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랄해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파일:카스피해 지도.jpg|썸네일|300픽셀|'''아랄해''']]
 
[[파일:카스피해 지도.jpg|썸네일|300픽셀|'''아랄해''']]
  
'''아랄해'''(영어: Aral Sea, 우즈베크어: Orol dengizi, 카자흐어: Арал теңізі, Aral tengizi, 러시아어: Аральскοе мοре)는 [[카스피해]]의 동쪽에 위치한, [[중앙아시아]]의 [[염호]]이다. [[우즈베키스탄]] 북부와 [[카자흐스탄]] 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우즈베키스탄 [[영토]]에 속한다.  아랄해라는 이름은 직역하면 '섬바다' 혹은 '천개의 섬의 바다' 정도의 뜻인 고대 튀르크어 '아랄 딩기즈'에서 유래되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B%9E%84%ED%95%B4 아랄해]〉, 《위키백과》</ref>
+
'''아랄해'''(영어: Aral Sea, 우즈베크어: Orol dengizi, 카자흐어: Арал теңізі, Aral tengizi, 러시아어: Аральскοе мοре)는 [[카스피해]]의 동쪽에 위치한, [[중앙아시아]]의 염호이다. [[우즈베키스탄]] 북부와 [[카자흐스탄]] 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우즈베키스탄 [[영토]]에 속한다.  아랄해라는 이름은 직역하면 '섬바다' 혹은 '천개의 섬의 바다' 정도의 뜻인 고대 튀르크어 '아랄 딩기즈'에서 유래되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B%9E%84%ED%95%B4 아랄해]〉, 《위키백과》</ref>
  
 
==개요==
 
==개요==
아랄해는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사이에 있는 대염호(大鹽湖)이다. 아랄해는 한때 총면적 68,000km²에 평균 깊이 16m로 [[세계]] 4위의 [[호수]]였다. [[스리랑카]] 면적과 비슷하고 [[한국]]의 면적이 100,339km²로 아랄해 면적의 약 3분의 2 크기이다. 어족도 풍부해서 철갑상어와 여러 물고기가 서식하여 근방의 주민들은 어렵지 않게 살았다. 한때 아랄해 최대의 항구 도시였던 무이나크 주변 어획량은 연간 3만 t에 이르렀으나 [[강물]]의 유입이 해마다 줄어들면서 급격히 작아지고 있다. 호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은 1960년대부터 중앙아시아에서 대규모 면화 재배를 위해 아랄해로 들어오는 아무다리야강과 시르다리야강의 물을 중간에 차단하고 관개용수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호수로 유입된 물이 크게 줄자 염도가 3배 이상 높아지고 수량이 70%이상 감소했다. 호수가 작아지면서 그곳에 살고 있던 철갑상어와 잉어 등 토착 어종이 사라졌으며 어업으로 번성하던 주변 어민들은 생계를 잃게 되었다. 호수가 축소되자 이 지역에서는 겨울과 여름의 기온차가 커지고 비도 적게 내려 작물의 생산량도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아랄해는 지구상에서 환경파괴의 위험성과 심각성을 제대로 보여주는 지역이 되었다. 우즈베키스탄에서 아랄해를 원래대로 복구하는 작업을 하고 있으며 현재는 많이 복구된 상태이다.<ref>〈[https://yoda.wiki/wiki/Aral_Sea 아랄 해]〉, 《요다위키》</ref>
+
아랄해는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사이에 있는 대염호(大鹽湖)이다. 아랄해는 한때 총면적 68,000km²에 평균 깊이 16m로 [[세계]] 4위의 [[호수]]였다. [[스리랑카]] 면적과 비슷하고 [[한국]]의 면적이 100,339km²로 아랄해 면적의 약 3분의 2 크기이다. 어족도 풍부해서 철갑상어와 여러 물고기가 서식하여 근방의 주민들은 어렵지 않게 살았다. 한때 아랄해 최대의 항구 도시였던 무이나크 주변 어획량은 연간 3만 t에 이르렀으나 [[강물]]의 유입이 해마다 줄어들면서 급격히 작아지고 있다. 호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은 1960년대부터 중앙아시아에서 대규모 면화 재배를 위해 아랄해로 들어오는 아무다리야강과 시르다리야강의 물을 중간에 차단하고 관개용수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호수로 유입된 물이 크게 줄자 염도가 3배 이상 높아지고 수량이 70%이상 감소했다. 호수가 작아지면서 그곳에 살고 있던 철갑상어와 잉어 등 토착 어종이 사라졌으며 어업으로 번성하던 주변 어민들은 생계를 잃게 되었다. 호수가 축소되자 이 지역에서는 겨울과 여름의 기온차가 커지고 비도 적게 내려 작물의 생산량도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아랄해는 지구상에서 환경파괴의 위험성과 심각성을 제대로 보여주는 지역이 되었다. 우즈베키스탄에서 아랄해를 원래대로 복구하는 작업을 하고 있으며 현재는 많이 복구된 상태이다.<ref>〈[https://yoda.wiki/wiki/Aral_Sea 아랄 해]〉, 《요다위키》</ref>
  
 
아랄해는 결국 물이 줄어 바닥이 드러나면서 아랄해는 카자흐스탄 쪽의 북아랄해와 우즈베키스탄 쪽의 남아랄해로 두 쪽이 났다. 우즈베키스탄은 면화 산업을 유지하고 호수 바닥에서 [[가스]]와 [[석유]]를 개발하겠다며 소금 사막으로 변한 아랄해 재생 노력을 사실상 포기했다. 아랄해로 흘러드는 물의 양이 대폭 줄어 호수의 물은 염분과 광물질 함유량이 늘어나 식수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으며, 철갑상어, 잉어 등의 어류가 멸종 위기에 놓여 연안 어업은 폐업 상태가 되었다. 이에 따라 소련 정부는 호수 남부와 동부에서 물이 적게 드는 농사법을 이용하여 두 강의 물이 최대한 호수로 흘러들게 함으로써 수위를 안정시키는 계획을 마련하였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697187&cid=51736&categoryId=51736 아랄 해(세계지명 유래 사전)]〉, 《네이버 지식백과》</ref>
 
아랄해는 결국 물이 줄어 바닥이 드러나면서 아랄해는 카자흐스탄 쪽의 북아랄해와 우즈베키스탄 쪽의 남아랄해로 두 쪽이 났다. 우즈베키스탄은 면화 산업을 유지하고 호수 바닥에서 [[가스]]와 [[석유]]를 개발하겠다며 소금 사막으로 변한 아랄해 재생 노력을 사실상 포기했다. 아랄해로 흘러드는 물의 양이 대폭 줄어 호수의 물은 염분과 광물질 함유량이 늘어나 식수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으며, 철갑상어, 잉어 등의 어류가 멸종 위기에 놓여 연안 어업은 폐업 상태가 되었다. 이에 따라 소련 정부는 호수 남부와 동부에서 물이 적게 드는 농사법을 이용하여 두 강의 물이 최대한 호수로 흘러들게 함으로써 수위를 안정시키는 계획을 마련하였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697187&cid=51736&categoryId=51736 아랄 해(세계지명 유래 사전)]〉, 《네이버 지식백과》</ref>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