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8번째 줄: 28번째 줄:
  
 
이외에도 서원은 다양한 기능을 담당했다. 지방의 인재들이 모이는 집회소였으며, 학생들의 학문을 위해 다양한 도서를 보관하는 도서관의 기능과 책의 출판 기능도 담당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서원에는 장판각 또는 장판고라는 서고가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서원은 지방의 풍속을 순화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는 곳이었다. 서원에서는 그 지역의 여론을 이끌어 나갔음은 물론, 각 지방별 향약을 기준으로 효자나 열녀 등을 표창하고 윤리에 어긋나는 행동을 한 사람을 성토하는 등의 직접적인 교화 활동도 하였다.
 
이외에도 서원은 다양한 기능을 담당했다. 지방의 인재들이 모이는 집회소였으며, 학생들의 학문을 위해 다양한 도서를 보관하는 도서관의 기능과 책의 출판 기능도 담당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서원에는 장판각 또는 장판고라는 서고가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서원은 지방의 풍속을 순화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는 곳이었다. 서원에서는 그 지역의 여론을 이끌어 나갔음은 물론, 각 지방별 향약을 기준으로 효자나 열녀 등을 표창하고 윤리에 어긋나는 행동을 한 사람을 성토하는 등의 직접적인 교화 활동도 하였다.
 
== 서원의 지나친 증설과 쇠락 ==
 
조선 후기 서원은 해마다 증가하여 '고을마다 즐비하게' 되었다. 우선 사액을 명분으로 국가에서 경제적 혜택까지 지원한 것이 서원 증설에 큰 역할을 했다. 지방 유생들은 서원을 통해 결집하였고, 서원과 붕당 간의 유착은 서원의 수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배경이 되었다.
 
 
이처럼 서원이 증가하자 서원의 본래 목적은 변질되기 시작하였다. '벼슬이 높거나 세력 있는 집안사람이면 향사(享祀)하고, 서로 다투어 제사 지내는 것을 일삼아 이것을 가지고 서로 자랑하며, 또 그것으로 사사로이 명예를 세움으로써 배척과 훼방이 따르기도 한다.'는 식이 비판이 나타났다. 서원에 뛰어난 유학자를 제향한다는 원칙에서 벗어나 자기 붕당의 이해관계에 맞는 사람들이 배향되었던 것이다. 또한 높은 관직을 지냈거나 고을을 잘 다스린 수령, 자손의 출세를 토대로 선조(先祖) 등이 배향되는 사례도 있었다.
 
 
서원 남설은 교육의 질을 떨어뜨렸을 뿐 아니라 각종 폐단까지 야기하였다. 건립과 유지에 필요한 비용을 지방관에게서 갹출하는 구청(求請)이 빈번했고, 양정(良丁, 양인 신분의 장정)에게 불법적으로 역을 부담하게 하는 일도 잦았다. 무엇보다 서원이 공론을 빙자하여 당론의 소굴이 되었다는 비난이 끊이지 않았다. 따라서 조정에서는 한 고을에 여러 개의 서원이 건립되는 것, 한 인물을 배향하는 서원을 여러 곳에 세우는 것 등을 금지한다는 조처를 내렸다. 하지만 서원이라는 명칭을 피해 사우(祠宇)를 건립하는 편법이 행해졌다.
 
 
결국 조정에서는 서원 혁파가 논의되었다. 선조는 문폐(文弊)가 심하다는 이유로 긴요하지 않은 서원을 혁파하도록 하였고, 영조는 서원을 당론의 온상으로 지목하여 170여 개소의 서원과 사우(祠宇)를 철폐하였다. 그리고 1864년(고종 1)에 집권한 흥선대원군은 한 사람을 중복하여 배향하거나[첩설(疊設)] 사사로이 건립된 서원을 조사하여 폐지하였고, 서원과 관련한 각종 불법적인 사안들을 대대적으로 점검하였다. 그리고 만동묘(萬東廟)와 화양서원(華陽書院)을 없앤 이후 서원 정비를 단행하여 1871년(고종 8)에 사표(師表)가 될 만한 47개소를 제외한 나머지 6백여 곳의 서원을 모두 철폐하였다.
 
