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 활용 ==
 
== 활용 ==
===합의 알고리즘===
+
===위임지분증명===
====위임지분증명====
 
 
[[파일:스팀잇 로고.png|썸네일|150픽셀|'''[[스팀잇]]'''(Steemit)]]
 
[[파일:스팀잇 로고.png|썸네일|150픽셀|'''[[스팀잇]]'''(Steemit)]]
 
[[위임지분증명]](DPoS)은 [[작업증명]] 방식의 대안으로 등장한 [[지분증명]](PoS) 방식 또한 완전하지 못하다는 점이 드러나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이오스]](EOS)의 창시자 [[댄 라리머]](Dan Larimer)에 의해 제안된 합의 방식이다. 이는 위임지분증명 방식으로, 지분증명과의 차이점은 권한을 소수의 대표자에게 이양한다는 것이다. 지분증명이 직접 민주주의라면 위임지분증명은 간접민주주의이다. 지분 보유자들은 지분에 비례한 투표권을 행사하여 자신들을 대신하여 블록 생성과 검증, 네트워크 유지, 합의에 대한 권한을 소수에게 위임한다. 현재 가장 성공적인 사례인 '[[스팀잇]](Steemit)' 은 이러한 위임지분증명 방식을 채택해 21명의 증인(대표자)을 통해 위임지분증명 방식과 [[퍼블릭 블록체인]]의 가능성을 증명해주고 있다.<ref>ROA Invention LAB, 〈[https://verticalplatform.kr/archives/9984 합의 알고리즘의 발전과 진화방향]〉, 《버티컬 플랫폼》, 2018-05-31</ref>
 
[[위임지분증명]](DPoS)은 [[작업증명]] 방식의 대안으로 등장한 [[지분증명]](PoS) 방식 또한 완전하지 못하다는 점이 드러나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이오스]](EOS)의 창시자 [[댄 라리머]](Dan Larimer)에 의해 제안된 합의 방식이다. 이는 위임지분증명 방식으로, 지분증명과의 차이점은 권한을 소수의 대표자에게 이양한다는 것이다. 지분증명이 직접 민주주의라면 위임지분증명은 간접민주주의이다. 지분 보유자들은 지분에 비례한 투표권을 행사하여 자신들을 대신하여 블록 생성과 검증, 네트워크 유지, 합의에 대한 권한을 소수에게 위임한다. 현재 가장 성공적인 사례인 '[[스팀잇]](Steemit)' 은 이러한 위임지분증명 방식을 채택해 21명의 증인(대표자)을 통해 위임지분증명 방식과 [[퍼블릭 블록체인]]의 가능성을 증명해주고 있다.<ref>ROA Invention LAB, 〈[https://verticalplatform.kr/archives/9984 합의 알고리즘의 발전과 진화방향]〉, 《버티컬 플랫폼》, 2018-05-31</ref>
23번째 줄: 22번째 줄:
 
# '''[[헤데라 해시그래프]]'''(Hedera Hashgraph) : 분산 원장 플랫폼 헤데라 해시그래프 또한 대표선출제를 택했는데, 대기업을 주축으로 한 위임방식인 [[집행위원회]](Hedera Governing Council) 방식이다. 네트워크 참여자 선정은 위원회를 통해 이뤄지며, 이 위원회는 글로벌 39개 대기업으로 구성됐고, 특정 위원회를 구성해 거버넌스를 운영하는 이유는 해시그래프의 기술적 특성 때문이다. 해시그래프는 전체 노드의 합의가 아니라 무작위로 선출된 일부 사용자의 승인으로 거래가 검증되며, 블록 생성의 동기화 과정이 생략돼 수수료나 지분 보상 보다는 참여자의 허가가 주요 쟁점으로 꼽힌다. 이 때문에 소프트웨어 감독, 코드 감시 등 플랫폼 운영에 대한 지침과 실례를 만들기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해 위원회를 두고 있다.<ref>신은동 기자, 〈[https://decenter.kr/NewsView/1VGJPT8B8Q/GZ03 블록체인 플랫폼의 '대표 선출제' 서막 올랐다…ICON·코스모스 등 잰걸음]〉, 《디센터》, 2019-03-11 </ref>
 
# '''[[헤데라 해시그래프]]'''(Hedera Hashgraph) : 분산 원장 플랫폼 헤데라 해시그래프 또한 대표선출제를 택했는데, 대기업을 주축으로 한 위임방식인 [[집행위원회]](Hedera Governing Council) 방식이다. 네트워크 참여자 선정은 위원회를 통해 이뤄지며, 이 위원회는 글로벌 39개 대기업으로 구성됐고, 특정 위원회를 구성해 거버넌스를 운영하는 이유는 해시그래프의 기술적 특성 때문이다. 해시그래프는 전체 노드의 합의가 아니라 무작위로 선출된 일부 사용자의 승인으로 거래가 검증되며, 블록 생성의 동기화 과정이 생략돼 수수료나 지분 보상 보다는 참여자의 허가가 주요 쟁점으로 꼽힌다. 이 때문에 소프트웨어 감독, 코드 감시 등 플랫폼 운영에 대한 지침과 실례를 만들기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해 위원회를 두고 있다.<ref>신은동 기자, 〈[https://decenter.kr/NewsView/1VGJPT8B8Q/GZ03 블록체인 플랫폼의 '대표 선출제' 서막 올랐다…ICON·코스모스 등 잰걸음]〉, 《디센터》, 2019-03-11 </ref>
  
