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복용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약 복용 후 몸 속에서 나타나는 변화

복용(服用)이란 내복약을 먹는 것을 말한다. 인체에 약물을 적용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경구적으로 적용하도록 약물을 제제, 조제하여 소화관벽을 통해서 흡수시키는 것을 내복약이라고 하며, 산제(散劑), 수제(水劑), 정제, 캡술제등이 이에 해당된다.[1]

약 복용 시간[편집]

병원·약국에서 약사가 환자에게 을 줄 때 강조하는 게 있다. 바로 복용 시간인데 식후·식전·취침 전 등 제각각이다. 약은 종류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복용 시간이 있다. 이를 따르지 않으면 약의 효과는 줄고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지키는 것이 좋다.

약의 복용 시간은 크게 식후·식전·취침 전으로 구분한다. 우리가 먹는 약은 체내에서 흡수, 분포, 대사, 배설 등 4단계를 거친다. 약물이 몸 속에 들어가면 위·소장 등 소화관을 통해 체내에 흡수된 뒤 혈액으로 이동한다. 약물은 혈류를 따라 전신에 분포되는데 이때 간으로 이동한 약물은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는 대사 과정을 거쳐 소변·대변·땀을 통해 몸 밖으로 빠져나간다.

흡수 단계에서 약 성분은 자칫 위 점막을 자극해 속이 쓰린 증상을 유발하는데 식후에 약을 먹으면 음식이 위 점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해 속쓰림 증상을 줄일 수 있다. 그래서 대부분의 약은 식후에 먹는 것이 좋다. 특히 소염진통제(이부프로펜·디클로페낙 성분), 철분제, 무좀치료제(이트라코나졸 성분)는 위벽의 보호층을 얇게 만들 수 있다. 공복에 먹으면 위장장애를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식후에 먹는 것을 권장한다.

음식물이 있을 때 약 효과가 높아지는 약도 있다. 비만치료제(오르리스타트 성분)인데 이 비만약은 섭취한 음식의 지방 성분이 체내에 흡수되지 않도록 도와주는 의약품이다. 약효를 높이려면 약을 밥 먹는 도중에 먹거나 음식물이 흡수되는 식후 1시간 이내에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은 규칙적으로 복용해야 약효를 발휘한다. 약을 먹은 후 몸 속에서 유효 혈중 농도에 이르는 시간은 30분~2시간인데 이 유효 혈중 농도의 지속시간은 5~6시간이다. 약이 흡수돼 몸 속에서 일정하게 약물 농도를 유지하려면 규칙성이 전제돼야 한다. 수면 시간을 제외하면 일상에서 일정한 주기로 이어지는 것이 바로 식사이다. 세 끼 식사 시간에 맞춰 잊지 않고 약을 복용하면 약효가 발휘되는 혈중 농도가 잘 유지될 수 있다.

지금껏 '식후 30분' 복용법이 강조됐던 건 결국 규칙적인 약 복용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그러니 반드시 식후 30분에 약을 먹어야 한다는 부담감을 가질 필요가 없다. 30분을 기다리는 동안 약 먹는 걸 깜빡 잊어버리는 불상사가 생기기도 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식사 직후에 먹는 것도 방법이다.

식전에 복용해야 하는 약도 있다. 세 종류의 약이 대표적인데 골다공증치료제(비스포스포네이트계)는 오히려 음식물이 약 흡수를 방해한다. 위에서 음식물을 소화시킬 때는 산성 성분의 효소가 활성화하고 소화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 이 약은 산성 환경에 취약하다. 가급적 빨리 장에 도달할 수 있도록 식사 한 시간 전 공복 상태에서 약을 먹는 게 좋다.

위장약(수크랄페이트 성분)은 위장관 내에서 젤을 형성해 위 점막을 보호하는 약이다. 식사 1~2시간 전에 복용하면 식사 후 분비되는 위산과 음식물에 의한 자극으로부터 위 점막을 보호할 수 있다. 당뇨병치료제(설포닐우레아계)는 식사 전에 미리 복용하면 인슐린 분비가 촉진되여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올라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약효를 높이거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잠자기 전에 복용이 권장되는 약도 있는데 변비약(비사코딜 성분)은 복용 7~8시간 후 약효가 나타난다. 잠들기 전에 복용하면 아침에 배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재채기·코막힘, 가려움, 눈 따가움 등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에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는 먹으면 졸린다. 약을 먹은 후 운전하거나 기계를 조작하면 사고가 날 위험이 있어 취침 전에 복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고지혈증치료제(심바스타틴 성분)는 몸 속에서 콜레스테롤을 합성하는 효소에 작용해 합성 자체를 막는다. 일반적으로 콜레스테롤의 합성은 자정에서 새벽 2시 사이에 가장 활발히 이뤄지무로 저녁에 약을 먹으면 약효를 극대화할 수 있다.[2]

