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얽힘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93번째 줄: 93번째 줄:
 
:그러나 사고실험에 의한 양자 얽힘 상태를 의미 있는 정보 전달로 보지 않는다. 양자얽힘은 태초에 양자들이 서로 얽혀 있던 상태로, 한쪽이 결정되면 다른 쪽은 곧바로 상태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물리학의 국소성 원리가 통하지 않는 비국소성이 적용된다는 주장이다. 성능이 좋은 손전등으로 물체를 비추면 멀리서도 그림자가 생기기 마련이다. 투사 거리를 더 멀게 해서 수억 광년 떨어진 곳에 그림자를 투사시킨다고 할 때, 성능이 정말 좋은 손전등이 약간 움직인다고 해도 수억 광년 떨어진 위치의 그림자는 엄청나게 크며, 움직이는 거리는 상당하다. 투사 거리가 멀수록 그림자는 광속만큼 빠른 움직임을 보이거나 심지어 광속보다 더 빠르게 그림자가 이동한다고 상상할 수도 있다. 투사된 그림자도 빛보다 빨리 정보를 전달하는 것처럼 보이나, 원자 자체를 이동시킨 것은 아니다. 빛보다 빠르게 상호작용하는 것은 허용되지만, 빛보다 빠른 것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고실험에 의한 양자 얽힘 상태를 의미 있는 정보 전달로 보지 않는다. 양자얽힘은 태초에 양자들이 서로 얽혀 있던 상태로, 한쪽이 결정되면 다른 쪽은 곧바로 상태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물리학의 국소성 원리가 통하지 않는 비국소성이 적용된다는 주장이다. 성능이 좋은 손전등으로 물체를 비추면 멀리서도 그림자가 생기기 마련이다. 투사 거리를 더 멀게 해서 수억 광년 떨어진 곳에 그림자를 투사시킨다고 할 때, 성능이 정말 좋은 손전등이 약간 움직인다고 해도 수억 광년 떨어진 위치의 그림자는 엄청나게 크며, 움직이는 거리는 상당하다. 투사 거리가 멀수록 그림자는 광속만큼 빠른 움직임을 보이거나 심지어 광속보다 더 빠르게 그림자가 이동한다고 상상할 수도 있다. 투사된 그림자도 빛보다 빨리 정보를 전달하는 것처럼 보이나, 원자 자체를 이동시킨 것은 아니다. 빛보다 빠르게 상호작용하는 것은 허용되지만, 빛보다 빠른 것은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양자얽힘을 활용한 에너지와 정보 교환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은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다. 양자 열역학에서는 뒤집힌 열교환의 사계를 찾을 수 있다. 양자 상태의 두 핵스핀이 처음에 서로 연결된 양자얽힘 상태였다면, 차가운 스핀은 더 차갑게 되고 뜨거운 스핀은 더 뜨겁게 되는 국부적인 열교환이 일어난다.<ref> 김영훈, 〈[http://news.samsungdisplay.com/21153 알아두면 쓸모있는 양자역학 이야기 – 코펜하겐 해석과 EPR 역설]〉, 《삼성디스플레이뉴스룸》, 2019-11-05 </ref>
 
:그런데도 양자얽힘을 활용한 에너지와 정보 교환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은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다. 양자 열역학에서는 뒤집힌 열교환의 사계를 찾을 수 있다. 양자 상태의 두 핵스핀이 처음에 서로 연결된 양자얽힘 상태였다면, 차가운 스핀은 더 차갑게 되고 뜨거운 스핀은 더 뜨겁게 되는 국부적인 열교환이 일어난다.<ref> 김영훈, 〈[http://news.samsungdisplay.com/21153 알아두면 쓸모있는 양자역학 이야기 – 코펜하겐 해석과 EPR 역설]〉, 《삼성디스플레이뉴스룸》, 2019-11-05 </ref>
 
== 연구 ==
 
=== 국내 ===
 
* '''엑시톤'''(exciton)
 
:엑시톤은 자유전자와 양공, 즉 전자가 빠져나간 빈자리로 이루어진 입자이다. 절연체에 빛을 쪼면 원자에 속박된 전자가 들뜬 상태가 되어 양공의 주변을 맴돈다. 엑시톤을 이루는 전자와 양공이 다시 만나면 빛을 방출하고 바닥상태로 돌아가는데, 여기서 이 빛을 감지하여 엑시톤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엑시톤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전자 한 개가 여러 원자에 나뉘어 존재하는 양자다체상태의 새로운 엑시톤'을 처음으로 발견한 연구팀이 있다. 2016년에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연구팀이 2차원 자성 물질의 빛 방출 실험을 하다가 특정 에너지 대에서 비정상적으로 강한 빛을 방출하는 엑시톤을 발견했다. 2020년 7월, 서강대 정현식 교수, 연세대 김재훈 교수, 고등과학원 손영우 교수 등이 서로 다른 방식의 실험 및 계산을 약 5년간 진행하여 새로운 엑시톤이라는 확인 작업을 마쳤다. 연구팀은 2차원 자성물질인 삼황화린니켈을 대상으로 한 빛 방출 실험에서 통상적인 수준보다 수백 배는 더 좁게 분포하는 신호를 발견하여 결맞음성이 매우 강한 엑시톤 신호를 발견한 덕에,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데이터를 얻어냈다. 연구는 크게 방사광가속기를 통한 엑시톤 운동량 및 에너지 데이터 측정, 이론적인 설명을 위한 150만 개의 경우의 수 계산, 광 흡수 실험으로 광 방출 실험과 비교하는 것으로, 세 가지 측정 방법을 사용했다. 다체 계산을 이용한 이론연구와 함께, 세 가지 실험이 모두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현상은 이론적으로 '쟝-라이 양자다체상태'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전자가 존재할 확률이 산재해 있어서 여러 원자가 동시에 속박된 독특한 양자 상태를 뜻한다. 2차원 자성체는 물론, 다체 상태에 의해서 스핀이 얽힌 엑시톤은 발견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가치 있는 연구이다.<ref> 최상국 기자, 〈[http://www.inews24.com/view/1283258 지하철 2호선의 "유레카"…양자얽힘 엑시톤 첫 발견]〉, 《아이뉴스24》, 2020-07-21 </ref>
 
  
 
== 예제 ==
 
== 예제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