====이중위임지분증명====
+
===이중위임지분증명===
 
[[이중위임지분증명]](DDPoS, Dual Delegated Proof of Stake)이란 기존의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에 검증 절차를 한 단계 더 추가한 합의 알고리즘이다. [[디디포스]]라고도 한다. [[시그마체인]](Sigma Chain)과 [[퓨처피아]](Futurepia)가 이중위임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다. 이중위임지분증명 방식에서 [[암호화폐]] 소유자들은 각자의 지분율에 비례하여 투표권을 행사하여 자신의 대표자를 선정하고, 이 대표자들끼리 합의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위임지분증명 방식을 사용하면서, 알고리즘에 따라 실시간으로 교체되는 임의의 [[노드]]를 추가하여 검증하도록 함으로써 대표자들 간의 담합에 의한 블록체인 [[데이터]] 조작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다.
 
[[이중위임지분증명]](DDPoS, Dual Delegated Proof of Stake)이란 기존의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에 검증 절차를 한 단계 더 추가한 합의 알고리즘이다. [[디디포스]]라고도 한다. [[시그마체인]](Sigma Chain)과 [[퓨처피아]](Futurepia)가 이중위임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다. 이중위임지분증명 방식에서 [[암호화폐]] 소유자들은 각자의 지분율에 비례하여 투표권을 행사하여 자신의 대표자를 선정하고, 이 대표자들끼리 합의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위임지분증명 방식을 사용하면서, 알고리즘에 따라 실시간으로 교체되는 임의의 [[노드]]를 추가하여 검증하도록 함으로써 대표자들 간의 담합에 의한 블록체인 [[데이터]] 조작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다.
  
 
이중위임지분증명 방식은 기존 [[작업증명]](PoW) 방식의 단점인 [[트랜잭션]] 속도를 개선하고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의 보안 부분을 한 층 더 강화하여 설계된 합의 알고리즘이다.<ref>코인 알려드림, 〈[https://blog.naver.com/jiyun5065/221358691997 링크박스, 퓨처피아와 블록체인 업무협약]〉, 《네이버 블로그》, 2018-09-14</ref> [[그래핀 툴킷]](Graphene Toolkit Technology)을 사용하여 개발된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된 공용 [[네트워크]]이다.<ref>시그마체인 공식 홈페이지 - http://sigmachain.net/</ref>
 
이중위임지분증명 방식은 기존 [[작업증명]](PoW) 방식의 단점인 [[트랜잭션]] 속도를 개선하고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의 보안 부분을 한 층 더 강화하여 설계된 합의 알고리즘이다.<ref>코인 알려드림, 〈[https://blog.naver.com/jiyun5065/221358691997 링크박스, 퓨처피아와 블록체인 업무협약]〉, 《네이버 블로그》, 2018-09-14</ref> [[그래핀 툴킷]](Graphene Toolkit Technology)을 사용하여 개발된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된 공용 [[네트워크]]이다.<ref>시그마체인 공식 홈페이지 - http://sigmachain.net/</ref>
  
====유동지분증명====
+
===유동지분증명===
 
[[파일:테조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테조스'''(Tezos)]]
 
[[파일:테조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테조스'''(Tezos)]]
 
[[유동지분증명]](LPoS, Liquid Proof of Stake)이란 암호화폐 소유자 중 랜덤하게 대표자를 선출하고, 이 대표자들끼리 합의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유동위임지분증명 또는 [[리퀴드 지분증명]]이라고도 한다. [[테조스]](Tezos)가 이 방식을 사용한다.
 
[[유동지분증명]](LPoS, Liquid Proof of Stake)이란 암호화폐 소유자 중 랜덤하게 대표자를 선출하고, 이 대표자들끼리 합의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유동위임지분증명 또는 [[리퀴드 지분증명]]이라고도 한다. [[테조스]](Tezos)가 이 방식을 사용한다.
36번째 줄: 35번째 줄:
 
블록 생성의 적합성 여부는 테조스 코인을 보유한 일부 대표자들인 베이커(baker)들의 투표로 결정한다. 테조스에서 베이커(baker)는 블록체인에 대한 검증을 하는 사람으로서, '빵을 굽는 사람'에 비유한 테조스의 은어이다. 베이킹(baking)은 테조스 블록체인에 블록에 서명하고 게시하는 행위이다. 이는 대표자인 베이커들이 한 블록의 모든 트랜잭션이 정확하고, 트랜잭션 순서가 합의되고, 이중지불은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지분증명 합의 메커니즘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블록 생성의 적합성 여부는 테조스 코인을 보유한 일부 대표자들인 베이커(baker)들의 투표로 결정한다. 테조스에서 베이커(baker)는 블록체인에 대한 검증을 하는 사람으로서, '빵을 굽는 사람'에 비유한 테조스의 은어이다. 베이킹(baking)은 테조스 블록체인에 블록에 서명하고 게시하는 행위이다. 이는 대표자인 베이커들이 한 블록의 모든 트랜잭션이 정확하고, 트랜잭션 순서가 합의되고, 이중지불은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지분증명 합의 메커니즘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하이퍼 위임지분증명====
+
===하이퍼 위임지분증명===
 
