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메시지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 개요 ==
 
== 개요 ==
문자메시지는 문자 서비스를 이용하여 보내는 문장을 말하며,<ref name="위키백과"></ref> 전 세계 24억 명이 애용하는 대표적인 [[이동통신]] 서비스이다. 국내에서 [[음성통화]]에 비해 요금이 비교적 저렴하며, 문자메시지 수신자에게는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게다가, 해외 로밍시에도 음성통화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고, 수신 요금도 없기 때문에 주요 연락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ref name="카메라맨"> 카메라맨,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hdj20&logNo=40134126013 SMS란 무엇인가?.]〉, 《네이버 블로그》, 2011-07-18 </ref>
+
문자메시지는 문자 서비스를 이용하여 보내는 문장을 말하며,<ref name="위키백과"></ref> 전 세계 24억 명이 애용하는 대표적인 [[이동통신]] 서비스이다. 국내에서 [[음성통화]]에 비해 요금이 비교적 저렴하며, 문자메시지 수신자에게는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게다가, 해외 로밍시에도 음성통화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고, 수신 요금도 없기 때문에 주요 연락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ref name="카메라맨"> 카메라맨,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hdj20&logNo=40134126013 SMS란 무엇인가?.]〉, 《네이버 블로그》, 2011-07-18 </ref>
  
 
== 역사 ==
 
== 역사 ==
1982년 [[스콧 팰만]](Scott Fahlman) 교수가 [[미국]]의 [[카네기멜론 대학교]](Carnegie Mellon) 게시판에서 처음으로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모티콘]]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스콜 팰만은 여러 [[심볼]]을 조합하여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에서 사용되는 작성자의 마음 상태를 나타내는 이모티콘을 만들어 냈다. 1984년 [[프랑코-저먼]](Franco-German) 기업의 [[프리트헬름 힐브랜드]](Friedhelm Hillebrand)와 [[버나드 길리배트]](Bernard Ghillebaert)가 문자메시지의 첫 콘셉트를 발병했으며, 기존의 신호 형식에 맞추기 위해 메시지는 128바이트로 제한됐다. 1992년에 드디어 [[닐 파포스]](Neil Papworth)에 의해서 첫 문자메시지가 발송되었다. 그는 명절 인사를 개인용 컴퓨터로 [[영국]]의 [[보다폰]](Vodafone) 기업으로 전송했으며, 그 메시지는 [[리처드 자비스]](Richard Jarvis)가 오비텔 901(Orbitel 901)을 통해서 받았다. 2000년에 첫 [[모바일]] 뉴스 서비스가 [[핀란드]]에서 문자메시지를 통해 발송되었고, 2003년 문자 마케팅을 위해 많은 양의 메시지를 보낼 때 쓰이는 짧은 전화번호로 쓰일 짧은 코드가 소개됐다. 같은 해에 아메리칸 아이돌이라는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AT&T]] 기업과 손을 잡고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투표]] 방식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아메리칸 아이돌의 두 번째 시즌에선 7,500만 메시지가, 2009년 시즌 8 동안에는 1억 7,800만 문자가 전송되기도 했다. 2010년에는 캠브리지 사전이 'text'를 '문자메시지를 보내다'라는 뜻의 동사로 등록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ref>베리드 공식 홈페이지 - https://veriide.com/info/the-history-of-the-sms/</ref>
+
1982년 [[스콧 팰만]](Scott Fahlman) 교수가 미국의 [[카네기멜론 대학교]](Carnegie Mellon) 게시판에서 처음으로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모티콘]]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스콜 팰만은 여러 [[심볼]]을 조합하여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에서 사용되는 작성자의 마음 상태를 나타내는 이모티콘을 만들어냈다. 1984년 [[프랑코-저먼]](Franco-German) 기업의 [[프리트헬름 힐브랜드]](Friedhelm Hillebrand)와 [[버나드 길리배트]](Bernard Ghillebaert)가 문자메시지의 첫 컨셉을 발병했으며, 기존의 신호 형식에 맞추기 위해 메시지는 128바이트로 제한됐다. 1992년에 드디어 [[닐 파포스]](Neil Papworth)에 의해서 첫 문자메시지가 발송되었다. 그는 명절 인사를 개인용 컴퓨터로 영국의 [[보다폰]](Vodafone) 기업으로 전송했으며, 그 메시지는 [[리처드 자비스]](Richard Jarvis)가 Orbitel 901을 통해서 받았다. 2000년에 첫 [[모바일]] 뉴스 서비스가 [[핀란드]]에서 문자메시지를 통해 발송되었고, 2003년 문자 마케팅을 위해 많은 양의 메시지를 보낼 때 쓰이는 짧은 전화번호로 쓰일 짧은 코드가 소개됐다. 같은 해에 [[아메리칸 아이돌]]이라는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AT&T]] 기업과 손을 잡고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투표]] 방식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아메리칸 아이돌의 두 번째 시즌에선 7.5백만 메시지가, 2009년 시즌 8 동안에는 1억 78백만 문자가 전송되기도 했다. 2010년에는 캠브리지 사전이 'text'를 "문자메시지를 보내다"라는 뜻의 동사로 등록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ref>베리드 공식 홈페이지 - https://veriide.com/info/the-history-of-the-sms/</ref>
  
