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부석사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부석사(浮石寺)
부석사(浮石寺)
부석사(浮石寺) 루각의 전경
부석사(浮石寺) 전경

부석사(浮石寺)는 신라 문무대왕 16년(676년)에 의상이 왕명을 받아 세운 화엄종 사찰로서,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봉황산 중턱에 있다.

부석사는 특히 의상이 화엄의 큰 가르침을 베풀던 곳으로, 의상을 "부석존자"라 하고, 그가 창시한 화엄종을 "부석종"이라 하는 것도 여기에서 유래한다. 1372년(공민왕 21)에 주지가 된 원응국사(圓應國師)에 의해 많은 건물들이 다시 세워졌다. 몇 안 되는 고려 시대 건축물인 부석사 무량수전이 유명하다. 무량수전 외에도 부석사에 많은 문화재들이 존재한다. 2018년,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개요[편집]

부석사는 경북 영주시 부석면 봉황산(鳳凰山) 중턱에 있는 절이며 한국 화엄종(華嚴宗)의 근본도량(根本道場)이다. 676년(신라 문무왕 16) 의상(義湘)이 왕명을 받들어 창건하고, 화엄의 대교(大敎)를 펴던 곳으로, 창건에 얽힌 의상과 선묘(善妙) 아가씨의 애틋한 사랑의 설화는 유명하다.

경내에는 무량수전(국보 18)·조사당(국보 19)·소조여래좌상(塑造如來坐像:국보 45)·조사당 벽화(국보 46)·무량수전 앞 석등(국보 17) 등의 국보와 3층석탑·석조여래좌상·당간지주(幢竿支柱) 등의 보물, 원융국사비·불사리탑 등의 지방문화재를 비롯하여 삼성각(三聖閣)·취현암(醉玄庵)·범종루(梵鐘樓)·안양문(安養門)·응향각(凝香閣) 등 많은 문화재가 있으며 또 신라 때부터 쌓은 것으로 믿어지는 대석단(大石壇)이 있다.

의상은 제자가 3,000명이나 있었다고 하며 그 중에서 10대덕(十大德)이라 불리는 오진(悟眞)·지통(智通)·표훈(表訓)·진정(眞定)·진장(眞藏)·도융(道融)·양원(良圓)·상원(相源)·능인(能仁)·의적(義寂) 등은 모두 화엄을 현양(顯揚)시킨 승려들이었다.

이 밖에도 《송고승전(宋高僧傳)》에 그 이름이 보이는 범체(梵體)나 도신(道身)및 신림(神琳) 등도 의상의 훌륭한 제자였으며 의상 이후의 부석사와 관계된 고승으로는 혜철국사(惠哲國師)·무염국사(無染國師)·징효대사(澄曉大師)·원융국사·원응국사 등이 그 법통을 이었다

역사[편집]

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승려 의상대사가 왕명으로 세운 화엄종 사찰이다. 현재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이다.

부석사의 이름을 직역하면 '땅에서 뜬 돌'이란 뜻인데, 이는 의상이 이 부석사를 창건할 때의 설화와 관련이 있다.

의상이 당나라에 유학을 갔을 때, 그를 사모하던 선묘라는 여인이 있었다. 하지만 의상은 승려라서 끝내 선묘의 애정을 거절했고, 의상이 신라로 귀국하자 선묘는 바다에 몸을 던져 용이 되어서 의상의 귀국 뱃길을 안전하게 지켰다고 한다.

이후 의상이 부석사를 창건할 때 지역의 도적떼들이 이를 방해하자, 선묘가 큰 바윗돌이 되어서 하늘을 떠다니며 도적들을 물리쳤다. 그 바윗돌이 부석사 뒤뜰에 잇는 큰 바위인데, 지금도 땅에 살짝 떠 있어서 바위 밑으로 줄을 넣으면 통과된다 카더라. 그래서 절 이름이 뜰 부(浮), 돌 석(石)을 써서 부석사라고 전한다.(돌 석 자의 네모 안에 점이 하나 있는데, 바위가 하늘로 떠오르지 않도록 고정한다는 의미로 찍었다고 한다.) 이 설화에 따라, 부석사에는 선묘에게 제례를 지내는 선묘각이 있다. (선묘 항목 참조)

삼국사기 궁예전에 의하면 궁예가 후고구려를 건립한 후 전국 시찰중에 부석사에 이르었을 때 주지승으로부터 이 곳에 신라 왕의 어진을 모셨다는 말을 들은 후 칼을 내리쳤다고 한다. 김부식은 (집필 당시인 고려 중기 기준으로) 아직도 부석사에 그 칼자국이 남아있다고 밝혔다. 2000년에 방영한 KBS 대하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칼을 꽂은 자리에 피가 흘러 내리는 등의 무시무시한 연출도 나왔다. 후에 다른 승려들이 뽑으려 해도 뽑히지 않으나 왕건이 나서서 건들자 뽑히는 것을 보고는 주지승이 신기하게 여겨한다.