[[하이퍼 위임지분증명]](Hyper-DPoS)이란 기존의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을 기반으로 하되, 일정한 시간 안에 빠르게 반응하고 응답할 수 있는 [[노드]](node)만을 선택하여 합의 과정에 참여시키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하이퍼 디포스(Hyper-DPoS)라고도 하는데, Hyper Delegated Proof of Stake의 약자이다. 기존에 [[이오스]](EOS)나 [[스팀]](Steem) 등에서 사용하는 위임지분증명 방식의 성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합의 알고리즘이다. [[모파스]](MoFAS)가 하이퍼 위임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다.
 
[[하이퍼 위임지분증명]](Hyper-DPoS)이란 기존의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을 기반으로 하되, 일정한 시간 안에 빠르게 반응하고 응답할 수 있는 [[노드]](node)만을 선택하여 합의 과정에 참여시키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하이퍼 디포스(Hyper-DPoS)라고도 하는데, Hyper Delegated Proof of Stake의 약자이다. 기존에 [[이오스]](EOS)나 [[스팀]](Steem) 등에서 사용하는 위임지분증명 방식의 성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합의 알고리즘이다. [[모파스]](MoFAS)가 하이퍼 위임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다.
  
 
하이퍼 위임지분증명은 모파스의 의해서 설계되었다. 기존의 위임 지분증명 방식과 리미티드 [[퍼블릭 블록체인]]의 결합으로 [[트랜잭션]] 처리속도와 노드 합의 속도를 개선했다. 하이퍼 위임지분증명과 위임 지분증명은 코인 보유자의 투표 활동을 통해 노드를 결정하고 이들에게 동기부여를 준다는 공통점이 있다.<ref>kjw0091, 〈[https://steemit.com/mofas/@kjw0091/mofas-hyper-dpos  MoFAS의 합의 알고리즘 : Hyper DPoS(하이퍼 디포스)]〉, 《스팀잇》, 2018-12-03 </ref> 그러나 하이퍼 위임지분증명은 [[노드]]를 결정함에 있어 정직하고 신뢰성을 줄 수 있는 수치가 더해진다는 특징을 가진다.<ref>dhfma77, 〈[https://steemit.com/hyperdpos/@dhfma77/fas-hyper-dpos  Hyper DPoS란 무엇일까요]〉, 《스팀잇》, 2019-01-03 </ref>
 
하이퍼 위임지분증명은 모파스의 의해서 설계되었다. 기존의 위임 지분증명 방식과 리미티드 [[퍼블릭 블록체인]]의 결합으로 [[트랜잭션]] 처리속도와 노드 합의 속도를 개선했다. 하이퍼 위임지분증명과 위임 지분증명은 코인 보유자의 투표 활동을 통해 노드를 결정하고 이들에게 동기부여를 준다는 공통점이 있다.<ref>kjw0091, 〈[https://steemit.com/mofas/@kjw0091/mofas-hyper-dpos  MoFAS의 합의 알고리즘 : Hyper DPoS(하이퍼 디포스)]〉, 《스팀잇》, 2018-12-03 </ref> 그러나 하이퍼 위임지분증명은 [[노드]]를 결정함에 있어 정직하고 신뢰성을 줄 수 있는 수치가 더해진다는 특징을 가진다.<ref>dhfma77, 〈[https://steemit.com/hyperdpos/@dhfma77/fas-hyper-dpos  Hyper DPoS란 무엇일까요]〉, 《스팀잇》, 2019-01-03 </ref>
  
====위임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
+
===위임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
 
[[파일:네오 글자.png|썸네일|300픽셀|'''[[네오]]'''(NEO)]]
 
[[파일:네오 글자.png|썸네일|300픽셀|'''[[네오]]'''(NEO)]]
 
[[위임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dPBFT; delegated PBFT; delegated 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은 기존의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PBFT) 알고리즘에 [[북키퍼]](bookkeeper) 개념을 추가한 합의 알고리즘이다. 간략히 위임 비잔틴 장애 허용(DBFT; Delegated Byzantine Fault Tolerance)이라고 한다. 중국의 이더리움으로 불리는 [[네오]](NEO)가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위임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dPBFT; delegated PBFT; delegated 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은 기존의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PBFT) 알고리즘에 [[북키퍼]](bookkeeper) 개념을 추가한 합의 알고리즘이다. 간략히 위임 비잔틴 장애 허용(DBFT; Delegated Byzantine Fault Tolerance)이라고 한다. 중국의 이더리움으로 불리는 [[네오]](NEO)가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