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선버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지선버스.png|썸네일|300픽셀|'''지선버스''']]
 
[[파일:지선버스.png|썸네일|300픽셀|'''지선버스''']]
  
'''지선버스'''<!--지선 버스-->(支線 Bus)는 [[간선버스]]·[[지하철]] 노선과 연계하고 지역 내 편의를 꾀할 목적으로 운행하는 기능별 [[노선버스]]이다.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등지의 [[대도시]]에서 운행한다.
+
'''지선버스'''(支線Bus)는 [[간선버스]]·[[지하철]] 노선과 연계하고 지역 내 편의를 꾀할 목적으로 운행하는 기능별 [[노선버스]]이다.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등지의 대도시에서 운행한다.
{{:자동차 배너}}
 
  
 
==개요==
 
==개요==
지선버스는 [[간선버스]]와 달리 원거리를 운행하지 않으며, 간선버스의 역할을 보완하고 특정 지역 내에서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운행하는 [[버스]] 노선의 형태이다.<ref name="지선버스1"> 〈[https://ko.wikipedia.org/wiki/%EC%A7%80%EC%84%A0%EB%B2%84%EC%8A%A4 지선버스]〉, 《위키백과》</ref> 지선버스는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가 새롭게 도입한 기능별 [[시내버스]] 노선의 하나로 시작되었다. [[승용차]] 대수의 폭발적 증가로 인해 도로가 정체되고 후진적인 버스 경영 구조의 문제로 인해 버스가 시민의 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해 도입하였으며 버스 색깔이 초록색이어서 녹색 버스 또는 그린 버스라고도 한다. 뒷[[바퀴]] 바로 뒤쪽에 녹색버스를 뜻하는 영문 머리글자 G가 표시되어 있다. 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는 간선버스·지하철 노선과 연계하고 지역 내 통행의 편의를 위해 도입하였다. 노선은 기존의 노선을 최대한 수용하면서 간선버스와 지하철 노선을 효율적으로 연계하고, 기존 노선의 서비스 취약 구간을 확충하는 방향으로 설계하였다. 인천광역시는 번호가 500번대인 버스를 중심으로 70여 개의 노선이, 대구광역시는 주거지와 소지역 생활권을 연결하는 130여 개의 짧은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시내를 중심으로 60여 개의 노선이 지선버스로 운행되고 대전광역시는 60여 개의 노선이 간선·지선버스로 운행된다. 울산광역시의 지선버스는 번호가 900번대이며 18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26804&cid=40942&categoryId=32194 지선버스]〉, 《네이버 지식백과》</ref>   
+
지선버스는 간선버스와 달리 원거리를 운행하지 않으며, 간선버스의 역할을 보완하고 특정 지역 내에서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운행하는 [[버스]] 노선의 형태이다.<ref name="지선버스1"> 〈[https://ko.wikipedia.org/wiki/%EC%A7%80%EC%84%A0%EB%B2%84%EC%8A%A4 지선버스]〉, 《위키백과》</ref> 지선버스는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가 새롭게 도입한 기능별 [[시내버스]] 노선의 하나로 시작되었다. [[승용차]] 대수의 폭발적 증가로 인해 도로가 정체되고 후진적인 버스 경영 구조의 문제로 인해 버스가 시민의 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해 도입하였으며 버스 색깔이 초록색이어서 녹색 버스 또는 그린 버스라고도 한다. 뒷[[바퀴]] 바로 뒤쪽에 녹색버스를 뜻하는 영문 머리글자 G가 표시되어 있다. 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는 간선버스·지하철 노선과 연계하고 지역 내 통행의 편의를 위해 도입하였다. 노선은 기존의 노선을 최대한 수용하면서 간선버스와 지하철 노선을 효율적으로 연계하고, 기존 노선의 서비스 취약 구간을 확충하는 방향으로 설계하였다. 인천광역시는 번호가 500번대인 버스를 중심으로 70여 개의 노선이, 대구광역시는 주거지와 소지역 생활권을 연결하는 130여 개의 짧은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시내를 중심으로 60여 개의 노선이 지선버스로 운행되고 대전광역시는 60여 개의 노선이 간선·지선버스로 운행된다. 울산광역시의 지선버스는 번호가 900번대이며 18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26804&cid=40942&categoryId=32194 지선버스]〉, 《네이버 지식백과》</ref>   
  
 
==지역==
 
==지역==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