고려시대에는 선달사나 흥교사로도 불렸다는 기록이 남아있으며 공민왕 21년(1372년)에 주지가 된 원응국사(圓應國師)가 크게 증축했다. 한국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 중 하나인 무량수전과 조사당 또한 이 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결정하는 세계유산위원회(WHC)는 2018년 6월 30일 바레인 수도 마나마에서 열린 제42차 회의에서 한국이 신청한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했다. 우리나라가 등재 신청한 산사는 양산 통도사, 영주 부석사, 안동 봉정사,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등이다.

구조[편집]

무량수전
부석사 석등
조사당
부석사 범종루
응진전과 자인당
선묘각의 선묘아가씨 초상화

엄격한 양식을 가졌던 삼국시대의 평지가람(절)과 달리 산지가람이며, 보다 더 자유로운 건물의 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고려와 조선 시대로 갈 수록 점점 심해진다. 회전문, 범종각, 법당, 안양문, 무량수전의 차례로 이루어지는 공간 구조는 화엄경의 질서와 세계관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재 부석사는 전성기의 모습 그대로는 아니다. 문헌과 그림 등에 나온 과거의 가람 구조가 현재와는 다르다. 1840년에 발간된 '순흥읍지'에는 10세기 중반의 부석사의 모습이 적혀 있는데, 지금은 없어진 건물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무량수전[편집]

1376년에 중수된 목조 건축물로 대한민국의 국보 제18호이다. 고려시대의 법식을 잘 보여주는 건물이다. 경북 안동의 봉정사 극락전과 함께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이다. 정확한 건조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고려 중기 후반경의 건축물로 추측된다.

무량수전 뒤에는 ‘부석(浮石)’이라고 새겨져 있는 바위가 있는데, 『삼국유사』에 있는 설화를 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이곳까지 따라와서 줄곧 의상대사를 보호하면서 절을 지을 수 있게 도왔다고 한다. 이곳에 숨어 있던 도적떼를 선묘가 바위로 변해 날려 물리친 후 무량수전 뒤에 내려 앉았다고 전한다. 무량수전은 부석사의 중심건물로 극락정토를 상징하는 아미타여래불상을 모시고 있다.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 때 짓고 고려 현종(재위 1009∼1031) 때 고쳐 지었으나, 공민왕 7년(1358)에 불에 타 버렸다. 지금 있는 건물은 고려 우왕 2년(1376)에 다시 짓고 광해군 때 새로 단청한 것으로, 1916년에 해체·수리 공사를 하였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으로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한 구조를 간결한 형태로 기둥 위에만 짜올린 주심포 양식이다. 특히 세부 수법이 후세의 건물에서 볼 수 있는 장식적인 요소가 적어 주심포 양식의 기본 수법을 가장 잘 남기고 있는 대표적인 건물로 평가 받고 있다. 건물 안에는 다른 불전과 달리 불전의 옆면에 불상을 모시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무량수전은 한국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안동 봉정사 극락전(국보 제15호)과 더불어 오래된 건물로서 고대 사찰건축의 구조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건물이 되고 있다.

무량수전의 평면의 안허리곡, 기둥의 안쏠림과 귀솟음, 배흘림기둥, 항아리형 보 등의 의장 수법은 고려시대의 법식을 잘 나타낸다. 이는 착시에 의한 왜곡 현상을 막으면서 효율적인 구조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 기법이다.

안양루[편집]

안양루(安養樓)는 무량수전 앞마당 끝에 위치한 누각이다.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팔작지붕 건물이다. 건물의 위쪽, 아래쪽 편액이 다르다. 난간 아랫부분의 편액은 "안양문", 위층 마당 쪽은 "안양루"라고 씌여 있다. 문과 누각의 2가지의 기능을 부여한 것이다. 극락이란 뜻을 가진 '안양'의 안양문은 극락 세계에 이르는 입구를 상징한다. 고로, 극락세계로 들어가는 문을 지나면 극락인 무량수전이 위치한 구조로 되어있는 것이다.

예로부터 많은 문인들이 안양루에서 바라보는 소백의 경치를 시문으로 남겼고, 누각 내부에 시문 현판이 담겨있다.

2층 공포와 공포 사이로, 여러 개의 금색불상이 가부좌를 틀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선묘각[편집]

선묘각(善妙閣)은 무량수전 북서쪽 모서리에 위치하고 있고, 의상조사의 창건 설화와 관련된 선묘라는 인물을 모신 건물이다. 정면과 측면이 각각 1칸 규모의 맞배집이지만, 가구의 방식이나 부재를 다듬은 걸 보아 최근의 건물인 듯하다. 안에는 1975년에 그려진 선묘의 영정이 걸려있다.

