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산업통상자원부는 「정부조직법」(법률 제11690호, 2013년 3월 23일 전부개정) 제26조 및 제37조와 「산업통상자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대통령령 제24442호, 2013년 3월 23일 제정) 제3조를 근거로 2013년 3월 23일 발족된 정부부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정부조직법」(법률 제11690호, 2013년 3월 23일 전부개정) 제26조 및 제37조와 「산업통상자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대통령령 제24442호, 2013년 3월 23일 제정) 제3조를 근거로 2013년 3월 23일 발족된 정부부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제 통상질서 재편의 상황 속에 기존의 통상교섭 중심에서 산업과 통상의 연계 강화를 위해 발족한 부처로, 무역투자 부문에서는 ‘무역역량 강화를 통한 경제의 효율성과 세계화 가속화’, ‘외국인 투자 활성화를 통한 동북아 경제중심 실현’, 산업기술 부문에서는 ‘신성장 동력 확충을 통한 산업강국 실현’, ‘광역경제권 위주의 지역발전 정책추진’, 에너지자원 부문에서는 ‘안정적 수급체계 구축 및 에너지 저소비형 환경친화적 경제구조로의 전환’, 그리고 통상정책 부문에서는 ‘국익과 경제적 실리에 충실한 통상정책 추진’을 조직의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438941&cid=46625&categoryId=46625 산업통상자원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f>
+
산업통상자원부는 국제 통상질서 재편의 상황 속에 기존의 통상교섭 중심에서 산업과 통상의 연계 강화를 위해 발족한 부처로, 무역투자 부문에서는 ‘무역역량 강화를 통한 경제의 효율성과 세계화 가속화’, ‘외국인 투자 활성화를 통한 동북아 경제중심 실현’, 산업기술 부문에서는 ‘신성장 동력 확충을 통한 산업강국 실현’, ‘광역경제권 위주의 지역발전 정책추진’, 에너지자원 부문에서는 ‘안정적 수급체계 구축 및 에너지 저소비형 환경친화적 경제구조로의 전환’, 그리고 통상정책 부문에서는 ‘국익과 경제적 실리에 충실한 통상정책 추진’을 조직의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역사==
 
==역사==
 
1948년 11월에 설치된 상공부를 모체로 한다. 1977년 상공부의 동력·지하자원·열관리 부문을 분리하여 동력자원부가 신설되었고, 1993년 3월 상공부와 동력자원부가 통합하여 상공자원부로 개편되었다. 1994년 12월 상공자원부에 대외통상 업무를 강화하여 통상산업부가 출범하였으며, 1998년 대외통상 업무를 외교통상부로 이관하고 산업자원부로 개편되었다.
 
1948년 11월에 설치된 상공부를 모체로 한다. 1977년 상공부의 동력·지하자원·열관리 부문을 분리하여 동력자원부가 신설되었고, 1993년 3월 상공부와 동력자원부가 통합하여 상공자원부로 개편되었다. 1994년 12월 상공자원부에 대외통상 업무를 강화하여 통상산업부가 출범하였으며, 1998년 대외통상 업무를 외교통상부로 이관하고 산업자원부로 개편되었다.
  
1994년 12월 상공자원부에 대외통상 업무를 강화하여 통상산업부(通商産業部)가 출범하였으며, 1998년 대외통상 업무를 외교통상부로 이관하고 산업자원부로 개편되었다. 2008년에는 산업자원부 기능과 정보통신부·과학기술부·재정경제부의 일부 기능을 통합하여 지식경제부로 개편되었다. 2013년 3월 박근혜정부 출범과 함께 시행된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지식경제부의 상업·무역·공업 등의 업무에 통상 교섭 및 FTA(자유무역협정)에 관한 업무를 외교통상부로부터 이관받아 산업통상자원부로 개편되었다. 대신 기존 지식경제부의 업무였던 IT산업정책과 우정사업을 미래창조과학부에 넘겨주었다. 같은해 12월 세종시 현 청사로 이전하였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46468&cid=43124&categoryId=43124 산업통상자원부]〉, 《네이버 기관단체사전》</ref>
+
1994년 12월 상공자원부에 대외통상 업무를 강화하여 통상산업부(通商産業部)가 출범하였으며, 1998년 대외통상 업무를 외교통상부로 이관하고 산업자원부로 개편되었다. 2008년에는 산업자원부 기능과 정보통신부·과학기술부·재정경제부의 일부 기능을 통합하여 지식경제부로 개편되었다. 2013년 3월 박근혜정부 출범과 함께 시행된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지식경제부의 상업·무역·공업 등의 업무에 통상 교섭 및 FTA(자유무역협정)에 관한 업무를 외교통상부로부터 이관받아 산업통상자원부로 개편되었다. 대신 기존 지식경제부의 업무였던 IT산업정책과 우정사업을 미래창조과학부에 넘겨주었다. 같은해 12월 세종시 현 청사로 이전하였다.
  
 
==주요 업무==
 
==주요 업무==
주요 업무는 상업·무역·공업·통상, 통상교섭 및 통상교섭에 관한 총괄·조정, 외국인 투자, 산업기술 연구개발정책, 에너지·지하자원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것이다. 종전 지식경제부의 R&D 정책, 정보통신산업 부문은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되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822206&cid=40942&categoryId=39699 산업통상자원부]〉, 《두산백과》</ref>
+
주요 업무는 상업·무역·공업·통상, 통상교섭 및 통상교섭에 관한 총괄·조정, 외국인 투자, 산업기술 연구개발정책, 에너지·지하자원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것이다. 종전 지식경제부의 R&D 정책, 정보통신산업 부문은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되었다.
  
 
==조직==
 
==조직==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