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비스와강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비스와강
비스와강 지도
비스와강 유역지도

비스와강(폴란드어: Wisła, 독일어: Weichsel) 또는 비스툴라강(영어: Vistula)은 폴란드에서 가장 긴 으로 길이는 1,047km, 유역면적은 194,424km², 평균 유속은 1,080m³/s이다. 비스와강은 유럽에서 9번째로 긴 강이다.[1]

개요[편집]

비스와강은 슬로바키아 국경, 폴란드 남부에 위치한 베스키디산맥의 해발 1,106m 지점에서 발원한다. 그리고 폴란드를 크게 꾸불꾸불 나아가면서 북쪽으로 흐르다가 발트해로 유입한다. 비스와강은 크라쿠프, 바르샤바, 그단스크 등을 가로질러 발트해로 흐른다. 그단스크는 바다에 바로 접해 있지는 않으나 비스와강의 지류인 모트와바(Motława)강 하류가 이 도시를 지나 항구로 기능할 수 있다. 영어로는 비스툴라강(Vistula R.), 독일어로는 바이크셀강(Weichsel R.), 러시아어로는 비슬라강(Visla R.)이라고 한다. Vistula의 이름은 기원전 77년에 기록된 대프리니우스의 '박물지'에도 등장한다. 옛날에는 Vistula로 기록되었지만 비스툴라라는 이름은 슬라브어에서 기원한 단어는 아니어서 유래는 불분명하다. 비스와강은 크게 3개의 구간으로 나뉜다. 상부에서 산도미에르즈까지, 중앙에서 산도미에르즈로부터 나레와 버그와의 결합까지, 그리고 하단에서는 나레와 바다까지이다. 비스와강은 그단스크 부근에서 삼각주를 형성하고 발트해로 흘러들어가는데, 수많은 지류가 전국의 물을 모아들이고 있다. 바르샤바 부근에서부터 하류는 주운(舟運)이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운하에 의해 오데르강과 연결되어 있다. 슐레지엔 지방의 석탄·목재 수송에도 이용된다.[2]

고대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은 이 강을 오위스튈라강 또는 이스틸라강이라 불렀다. 한동안 발트어족 민족들이 거주했으나 서기 7~8세기 이후 서슬라브족 계열 폴란인이 이 지역 원주민들을 흡수, 동화시키며 정착하였다. 이들이 오늘날 폴란드인의 기원이다. 중세 폴란드 왕국과 근세 폴란드-리투아니아는 비스와강 수운을 이용하여 폴란드 왕국 전역의 목재와 곡물, 꿀과 왁스을 서유럽으로 수출하였다. 우크라이나 흑토(초르노젬) 지대에서 생산한 곡물도 드네프르강 수운을 통해 비스와강으로 비스와강에서 다시 그단스크로 이송하여 서유럽 각지로 수출되었다. 폴란드의 경제는 이런 수운 인프라가 대홍수를 거치며 완전히 파괴되고 곡물 교역 관련자들이 떼죽음을 당하거나 흩어지면서 몰락으로 접어들었다. 근대 폴란드 분할로 폴란드가 멸망한 이후 비스와강은 폴란드 민족주의 문화의 중요한 상징 중 하나가 되었다. 그래서 비스와강은 때때로 폴란드를 가리키는 명칭이 되기도 한다. 1920년 폴란드가 볼셰비키를 상대로 거둔 바르샤바의 승리를 비스와강의 기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비스와강 하류에는 폴란드의 대표적인 소수 언어 집단인 카슈브인(카슈브어 화자)들이 거주한다.[3]

지질[편집]

비스툴라강과 그 계곡의 역사는 200만 년이 넘는다. 강은 뚜렷한 기후 냉각이 일어난 제4기라고 불리는 지질 시대와 연결되어 있다. 지난 백만년 동안 빙상이 폴란드 지역에 8번이나 유입되면서 강 유역의 변화도 가져왔다. 따뜻한 시기에 빙상이 물러나면서 비스툴라강은 계곡이 깊어지고 넓어졌다. 강은 스칸디나비아 빙상이 이 지역에서 완전히 사라진 후 지난 14,000년 동안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현재 비스툴라 계곡과 함께 제방의 침식과 새로운 퇴적물의 수집이 여전히 일어나고 있다.