조사당[편집]

대한민국의 국보 제19호다. 무량수전 뒤쪽으로 난 오솔길을 따라 5분 정도 올라가면 나오는 건물. 의상대사가 생전에 거처했으며 이후에는 초상을 모시는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1칸의 작은 건물이지만, 무려 1377년에 세워진 건물로 무량수전만큼이나 굉장히 오래되었다. 일단 기록상은 그러한데 1201년에 단청을 했다는 기록도 있어 그보다 훨씬 더 오래됐을 가능성도 있다. 조사당 내부에는 사천왕, 보살상 등의 희귀한 고려시대의 불화가 있다.

건물 앞에 뜬금없이 철창이 있고 그 안에 선비화(골담초)라는 작은 나무가 하나 있다. 내려오는 전설에 의하면 의상대사가 지팡이를 꽂았더니 거기서 뿌리가 나 지금까지 살아있다고 한다. 건물 처마 아래에 있어 비나 이슬을 맞지 않고도 수백 년 이상을 살아온 셈이다. 철창을 만든 이유는 이 나뭇잎을 따서 달여 먹으면 아들을 낳을 수 있다고 해서, 하도 많이 잎을 따가는 바람에 나무를 보호하기 위해서 만든 것이라고 한다.

단순히 전설로 치부할 수도 있고, 사실이라 해도 1300년 전의 일인만큼 믿기 어렵지만 의외로 이 나무는 이황이 지은 선비화라는 시에서도 언급된다. 이황은 1548년에 풍기군수로 부임하였는데[9] 이 시기에 부석사에 들려 남긴 시에 이 나무가 언급된다. 이 시는 지금으로부터 460년 전에 쓰여졌으니 지금의 나무가 그때도 있었다면 만만찮게 오래됐다는 것이고 혹은 나무가 바뀌었다 해도 전설만큼은 지속적으로 유지된 것으로 보여진다.

취현암[편집]

취현암(醉玄庵)은 조사당 동쪽 바로 옆에 있다. 1997년도에 복원되어 2002년까지 선원으로 활용되다 현재 부석사 산내암자로서 쓰이고 있다

응진전[편집]

응진전(應眞殿) 무량수전 영역의 북편 위쪽에 떨어져 위치해 있다. 자인당과 함께 거의 일렬로 남향하여 일곽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응진전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제자인 나한을 모신 전각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익공계 맞배집으로 1976년에 번와 보수하였다. 이 건물의 공포에서 20세기 초에 유행한 장식적인 익공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현재는 내부에 석고로 만든 석가삼존불과 고졸한 십육나한상이 안치되어 있다.

자인당[편집]

자인당(慈忍堂)은 선방의 용도로 사용되던 건물로, 부석사에서 동쪽으로 약 1.5킬로미터 떨어진 폐사지에서 옮겨 온 석불을 이곳에 이안했다 자인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집이다. 공포가 건물 규모에 비하여 너무 크고 측벽에 여러 가지 형태의 옛 부재가 섞여 있는 것으로 보아 19세기 후반경에 해체 부재를 재사용하여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실내에는 석조 삼존여래 좌상(보물 제220호)을 모셨는데 가운데는 석가여래이고 좌우는 비로자나불이다

단하각[편집]

단하각(丹霞閣)은 최근세 지어진 것으로, 응진전 뒤쪽에 위치한다. 단하각(丹霞閣)의 "단하"(丹霞)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른다. 사리를 얻기 위하여 목불(木佛)을 쪼개 땠다는 단하소불(丹霞燒佛)의 고사로 유명한 중국 육조시대의 단하 천연(丹霞天然) 선사를 모신 것이라면, 선종과 연관이 있는 전각이다. 그러기에 도량에서 다소 떨어져 있는 선방 근처에 지었는지도 모른다.

범종루[편집]

범종루(梵鐘樓)는 구조는 누각식 문으로, 2층 정면 3칸, 측면 4칸으로 이루어졌다. 위에는 현재 종이 없고, 북과 목어가 걸려있다. 지붕은 정면 부분이 팔작지붕의 측면인 합각, 뒷부분이 맞배지붕이 측면인 박공 부분이다. 2층 뒤쪽 가운데 한 칸을 뚫어 밑에 계단을 세워 안양문이랑 향하게 하였다.

선열당[편집]

선열당(禪悅堂)은 범종각과 안양루 사이에 위치하며, 스님들이 거처하는 요사채로 이용되고 있다.