대한민국에서는 1996년 [[한국이동통신]]과 [[신세기통신]]에서 [[CDMA]] 방식 휴대전화 서비스를 개시하면서 도입이 되긴 했지만, 메뉴를 포함한 모든 메시지가 영어로 나왔기 때무에 로마자로만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었고 쓰는 사람도 현저히 적었다. CDMA 서비스가 시작된 1997년 이후로 문자메시지가 본격적으로 국내에서 쓰이기 시작했다. CDMA 서비스가 기존 800MHz [[이동통신]] 사업자보다 저렴한 통화요금과 씨티 폰보다 넓은 통화권으로 대중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1998년부터 한글 입출력이 가능한 단말기가 출시되었지만 초창기라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당시 문자메시지의 활용 용도는 짧은 뉴스나 메일 알림 서비스, 혹은 음성사서함 메시지 도착 알림이나 부재 시 호출 용도가 전부였는데, 스마트폰 보금 이후 널리 쓰이게 된 푸시 알림과 그 용도가 정확히 일치한다. 부재 시 호출 서비스는 스마트폰 보금이 만연한 현재도 음성사서함을 통해 여전히 사용 가능한 서비스이다. 이 당시에 있었던 문제점에선 우선 글자 입력 문제가 있었다. 초성 글자를 화살표로 선택하고 확인을 누르고, 중성 글자를 화살표로 선택하고 확인을 누르는 방식으로 어렵고 복잡한 입력 방법 때문에 실제로 단말기 상에서 직접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사람은 적었고, 대부분 PC통신을 이용하거나, 상담원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보낼 내용을 불러 주고 무선호출기처럼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 1999년 이전에는 다른 이동통신 회사 가입자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없어 상호 호환 문제를 겪기도 했다. 그 이후 2000년대부터는 위와 같은 문제가 모두 해결되고 장점만 남게 되어 널리 쓰이게 되었다.<ref name="나무위키"></ref>
+
한국에서는 1996년 [[한국이동통신]]과 [[신세기통신]]에서 [[CDMA]] 방식 휴대전화 서비스를 개시하면서 도입이 되긴 했지만, 메뉴를 포함한 모든 메시지가 영어로 나왔기 때무에 로마자로만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었고 쓰는 사람도 현저히 적었다. CDMA 서비스가 시작된 1997년 이후로 문자메시지가 본격적으로 한국에서 쓰이기 시작했다. CDMA 서비스가 기존 800MHz [[이동통신]] 사업자보다 저렴한 통화요금과 씨티 폰보다 넓은 통화권으로 대중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1998년부터 한글 입출력이 가능한 단말기가 출시되었지만 초창기라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당시 문자메시지의 활용 용도는 짧은 뉴스나 메일 알림 서비스, 혹은 음성사서함 메시지 도착 알림이나 부재 시 호출 용도가 전부였는데, 스마트폰 보금 이후 널리 쓰이게 된 푸시 알림과 그 용도가 정확히 일치한다. 부재 시 호출 서비스는 스마트폰 보금이 만연한 현재도 음성사서함을 통해 여전히 사용 가능한 서비스이다. 이 당시에 있었던 문제점에선 우선 글자 입력 문제가 있었다. 초성 글자를 화살표로 선택하고 확인을 누르고, 중성 글자를 화살표로 선택하고 확인을 누르는 방식으로 어렵고 복잡한 입력 방법 때문에 실제로 단말기 상에서 직접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사람은 적었고, 대부분 PC통신을 이용하거나, 상담원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보낼 내용을 불러주고 무선호출기처럼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 1999년 이전에는 다른 이동통신 회사 가입자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없어 상호 호환 문제를 겪기도 했다. 그 이후 2000년대부터는 위와 같은 문제가 모두 해결되고 장점만 남게 되어 널리 쓰이게 되었다.<ref name="나무위키"></ref>
 