폴란드의 주강으로서 비스툴라강도 유럽의 중심에 있다. 대륙의 주요 지리적, 지질학적 땅덩어리 세 개가 강 유역에서 만난다. 동유럽 평야, 서유럽, 알프스산맥과 카르파티아산맥 이 속한 고산 지대이다. 비스툴라강은 카르파티아산맥에서 시작된다. 강줄기는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 흘러내리는 빙상에 의해 형성되었다. 마지막 빙하는 약 2만 년전에 폴란드 지역에 들어왔다. 따뜻한 날씨 기간 동안 고대 비스툴라인 프라-위스와(Pra-Wisła)는 바다로 가는 최단 경로를 찾았다. 수천 년 전 그것은 현대 스코틀랜드의 위도에 해당하는 북해로 흘러 들어갔다. 비스툴라 계곡의 기후, 그 식물, 동물, 그리고 바로 그 성격이 빙하 퇴각 과정에서 상당히 바뀌었다.[4]

역사[편집]

비스툴라 분지의 대부분은 기원전 1천 년에 철기 시대의 루사티안과 프르제워스크 문화에 의해 점령되었다. 유전자 분석 결과 지난 3,500년 동안 주민들의 유전적 연속성이 깨지지 않고 지속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비슬라 분지는 라인강, 다뉴브강, 엘베강, 오데르강과 함께 서기 1세기 로마 작가들에 의해 마그나 게르마니아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것은 주민들이 현대적인 의미에서 "게르마 민족"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타키투스는 베네티, 페우치니, 페니를 묘사할 때, 그들이 정착지를 가지고 있고 도보로 싸웠기 때문에 그들을 독일인이라고 불러야 할지, 아니면 사르마티아인이라고 불러야 할지 확신할 수 없다고 썼다. 서기 2세기에 프톨레마이오스는 비슬라를 게르마니아와 사르마티아 사이의 경계라고 묘사했다.

비스툴라강은 드니퍼강과 연결되었다가 오거스토우운하를 통해 흑해로 흘러들어가곤 했는데, 이는 수많은 수문이 미적 매력을 더해주는 기술적 경이로움을 안겨 주었다. 이 수로는 양대 강인 비스툴라강과 네만강을 직접 연결하는 중앙유럽 최초의 수로였다. 오긴스키운하, 드니퍼강, 베레지나운하, 드비나강을 통해 남으로 향하는 흑해와 연결을 제공했다. 강을 끼고 있는 발트해-비스툴라-디퍼-흑해 노선은 북유럽에서 그리스, 아시아, 이집트 등으로 호박 등이 거래되던 가장 오래된 무역로 중 하나였다.

비스토라 하구는 7~8세기에 슬라브인들이 정착하였다. 고고학적, 언어학적 발견에 근거하여, 이 정착민들은 비스툴라강을 따라 북쪽으로 이주한 것으로 추정한다. 그러나 이는 벨레티가 비스툴라 삼각주에서 서쪽으로 이동했다는 일부 연구자들의 또 다른 가설과 모순된다.

다수의 서슬라브계 폴란드 부족들이 8세기부터 작은 영토를 형성했고, 그 중 일부는 나중에 더 큰 영토로 합쳐졌다. 바이에른 지리학자의 9세기 문서에 열거된 부족들 중에는 폴란드 남부의 비슬란인이 있었다. 크라쿠프(Kraków)와 비실리차(Wiślica)는 그들의 주요 중심지였다.

많은 폴란드 전설들이 비스툴라강과 폴란드 국가 성립의 시작과 연관되어 있다. 가장 오래 지속되는 것 중 하나는 완다 공주에 관한 것이다. 15세기 역사가 얀 뒤고스가 대중화한 가장 인기 있는 변종에 따르면 크락왕의 딸 완다는 아버지가 사망하자 폴란드 여왕이 됐다. 그녀는 폴란드를 침공한 독일 왕자 뤼티지에와의 결혼을 거부했으나 격퇴당했다. 그러나 완다는 다시는 조국을 침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비스툴라강에 빠져 자살했다.

수백 년 동안 비스툴라강은 폴란드의 주요 무역 동맥 중 하나였으며, 그 둑에 늘어선 성들은 매우 귀중한 소유물이었다. 소금, 목재, 곡물, 건축용 돌은 10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그 경로를 통해 운송된 상품들 중 하나이다.

14세기에 하류 비스툴라 지역은 1226년에 마소비아의 콘라드 1세가 자신의 땅 국경에서 이교도 프로이센과 싸우는 것을 돕기 위해 초청한 튜턴 기사단의 지배를 받았다. 1308년 튜턴 기사단은 그단스크성을 점령하고 주민들을 학살했다. 그 이후 이 사건은 그다이스크 학살로 알려졌다. 기사단은 삼보르 2세(Sambor II)로부터 그뉴(Gniew)를 물려받아 비스툴라강의 왼쪽 강둑에 거점을 마련했다. 14세기에 지어진 많은 곡창고와 창고들이 비스툴라 강둑에 늘어서 있었다. 15세기에 그단스크(Gdasksk) 시는 발트 지역에서 상인과 무역의 중심지로서 그리고 항구 도시로서 큰 중요성을 얻었다. 이때 주변 땅에는 포메라니안인들이 거주하고 있었으나, 그다이스크는 곧 대부분 몰락한 비슬란국의 독일 정착의 출발점이 되었다.