응향각[편집]

응향각(凝香閣)은 취현암 앞에 위치하며 원래는 강원 건물이었다. 무량수전으로 오르는 계단 오른쪽에 위치했었는데, 통로와 너무 인접하여 1980년 철거하고 뒤로 물려서 신축하였다. 정면 5칸 측면 1칸 반의 익공계 맞배집으로 최근 전면에 마루를 달았다.

삼성각[편집]

삼성각(三聖閣)은 칠성, 독성, 산신을 한 곳에 모신 전각으로 무량수전 서쪽 석축 아래에 위치해 있다. 원래는 축화전(祝花殿)이라 불렀는데 영조 때 대비의 원당으로 지은 건물이라 한다. 1979년의 부수때까지는 원각전(圓角殿)이라 하였고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을 모셨었다.

종각[편집]

종각(鐘閣)은 범종을 보관하는 건물로, 1980년의 보수공사 이후 신축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익공계 맞배집으로, 기둥만 새우고, 기둥 사이는 홍살로 막았다.

문화재[편집]

석단(石壇) · 당간지주(幢竿支柱) · 석등 · 3층석탑은 신라 때의 것이고, 무량수전(無量壽殿)과 조사당(祖師堂)은 고려 때의 건축이다.

국보[편집]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제17호)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제18호)
  • 영주 부석사 조사당 (제19호)
  •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제45호)
  •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 (제46호)

보물[편집]

  •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 (제220호)
  •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 (제249호)
  •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 (제255호)
  •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 (제735호)
  •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대방광불화엄경진본 (제735-1호)
  •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대방광불화엄경주본 (제735-2호)
  •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대방광불화엄경정원본 (제735-3호)
  • 영주 부석사 오불회 괘불탱 (제1562호)
  •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 (제1636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편집]

  • 영주 부석사 원융국사비 (제127호)
  •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 (제130호)

관람안내[편집]

  • 관람요금 : 어른 2,000원 청소년 1,500원 어린이 1,000원
  • 주차요금 : 버스 6,000원 자동차 3,000원
  • 개방시간 : 동틀때부터 해질녘까지

교통안내[편집]

자가운전
  • 서울 › 중부고속도로 → 호법분기점영동고속도로여주만종분기점 → 중앙고속도로 → 제천단양영주예천 → 풍기IC → 부석사
  • 대전 › 4번국도 → 옥천 → 37번 국도 → 보은 → 25번 국도 → 상주시 → 예천 → 영주방향 → 부석사
  • 대구 › 중앙고속도로 → 풍기IC → 부석사
  • 부산 › 경부고속도로 → 풍기IC → 부석사
  • 광주 › 올림픽고속도로 → 대구 → 중앙고속도로 → 풍기 IC → 부석사
  • 전주 › 호남고속도로 → 대전 → 경부고속도로 → 구미 → 중앙고속도로 → 풍기IC → 영주방향 → 부석사
  • 청주 › 36번국도 괴산 → 충주 문경 연풍방향 → 중앙고속도로 단양IC 진입 → 풍기 IC → 부석사
대중교통
  • 고속버스
  • 서울 출발의 경우 강남센트럴터미널과 동서울터미널 모두 영주행 고속버스가 있으며 ‚ 그 시간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강남고속터미널 영주행 버스 출발시각 ( 호남선 터미널 이용 ) 07:10 08:40 10:10 11:40 13:10 14:40 16:10 17:40 19:10 20:40
  • 온라인예매 : https://www.hticket.co.kr/main.action
  • 동서울터미널 영주행 버스 출발시각 06:15 첫차부터 21:45 막차까지 약 30분 간격으로 버스가 자주 있습니다.
  • 영주 시외버스터미널에 하차한 후 ‚ 길 건너편 노상의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부석사행 시내버스를 탑승합니다.
(진우경유와 풍기경유 둘다 부석사로 갑니다)
  • 기차
  • 서울의 경우 청량리역에서 출발하며 ‚ 3시간반 소요. 출발 시각 06:40 07:50 08:25 10:40 12:38 13:05 15:10 18:15 19:07 21:13
  • 서울역은 영주행 기차가 없습니다.
하차는 영주역과 풍기역 모두 가능합니다. 풍기역에서 하차하면 역 바로 앞에서 부석사행 버스 탑승 가능합니다.
풍기경유 버스 경로 : 영주 – 풍기 – 순흥 – 단산 – 부석 – 부석사 영주 기차역에서 하차하면 영주 시내버스터미널까지는 택시/버스로 이동해야 하며 ‚ 부석사행 시내버스 시간표는 〈부석사행 시내버스 시간표 여기클릭〉〈영주에서 출발하는 고속 버스 시간표 여기클릭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부석사 문서는 한국관광지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