 
== 원리 ==
 
문자메시지는 일반적으로 한 [[휴대전화]]에서 다른 휴대전화로 전송되는데, 발신자가 자신의 휴대전화에 문자메시지를 입력하고 전송 버튼을 누르면 이 문자메시지는 기지국을 거쳐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로 전달되고 다시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자의 휴대전화에 최종적으로 도착한다. 끝으로 수신자의 휴대전화가 문자메시지를 받았다고 기지국에 응답하면 문자메시지 전송이 모두 완료된다. 그러나 이때 수신자의 휴대전화가 꺼져있거나 통화권 이탈 지역에 놓여있다면, 해당 문자메시지는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에 저장되어 있다가 정상적인 수신이 가능해지는 순간 전송이 시작된다. 가끔 문자메시지가 제시간에 도착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일시적인 전파망 혼잡 등의 이유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가 사용 가능한 채널을 미처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한 같은 문자메시지를 여러 번 받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엔 전파 상태가 좋지 않아 수신자의 휴대전화가 보낸 확인 신호가 기지국에 늦게 도착했음을 의미하며, 문자메시지 전송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착각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가 여러 번 재전송 시도를 한 것이다.<ref name="카메라맨"></ref>
 
  
 
== 종류 ==
 
== 종류 ==
문자메시지의 종류에는 통신사 또는 국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단문메시지서비스(SMS), 웹푸시메시지서비스(WAP-PUSH SMS), 호출용메시지서비스(호출용 SMS), 장문메시지서비스(Long Message Service, LMS),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이 있다.<ref name="위키백과"></ref><ref name="카메라맨"></ref>
+
문자메시지의 종류에는 통신사 또는 국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웹 푸시 메시지 서비스(WAP-PUSH SMS), 호출용 메시지 서비스(호출용 SMS), 장문 메시지 서비스(Long Message Service, L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이 있다.<ref name="위키백과"></ref><ref name="카메라맨"></ref>
  
===일반단문메시지서비스===
+
===일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일반단문메시지서비스]](SMS)는 영문 기준 최대 160자를 담을 수 있는 문자메시지로, 국내의 경우엔 영문 80~90자, 국문은 40~45자를 담을 수 있다. 영문에 비해 국문의 글자 수가 적은 이유는 영문은 글자당 1바이트를 차지함에 비해 한글은 글자당 2바이트를 차지하기 때문이다.<ref name="카메라맨"></ref>
+
일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는 영문 기준 최대 160자를 담을 수 있는 문자메시지로, 국내의 경우엔 영문 80~90자, 국문은 40~45자를 담을 수 있다. 영문에 비해 국문의 글자 수가 적은 이유는 영문은 글자당 1바이트를 차지함에 비해 한글은 글자당 2바이트를 차지하기 때문이다.<ref name="카메라맨"></ref>
  