1618년 정점을 찍기 전, 무역은 1491년보다 20배 증가했다. 16세기에 수출된 곡물의 대부분은 그단스크를 통해 폴란드를 떠났는데, 그단스크는 비스툴라강과 그 지류 수로 끝의 위치와 발트해 항구 무역 역할로 인해 가장 부유하고 고도로 발전했으며 단연코 가장 큰 항구가 되었다. 다른 도시들은 그단스크의 거의 독점적인 대외 무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스테판 바토리(Stephen Báthory) 통치 기간 동안 폴란드는 두 개의 주요 발트해 항구를 통치했다. 그단스크 (Gdańsk)는 비스툴라(Vistula) 강 무역을 통제했고 리가(Riga)는 서부 드비나 무역을 통제했다. 두 도시 모두 그 나라에서 가장 큰 도시들 중 하나였다. 그단스크로부터의 수출의 약 70%가 곡물이었다. 곡물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최대 수출 상품이기도 했다. 거래되는 곡물의 양은 영연방의 경제 성장을 나타내는 훌륭하고 잘 측정된 지표로 간주되었다.

폴워크의 소유자는 일반적으로 내륙 무역의 80%를 통제하는 그단스크 상인과 곡물을 그단스크로 운송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강항구와 곡물 창고 등 상대적으로 잘 발달된 기반 시설을 갖춘 비스툴라강을 포함하여 영연방의 많은 강이 운송에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강 운송은 북쪽으로 이동했으며 남쪽으로의 운송은 수익성이 낮았으며 바지선과 뗏목은 종종 목재를 위해 그단스크에서 매각되었다.

비스툴라강 하류에서 반복되는 홍수를 막기 위해 1889~95년 프로이센 정부는 그단스크 동쪽 약 12km에 비스툴라 컷(독일어: Weichseldurchstich)으로 알려진 인공 수로를 건설했다. 그 결과 그단스크를 통한 역사적인 비스툴라 수로는 흐름을 상당 부분 잃었고, 그 이후 데드 비스툴라(독일어: Tote Weichel)로 알려졌다. 1867년부터 1917년까지 러시아 차르 정권은 1월 봉기(1863~1865)가 무너진 후 폴란드 왕국을 비스툴라 땅이라고 불렀다.

1920년 폴란드-소련 전쟁 의 결정적인 전투인 바르샤바 전투(때때로 비스툴라강의 기적 이라고도 함)는 미하일 투카 체프스키가 지휘하는 적군이 폴란드의 수도 바르샤바와 강 어귀 근처의 모들린 요새에 접근하면서 벌어졌다.

폴란드 9월 선거 운동에는 비스툴라강 하구와 강 삼각주에 가까운 그단스크 시를 장악하기 위한 전투가 포함되었다. 폴란드 침공 중(1939년) 포메라니아에서 첫 전투가 끝난 후 포메라니아의 폴란드군 잔해는 비스툴라강 남쪽 기슭으로 철수했다. 며칠 동안 토룬을 방어한 후 군대는 전반적으로 긴장된 전략적 상황의 압력을 받아 더 남쪽으로 철수하고 브주라(Bzura)의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단지는 비스툴라강과 솔라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었다. 살해된 아우슈비츠 희생자들의 재는 강에 버려졌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나치 Stalag XX-B 수용소의 전쟁 포로들은 비스툴라강에서 얼음 덩어리를 자르는 임무를 맡았다. 그 얼음은 트럭으로 지역 맥주집으로 운반되었다.

1944년 바르샤바 봉기는 공세 도중 도착해 비스툴라강 건너편에서 전력을 다해 기다리고 있던 소련군이 바르샤바 전투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기대로 기획됐다. 그러나 소련은 비스툴라강에서의 진격을 중단하고 라디오 방송에서 반군을 범죄자로 낙인찍으면서 폴란드군을 무너뜨렸다

1945년 초, 비스툴라-오데르 공세(Vistula-Oder Offensive) 에서 붉은 군대는 비스툴라강을 건너 독일 국방군을 독일의 오데르강을 지나 뒤로 몰아냈다.

1946년 말 전쟁이 끝난 후, 전 오스트리아 SS 대원인 아몬 괴트(Amon Göth)는 사형을 선고받고 9월 13일 크라쿠프의 몬테루피치 교도소에서 교수형을 당했다. 이 곳은 그가 홀로코스트 내내 사령관이었던 프와슈프 수용소에서 멀지 않은 곳이었다. 그의 유해는 화장되어 비스툴라강에 뿌려졌다.[5]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비스와강〉, 《위키백과》
  2. 비스와강(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3. 비스와 강〉, 《나무위키》
  4. 비스툴라〉, 《요다위키》
  5. "Vistula", Wikipedia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비스와강 문서는 세계의 강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