는 터미널의 장치 파일 이름을 출력해준다. 보통 현재 사용 중인 터미널의 파일명을 확인할 때 사용한다.<ref>IT 양햄찌(jhnyang) , 〈[https://jhnyang.tistory.com/51 가상 콘솔(Virtual Consoles)이란?]〉, 《티스토리》, 2019-02-05</ref>  
 
  '''[root@localhost ~]# tty'''
 
  '''[root@localhost ~]# tty'''
 
  '''/dev/tty1'''                // 'dev/' 폴더안에 사용중인 터미널 파일명(tty1)을 알려준다.
 
  '''/dev/tty1'''                // 'dev/' 폴더안에 사용중인 터미널 파일명(tty1)을 알려준다.
172번째 줄: 173번째 줄:
 
* ITmaker, 〈[https://blog.naver.com/djg04115/221585618797 리눅스의 특징]〉, 《네이버 블로그》, 2019-07-14
 
* ITmaker, 〈[https://blog.naver.com/djg04115/221585618797 리눅스의 특징]〉, 《네이버 블로그》, 2019-07-14
 
* ITmaker, 〈[https://blog.naver.com/djg04115/221591709664 리눅스 활용분야]〉, 《네이버 블로그》, 2019-07-22
 
* ITmaker, 〈[https://blog.naver.com/djg04115/221591709664 리눅스 활용분야]〉, 《네이버 블로그》, 2019-07-22
* 리눅스 배포판 레스티프 - https://www.lesstif.com/linux-infra-book/%EB%A6%AC%EB%88%85%EC%8A%A4-%EB%B0%B0%ED%8F%AC%ED%8C%90-20775246.html
 
* Linux, 〈[https://elevatingcodingclub.tistory.com/35 [Linux]리눅스 개요 정리]〉, 《티스토리》, 2020-03-02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리누스 토르발스]]
+
* [[운영체제]]
* [[리눅스 명령어]]
 
* [[유닉스]]
 
 
* [[포크]]
 
* [[포크]]
 
* [[오픈소스]]
 
* [[오픈소스]]
* [[운영체제]]
+
* [[유닉스]]
 +
* [[리누스 토르발스]]
 
* [[슈퍼 컴퓨터]]
 
* [[슈퍼 컴퓨터]]
 
* [[지엔유]]
 
* [[지엔유]]
*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
 
 
 
{{운영체제|검토 필요}}
 
{{운영체제|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