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송도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운송도구'''<!--운송 도구-->는 사람을 태워 보내거나 물건 따위를 실어 보내기 위해 필요한 방법이나 수단, [[도구]]를 말한다.  현재는 [[자동차]], [[기차]]와 [[고속철도]], [[자기부상열차]]와 [[위그선]]뿐만 아니라 미래형 [[운송수단]]까지 첨단과학기술이 지배하고 있지만 과거에는 [[지게]], [[달구지]], [[썰매]], [[구판]], [[가마]] 등이 주요한 운송도구였다.  
+
'''운송도구'''는 사람을 태워 보내거나 물건 따위를 실어 보내기 위해 필요한 방법이나 수단, 도구를 말한다.  현재는 [[자동차]], [[기차]]와 [[고속철도]], [[자기부상열차]]와 [[위그선]]뿐만 아니라 미래형 [[운송수단]]까지 첨단과학기술이 지배하고 있지만 과거에는 [[지게]], [[달구지]], [[썰매]], [[구판]], [[가마]] 등이 주요한 운송도구였다.  
  
 
== 달구지 ==
 
== 달구지 ==
7번째 줄: 7번째 줄:
  
 
== 길마 ==
 
== 길마 ==
[[길마]]는 가축의 등에 짐을 실을 때 사용하던 도구로 일종의 짐을 싣는 안장이다. 말굽쇠 모양으로 생긴 나무판 두 짝을 40-50cm 간격으로 앞뒤로 세우고, 그사이에 세장을 박아서 고정한다. 그리고 길마를 가축의 등에 올렸을 때 등이 아프지 않도록 멍석처럼 짠 ‘겉언치’를 깔아줘야 한다. 길마는 지역에 따라 기르매, 질마, 지르마, '질매' 등으로 불리고, 일반적으로 [[소 (동물)]]를 많이 이용하며, 일부지역에서는 조랑말이나 [[당나귀]]를 이용하기도 하였다.<ref name="문화원"></ref>
+
길마는 가축의 등에 짐을 실을 때 사용하던 도구로 일종의 짐을 싣는 안장이다. 말굽쇠 모양으로 생긴 나무판 두 짝을 40-50cm 간격으로 앞뒤로 세우고, 그사이에 세장을 박아서 고정한다. 그리고 길마를 가축의 등에 올렸을 때 등이 아프지 않도록 멍석처럼 짠 ‘겉언치’를 깔아줘야 한다. 길마는 지역에 따라 기르매, 질마, 지르마, '질매' 등으로 불리고, 일반적으로 [[소 (동물)]]를 많이 이용하며, 일부지역에서는 조랑말이나 [[당나귀]]를 이용하기도 하였다.<ref name="문화원"></ref>
  
 
== 썰매, 구판 ==
 
== 썰매, 구판 ==
수레를 대신한 운송도구에는 [[썰매]]와 [[구판]](駒板)이 있다. 수레는 다니기 어려운 지역에서 물건을 옮길 때 긴요하게 쓰였다. '썰매'는 눈이나 얼음판 위에서 사람이나 물건을 실어 나르는 도구이고, 서르매, 산서르매, 설매 등으로도 부른다. 또한 썰매는 빙판이 아닌 갯벌에서 빠지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게 이동하거나 물건을 옮길 때 사용되었으며, 논에서 볏짐을 운반할 때 소가 끌 수 있도록 만든 '논썰매'도 있다.
+
수레를 대신한 운송도구에는 [[썰매]]와 [[구판]](駒板)이 있으며, 주로 수레가 다니기 어려운 지역에서 물건을 옮길 때 긴요하게 쓰였다. '썰매'는 눈이나 얼음판 위에서 사람이나 물건을 실어 나르는 도구이고, 서르매, 산서르매, 설매 등으로도 부른다. 또한 썰매는 빙판이 아닌 갯벌에서 빠지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게 이동하거나 물건을 옮길 때 사용되었으며, 논에서 볏짐을 운반할 때 소가 끌 수 있도록 만든 '논썰매'도 있다. 한편 '구판'은 나무판자 밑에 둥근 통나무를 깔고 이들을 바퀴 삼아 판자를 끌어 짐을 운반하는 도구이며, '끌개'라고도 부른다. 주로 공사장에서 무거운 돌 등을 옮길 때 쓰였다.<ref name="문화원"></ref>
 