===웹푸시메시지서비스===
+
===웹 푸시 메시지 서비스===
[[웹푸시메시지서비스]](Web-Push SMS)는 본문 내용에 [[URL]]을 포함시켜, 해당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휴대 전화에서 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선택할 경우, 특정 사이트로 접속이 가능한데, 이를 콜백URL메시지서비스(Callback-URL SMS)라고 부르기도 한다.<ref name="위키백과"></ref>
+
웹 푸시 메시지 서비스(WAP-PUSH SMS)는 본문 내용에 [[URL]]을 포함시켜, 해당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휴대 전화에서 사용자가 통화버튼을 선택할 경우, 특정 사이트로 접속이 가능한데, 이를 콜백 URL 메시지 서비스(Callback-URL SMS)라고 부르기도 한다.<ref name="위키백과"></ref>
  
===장문메시지서비스===
+
===장문 메시지 서비스===
[[장문메시지서비스]](Long Message Service, LMS)는 글자 수에 거의 제한 없이 길게 쓸 수 있는 문자메시지로 북미권에서는 CSMS(Concatenated SMS)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반단문메시지서비스의 경우, 제한된 양보다 더 많은 문자를 입력하게 되면 자동으로 장문메시지서비스로 변환된다.<ref name="카메라맨"></ref>
+
장문 메시지 서비스(Long Message Service, LMS)는 글자 수에 거의 제한 없이 길게 쓸 수 있는 문자메시지로 북미권에서는 CSMS(Concatenated SMS)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반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경우, 제한된 양보다 더 많은 문자를 입력하게 되면 자동으로 장문 메시지 서비스로 변환된다.<ref name="카메라맨"></ref>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
+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는 이미지, 음악, 동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첨부할 수 있는 문자메시지로 컬러 메일, 멀티 메일 등으로도 불리며, 이동통신사에 따라 장문 메시지 서비스를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로 간주해 같은 범주에 넣기도 한다.<ref name="카메라맨"></ref>
+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는 이미지, 음악, 동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첨부할 수 있는 문자메시지로 컬러 메일, 멀티 메일 등으로도 불리며, 이동통신사에 따라 장문 메시지 서비스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로 간주해 같은 범주에 넣기도 한다.<ref name="카메라맨"></ref>
  
 
== 특징 ==
 
== 특징 ==
 +
=== 원리 ===
 +
문자메시지는 일반적으로 한 [[휴대전화]]에서 다른 휴대전화로 전송되는데, 발신자가 자신의 휴대전화에 문자메시지를 입력하고 전송 버튼을 누르면 이 문자메시지는 기지국을 거쳐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로 전달되고 다시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자의 휴대전화에 최종적으로 도착한다. 끝으로 수신자의 휴대전화가 문자메시지를 받았다고 기지국에 응답하면 문자메시지 전송이 모두 완료된다. 그러나 이때 수신자의 휴대전화가 꺼져있거나 통화권 이탈 지역에 놓여있다면, 해당 문자메시지는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에 저장되어 있다가 정상적인 수신이 가능해지는 순간 전송이 시작된다. 가끔 문자메시지가 제시간에 도착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일시적인 전파망 혼잡 등의 이유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가 사용 가능한 채널을 미처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한 같은 문자메시지를 여러 번 받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엔 전파 상태가 좋지 않아 수신자의 휴대전화가 보낸 확인 신호가 기지국에 늦게 도착했음을 의미하며, 문자메시지 전송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착각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가 여러 번 재전송 시도를 한 것이다.<ref name="카메라맨"></ref>
 +
 