  
 
==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
 
==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
49번째 줄: 40번째 줄:
 
서원의 위치에 가장 크게 고려되는 요소는 선현과의 연관성이다. 두 번째 요소는 경관으로, 자연감상과 심신단련을 위해 산과 물이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서원에서 누마루 양식의 개방적인 건물은 그러한 경관과의 연결을 더욱 원활하게 한다. 학자들은 성리학 고전과 문학작품을 공부했으며, 우주를 이해하고 이상적인 인간이 되기 위해 노력했으며, 고인이 된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을 배향하고 강한 학문적 계보를 형성했다. 나아가 서원에 근거한 다양한 사회정치적 활동을 통해 성리학의 원칙을 널리 보급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서원의 위치에 가장 크게 고려되는 요소는 선현과의 연관성이다. 두 번째 요소는 경관으로, 자연감상과 심신단련을 위해 산과 물이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서원에서 누마루 양식의 개방적인 건물은 그러한 경관과의 연결을 더욱 원활하게 한다. 학자들은 성리학 고전과 문학작품을 공부했으며, 우주를 이해하고 이상적인 인간이 되기 위해 노력했으며, 고인이 된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을 배향하고 강한 학문적 계보를 형성했다. 나아가 서원에 근거한 다양한 사회정치적 활동을 통해 성리학의 원칙을 널리 보급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파일:서원.jpg|썸네일|800픽셀|가운데|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파일:서원.jpg|썸네일|800픽셀|가운데|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 주요 서원 목록 ==
 
* [[돈암서원]](충청남도 논산시)
 
* [[무성서원]](전라북도 정읍시)
 
* [[필암서원]](전라남도 장성군)
 
* [[남계서원]](경상남도 함양군)
 
* [[도동서원]](대구광역시 달성군)
 
* [[옥산서원]](경상북도 경주시)
 
* [[병산서원]](경상북도 안동시)
 
* [[도산서원]](경상북도 안동시)
 
* [[소수서원]](경상북도 영주시)
 
* 무양서원 (광주광역시 광산구)
 
* 소현서원 (황해남도 벽성군)
 
* 숭양서원 (개성시)
 
* 용곡서원 (평양시)
 
* 충렬사 (부산광역시 동래구)
 
* 현충사 (충청남도 아산시)
 
* 화양서원 (충청북도 괴산군)
 
* 회연서원 (경상북도 성주군)
 
* 임고서원 (경상북도 영천시)
 
* 금오서원 (경상북도 구미시)
 
* 심곡서원 (경기도 용인시)
 
* 자운서원 (경기도 파주시)
 
* 덕성서원(세종특별자치시)
 
 
== 유사기구 ==
 
===  국립 ===
 
* 국학
 
* 국자감
 
* 규장각
 
* 성균관
 
* 집현전
 
* 태학
 
* 향교
 
* 홍문관
 
 
=== 사립 ===
 
* 경당
 
* 서당
 
* 십이공도
 
* 화랑도
 
 
=== 외국 ===
 
* 세미너리
 
* 아카데미
 
* 칼리지
 
  
 
== 동영상 ==
 
== 동영상 ==
106번째 줄: 51번째 줄:
 
*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B%90 서원]〉,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B%90 서원]〉, 《위키백과》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8091 서원 (書院)]〉,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8091 서원 (書院)]〉,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r300630&code=kc_age_30 지방 사림, 서원을 중심으로 성장하다]〉, 《우리역사넷》
 
 
* 〈[https://www.heritage.go.kr/heri/html/HtmlPage.do?pg=/unesco/Heritage/Heritage_14.jsp&pageNo=5_2_2_0 한국의 서원]〉, 《국가문화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html/HtmlPage.do?pg=/unesco/Heritage/Heritage_14.jsp&pageNo=5_2_2_0 한국의 서원]〉, 《국가문화유산포털》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