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석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4번째 줄: 74번째 줄:
 
== 석비 양식의 시대적 변천 ==
 
== 석비 양식의 시대적 변천 ==
 
=== 삼국시대의 석비 ===
 
=== 삼국시대의 석비 ===
[[고구려]] 석비로 대표적인 것은 [[만주]] 집안현에 있는 '''[[광개토대왕릉비]]'''(廣開土大王陵碑, 414년)와 충청북도 충주의 중원고구려비(中原高句麗碑, 480∼481년)이고, 백제 석비로 대표적인 것은 충청남도 부여의 사택지적비(砂宅智積碑, 654년)이다.
+
[[고구려]] 석비로 대표적인 것은 [[만주]] 집안현에 있는 '''[[광개토왕비]]'''(廣開土王碑, 414년)와 충청북도 충주의 중원고구려비(中原高句麗碑, 480∼481년)이고, 백제 석비로 대표적인 것은 충청남도 부여의 사택지적비(砂宅智積碑, 654년)이다.
  
 
신라 석비로는 [[경상북도]] [[영천]](永川)의 '''청제비'''(菁堤碑, 536·798년)와 충청북도 단양의 적성비(赤城碑, 545∼551년), 경상남도 창녕(昌寧)의 신라진흥왕척경비(新羅眞興王拓境碑, 561년)와 북한산·황초령·마운령에 세워진 진흥왕순수비(巡狩碑, 568년), 그리고 [[경주]]의 '''남산신성비'''(南山新城碑, 591년경)와 [[대구]]의 '''무술오작비'''(戊戌塢作碑) 등이 유명하다.
 
신라 석비로는 [[경상북도]] [[영천]](永川)의 '''청제비'''(菁堤碑, 536·798년)와 충청북도 단양의 적성비(赤城碑, 545∼551년), 경상남도 창녕(昌寧)의 신라진흥왕척경비(新羅眞興王拓境碑, 561년)와 북한산·황초령·마운령에 세워진 진흥왕순수비(巡狩碑, 568년), 그리고 [[경주]]의 '''남산신성비'''(南山新城碑, 591년경)와 [[대구]]의 '''무술오작비'''(戊戌塢作碑) 등이 유명하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