=== 활용 ===
 
=== 활용 ===
 
[[파일:문자_이모티콘.PNG|썸네일|300픽셀|'''이모티콘'''(emoticon)]]
 
[[파일:문자_이모티콘.PNG|썸네일|300픽셀|'''이모티콘'''(emoticon)]]
36번째 줄: 36번째 줄:
  
 
;문자메시지 단체 전송
 
;문자메시지 단체 전송
문자메시지를 이용해 동일한 메시지를 다수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수의 회원을 보유한 기업들이 상품 안내, 이벤트, 공지사항 등을 전달할 때 유용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의 스팸 문자가 난무하자 [[방송통신위원회]]가 하루 문자메시지 발송 한도를 500건으로 제한하기도 했다.<ref name="카메라맨"></ref>
+
문자메시지를 이용해 동일한 메시지를 다수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수의 회원을 보유한 기업들이 상품안내, 이벤트, 공지사항 등을 전달할 때 유용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의 스팸 문자가 난무하자 방송통신위원회가 하루 문자메시지 발송 한도를 500건으로 제한하기도 했다.<ref name="카메라맨"></ref>
  
 
;문자 수신 서비스
 
;문자 수신 서비스
원래 문자메시지는 [[휴대전화]] 및 컴퓨터에서 다른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말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휴대전화가 아닌 컴퓨터나 서버로도 문자메시지를 보낼 수 있게 됐는데 문자 수신(Mobile Oriented, MO) 서비스라고 한다. 문자 수신 서비스는 시청자와의 실시간 양방 소통이 필요한 방송, 기업 마케팅의 일환으로 전개하는 마케팅, 콜센터, 관성서 민원 처리, 경기장 전광판 등 다양한 곳에 쓰인다.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에서 실시하는 ARS 퀴즈 응모, 라디오 방송 음악 신청, 응원 메시지 남기기 등이 바로 문자 수신 서비스이다.<ref name="카메라맨"></ref>
+
원래 문자메시지는 [[휴대전화]] 및 컴퓨터에서 다른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말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휴대전화가 아닌 컴퓨터나 서버로도 문자메시지를 보낼 수 있게 됐는데 문자 수신 (Mobile Oriented, MO) 서비스라고 한다. 문자 수신 서비스는 시청자와의 실시간 양방 소통이 필요한 방송, 기업 마케팅의 일환으로 전개하는 마케팅, 콜센터, 관성서 민원 처리, 경기장 전광판 등 다양한 곳에 쓰인다.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에서 실시하는 ARS 퀴즈 응모, 라디오 방송 음악 신청, 응원 메시지 남기기 등이 바로 문자 수신 서비스이다.<ref name="카메라맨"></ref>
  
 
;콜백 URL
 
;콜백 URL
48번째 줄: 48번째 줄:
  