약물 복용시 알고 있어야 할 사항[편집]

만성질환인 경우 평생 꾸준히 복용해야 하는 약물이 대부분이다. 특히 어르신 환자의 경우에는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약물이 원인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환자 본인 또는 보호자들은 다음의 내용들을 알아두어야 한다.

약물명
  • 평소 복용하는 약물의 이름을 알아둔다.
  • 약물 이름이 너무 길고, 어려워서 외우기는 힘들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처방전을 보관하거나 약물 이름을 기록하도록 한다.
1정에 들어있는 약물의 양
  • 같은 성분의 약물이라도 용량이 다양할 수 있다.
  • 현재 복용 중인 약물의 함량을 알아둔다.
약물의 복용법
  • 1회 복용량, 1일 복용 횟수, 가장 효율적인 복용시간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있도록 한다.
  • 약물은 정해진 용량을 정해진 시간에 복용해야 최적의 효과를 낼 수 있다.
  • 약물의 복용시간은 약물의 효과나 유해반응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시간에 복용하도록 정해져 있다.
  • 대부분의 약물은 공복 시에 복용하는 것이 가장 흡수가 잘 되지만, 복약이행도를 고려해서 기억하기 쉽게 식후 30분에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일부 약물은 식사와의 관계를 고려해서 특정 시간에 복용하도록 정해져 있다.(예를 들어, 칼슘제는 음식물과 같이 있을 때 흡수가 잘 되기 때문에 식사 직후에 복용한다.)
  • 반면 음식물과 같이 복용하면 흡수율이 저하되므로 식전에 복용하는 약물들도 있다.(예를 들어, 이소니아지드(Isoniazid)와 리팜핀(Rifampin)과 같은 결핵약의 경우가 이에 속한다.)
  • 약물유해반응 측면에서는 위장장애가 심한 약물인 경우 식사 직후에 복용하는 경우가 있다.(대표적인 예로 철분제는 공복 시에 복용하는 것이 흡수는 가장 잘 되지만, 위장장애가 심하기 때문에 식사 직후에 복용하도록 하고 있다.)
  • 어르신 환자의 경우에는 복용하는 약물 수가 많은 만큼 약물의 복용 횟수도 많아지게 된다.
  • 각각의 약물을 정해진 시간에 복용하는 것이 가장 좋으나, 복약 이행 측면에서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 최근에는 식사와 상관없이 복용할 수 있는 약들이 많이 개발되면서 같은 시간대에 여러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 복용 횟수가 너무 많아 약물 복용이 불편한 경우 미리 병원이나 약국에 문의해서 되도록 간편히 복용하도록 한다.
약물의 적절한 보관법
  • 약물은 일반적으로 직사광선이 비치지 않고, 서늘하며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 특정 약물의 경우 빛에 노출되면 쉽게 변색되고, 약효가 저하되므로 차광이 가능한 갈색봉투나 약통에 보관해야 한다.
  • 일부 정제, 인슐린 주사 등 냉장보관을 해야 하는 약물들은 냉장고에 보관하도록 한다.
약물 복용을 잊었을 때의 대처법
  • 약물 복용은 잊지 않고 꼬박꼬박 잘 복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 약물 복용을 잊어버리고 시간이 지나 생각나는 경우, 생각난 즉시 복용해야 한다.
  • 하지만 다음 복용시간이 너무 가까울 때는 기다렸다가 다음 복용시간에 복용하면 된다. 단, 이때 절대로 2배 용량을 복용해서는 안 된다.[3]

각주[편집]

  1. 복용〉, 《네이버지식백과》
  2. 김선영 기자, 〈꼭 식후 30분에 약을 먹어야 할까?〉, 《중앙일보》, 2018-05-25
  3. 의약품 사용 시 알아야 할 사항〉,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복용 문서는 교통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