 
한편 [[구판]]은 나무판자 밑에 둥근 통나무를 깔고 이들을 바퀴 삼아 판자를 끌어 짐을 운반하는 도구이며, '끌개'라고도 부른다. 주로 공사장에서 무거운 돌 등을 옮길 때 쓰였다.<ref name="문화원"></ref>
 
  
 
== 지게 ==
 
== 지게 ==
[[지게]]는 옛 사람들이 흔히 구할 수 있었던 나무와 짚을 가지고 만든 도구로 산에서 나무를 하여 져다 나를때나 가까운 거리를 이동할 때 무거운 물건들을 실어나르던 손쉬운 운송도구였고 각 가정마다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ref name="예스">베티짱, 〈[http://blog.yes24.com/blog/blogMain.aspx?blogid=beetybup&artSeqNo=2421474 옛날 사람들은 어떤 길을 걸었을까-문경 옛길 박물관 | ]〉, 《YES24 블로그》, 2010-07-15</ref>  
+
옛 사람들이 흔히 구할 수 있었던 나무와 짚을 가지고 만든 도구로 산에서 나무를 하여 져다 나를때나 가까운 거리를 이동할 때 무거운 물건들을 실어나르던 손쉬운 운송도구였고 각 가정마다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ref name="예스">베티짱, 〈[http://blog.yes24.com/blog/blogMain.aspx?blogid=beetybup&artSeqNo=2421474 옛날 사람들은 어떤 길을 걸었을까-문경 옛길 박물관 | ]〉, 《YES24 블로그》, 2010-07-15</ref>  
  
 
== 발구 ==
 
== 발구 ==
21번째 줄: 19번째 줄:
  
 
== 삭도 ==
 
== 삭도 ==
[[삭도]]는 공중에 매달린 밧줄에 운반기를 설치하여 여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 교통 수단이다. 운반기는 차량 형태일 수도 있고 의자 형태일 수도 있는데, 특히 운반기가 차량 형태인 경우를 케이블카라고 한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82%AD%EB%8F%84 삭도]〉, 《위키백과》, </ref>  
+
삭도는 공중에 매달린 밧줄에 운반기를 설치하여 여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 교통 수단이다. 운반기는 차량 형태일 수도 있고 의자 형태일 수도 있는데, 특히 운반기가 차량 형태인 경우를 케이블카라고 한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82%AD%EB%8F%84 삭도]〉, 《위키백과》, </ref>  
  
 
== 가마 ==
 
== 가마 ==
[[가마]]는 조선시대에는 주로 신분이 높은 사람이 타고 다니던 주요한 이동 수단이었다. 대개 조그마한 집 모양인데 보통 네모난 상자 모양의 커다란 몸채가 있고 이 위를 지붕으로 덮었다. 몸채 앞에는 문을 내고 사람이 이 문으로 들어가 그 안에 앉는다. 몸채의 밑 부분에는 가마채라고 하는 두 개의 긴 막대를 나란히 덧대어 두 사람 또는 네 사람이 이 막대를 손으로 들거나 끈으로 매어 가마를 운반한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A%B0%80%EB%A7%88 가마]〉, 《위키백과》, </ref>  
+
조선시대에는 주로 신분이 높은 사람이 타고 다니던 주요한 이동 수단이었다. 대개 조그마한 집 모양인데 보통 네모난 상자 모양의 커다란 몸채가 있고 이 위를 지붕으로 덮었다. 몸채 앞에는 문을 내고 사람이 이 문으로 들어가 그 안에 앉는다. 몸채의 밑 부분에는 가마채라고 하는 두 개의 긴 막대를 나란히 덧대어 두 사람 또는 네 사람이 이 막대를 손으로 들거나 끈으로 매어 가마를 운반한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A%B0%80%EB%A7%88 가마]〉, 《위키백과》, </ref>  
  