 
===문제점===
 
===문제점===
불량 이동통신사 혹은 불량 휴대폰 판매점에서 대량의 [[개인정보]]를 팔아넘기고, 금융기관 [[해킹]] 등으로 번호가 노출되면서 [[전자우편]]의 스팸 메일과 비슷하게 임의로 만든 전화번호로 대출 광고는 물론이고 음란 사이트, 도박 사이트와 같은 [[스팸메일]] 등을 대량으로 보내는 업자들이 많이 있다.<ref name="위키백과"></ref> 이러한 정보 노출은 [[메신저 피싱]]과 [[보이스피싱]]에까지 악용되기도 한다. 개인정보가 유출되어 스팸 문자가 오게 되면 특정 문구나 번호를 차단하여도, 번호 자체를 변경하거나 사진만 첨부해서 보내기도 하고 특수문자로 문구를 바꿔서 보내는 등 계속 스팸 문자가 오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문자를 보낼 때 발신 번호를 조작 못하게 법이 바뀌기도 했지만, 이는 일반인들에게 규제로만 작용되고, 스팸 문자를 보내던 불량업자들은 여전히 번호를 바꿔서 보내며, 이러한 법의 변화는 부득이하게 다른 사람 전화기를 빌려 문자를 보낼 때 보내는 이를 자신의 번호로 바꿔서 보내는 선량한 이용자만 불편하게 작용됐다. 스팸 문자 중에서도 수신 거부 전화번호를 써놓는 경우가 있는데, 보통 없는 번호이거나 통화 중일 때 나는 소리만 계속 나며 연결이 돼도 특별한 변화 없이 계속 스팸 문자가 온다.<ref name="나무위키"></ref>
+
불량 이동통신사 혹은 불량 휴대폰 판매점에서 대량의 [[개인정보]]를 팔아넘기고, 금융기관 [[해킹]] 등으로 번호가 노출되면서 [[전자우편]]의 스팸 메일과 비슷하게 임의로 만든 전화번호로 대출 광고는 물론이고 음란 사이트, 도박사이트와 같은 스팸 메일 등을 대량으로 보내는 업자들이 많이 있다.<ref name="위키백과"></ref> 이러한 정보 노출은 [[메신저 피싱]]과 [[보이스피싱]]에까지 악용되기도 한다. 개인정보가 유출되어 스팸 문자가 오게 되면 특정 문구나 번호를 차단하여도, 번호 자체를 변경하거나 사진만 첨부해서 보내기도 하고 특수문자로 문구를 바꿔서 보내는 등 계속 스팸 문자가 오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문자를 보낼 때 발신 번호를 조작 못하게 법이 바뀌기도 했지만, 이는 일반인들에게 규제로만 작용되고, 스팸 문자를 보내던 불량업자들은 여전히 번호를 바꿔서 보내며, 이러한 법의 변화는 부득이하게 다른 사람 전화기를 빌려 문자를 보낼 때 보내는 이를 자신의 번호로 바꿔서 보내는 선량한 이용자만 불편하게 작용됐다. 스팸 문자 중에서도 수신 거부 전화번호를 써놓는 경우가 있는데, 보통 없는 번호이거나 통화 중일 때 나는 소리만 계속 나며 연결이 돼도 특별한 변화 없이 계속 스팸 문자가 온다.<ref name="나무위키"></ref>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 〈[https://namu.wiki/w/%EB%AC%B8%EC%9E%90%EB%A9%94%EC%8B%9C%EC%A7%80#s-6.1 문자메시지]〉, 《나무위키》
 +
* 〈[https://ko.wikipedia.org/wiki/%EB%8B%A8%EB%AC%B8_%EB%A9%94%EC%8B%9C%EC%A7%80_%EC%84%9C%EB%B9%84%EC%8A%A4#%EA%B8%B0%EC%88%A0 단문 메시지 서비스]〉, 《위키백과》
 
* 베리드 공식 홈페이지 - https://veriide.com/info/the-history-of-the-sms/
 
* 베리드 공식 홈페이지 - https://veriide.com/info/the-history-of-the-sms/
* 〈[https://ko.wikipedia.org/wiki/%EB%8B%A8%EB%AC%B8_%EB%A9%94%EC%8B%9C%EC%A7%80_%EC%84%9C%EB%B9%84%EC%8A%A4#%EA%B8%B0%EC%88%A0 단문 메시지 서비스]〉, 《위키백과》
 
* 〈[https://namu.wiki/w/%EB%AC%B8%EC%9E%90%EB%A9%94%EC%8B%9C%EC%A7%80#s-6.1 문자메시지]〉, 《나무위키》
 
 
* 카메라맨,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hdj20&logNo=40134126013 SMS란 무엇인가?.]〉, 《네이버 블로그》, 2011-07-18
 
* 카메라맨,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hdj20&logNo=40134126013 SMS란 무엇인가?.]〉, 《네이버 블로그》, 2011-07-18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