 
== 컨테이너 박스 ==
 
== 컨테이너 박스 ==
[[컨테이너]]가 없던 시절, 해상 [[운송비]]의 약 절반은 인건비였다. 선박에 제각각 다른 모양과 무게를 가진 화물들을 실으려면 항구 노동자 수백 명이 달라붙어도 최소한 며칠에서 길게는 몇 주까지 소요됐다. 그만큼 노동집약적인 산업이 해운이었다. 화물의 분실과 파손도 잦았다. [[태평양]]을 건너는 비용보다 [[항구]]에서 [[짐]]을 싣고 내리는 비용이 더 많이 들곤 했다. 운송비 때문에 후진국뿐 아니라 미국 같은 선진국들도 대부분의 공산품 소비를 자국 내에서 해결했다. 해외에서 수입해 오는 품목은 커피원두나 위스키, 생고무 같은 특산품이나 원자재 정도였다. 자국에서 생산 가능한 물건은 자국에 서 조달하는 게 당연했다.
+
컨테이너가 없던 시절, 해상 운송비의 약 절반은 인건비였다. 선박에 제각각 다른 모양과 무게를 가진 화물들을 실으려면 항구 노동자 수백 명이 달라붙어도 최소한 며칠에서 길게는 몇 주까지 소요됐다. 그만큼 노동집약적인 산업이 해운이었다. 화물의 분실과 파손도 잦았다. 태평양을 건너는 비용보다 항구에서 짐을 싣고 내리는 비용이 더 많이 들곤 했다. 운송비 때문에 한국 같은 후진국뿐 아니라 미국 같은 선진국들도 대부분의 공산품 소비를 자국 내에서 해결했다. 해외에서 수입해 오는 품목은 커피원두나 위스키, 생고무 같은 특산품이나 원자재 정도였다. 자국에서 생산 가능한 물건은 자국에 서 조달하는 게 당연했다. 1970년대 이후 상황이 변했다. 미국의 해운 사업가 말콤 맥린(Malcom McLean)이 주창해 보급한 컨테이너 박스 덕분에 육상 및 해상 운송비가 떨어졌다. 선박은 점차 커졌고 항구의 크기도 덩달아 커졌다. 대형 크레인들이 항구에 설치되면서 배가 항구에서 노는 시간이 줄어들었다. 항구 노동자들은 해고됐고 해운사의 인건비 지출은 거의 무시해도 좋을 정도로 줄었다. 오늘날의 대형 컨테이너 선박은 수천 개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는데 선원은 고작 10∼20명이다. 항구에서 하역 작업도 워낙 빠르게 이뤄져 선원들이 쉴 시간이 없다고 불평할 정도다.
 
 
1970년대 이후 상황이 변했다. 미국의 해운 사업가 [[말콤 맥린]](Malcom McLean)이 주창해 보급한 [[컨테이너 박스]] 덕분에 육상 및 해상 운송비가 떨어졌다. 선박은 점차 커졌고 항구의 크기도 덩달아 커졌다. 대형 [[크레인]]들이 항구에 설치되면서 배가 항구에서 노는 시간이 줄어들었다. 항구 노동자들은 해고됐고 해운사의 인건비 지출은 거의 무시해도 좋을 정도로 줄었다. 오늘날의 대형 컨테이너 선박은 수천 개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는데 선원은 고작 10∼20명이다. 항구에서 하역 작업도 워낙 빠르게 이뤄져 선원들이 쉴 시간이 없다고 불평할 정도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길이 약 12미터(40피트)짜리 컨테이너 박스 약 2000만 개가 물건의 운송과 보관에 쓰이고 있다. [[석유]]와 [[가스 (연료)|가스]]처럼 특수 선박이 필요한 원자재를 제외하면 사실상 거의 모든 상품 화물이 컨테이너 박스에 담긴 채 바다를 따라, 철도와 도로를 따라 운송된다.<ref>조진서 기자,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3/article_no/7393/ac/magazine 단순한 ‘박스’가 역사를 바꿨다. 컨테이너의 표준화, 혁신의 표준이 됐다]〉, 《동아일보》, 2016-01</ref>  
+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길이 약 12미터(40피트)짜리 컨테이너박스 약 2000만 개가 물건의 운송과 보관에 쓰이고 있다. 석유와 가스처럼 특수 선박이 필요한 원자재를 제외하면 사실상 거의 모든 상품 화물이 컨테이너 박스에 담긴 채 바다를 따라, 철도와 도로를 따라 운송된다.<ref>조진서 기자,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3/article_no/7393/ac/magazine 단순한 ‘박스’가 역사를 바꿨다. 컨테이너의 표준화, 혁신의 표준이 됐다]〉, 《동아일보》, 2016-01</ref>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