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킨코인

해시넷
Asadal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5월 27일 (월) 21:37 판 (같이 보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킨코인(Kincoin) 로고
킨코인(Kincoin) 로고와 글자

킨코인(Kincoin) 또는 간략히 (KIN)은 모바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개발업체인 미국의 (KIK) 회사가 개발했다. 킥 메신저는 사용자가 휴대폰 번호를 인증하지 않고 익명성을 유지한 상태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서 미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개요

킨코인은 모바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목적으로 개발된 암호화폐로, 기존에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운영 중이던 킥 회사에서 개발하였다. 킥 회사가 개발한 모바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인 'KIK'은 플레이스토어(PlayStore) 300위권의 매우 높은 다운로드 횟수 기록을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미국에서 많은 인기를 끈 이력이 있다. 킥은 핸드폰 번호 인증 없이 익명성을 유지한 상태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이유로 이용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해 큰 인기몰이를 하였다. KIN의 개념은 콘텐츠 제작자와 소비자가 광고 수익을 이용하여 수익 창출을 하는 대신에 직접 거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킨코인은 9억 8000만 달러를 모금한 익명의 분산형 소셜미디어를 통해 ICO를 진행하였다. ICO 성공 이후에 개발 단계에 있었으며 현재는 ERC-20 토큰에서 토큰을 Kik 앱에 통합할 계획이었다. 그리고 또한 킨코인의 목적으로 게임 응용 프로그램 및 소셜 미디어와 같은 디지털 서비스의 가치 이전을 촉진하는 것이며 처음에는 킥 메신저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1500만 명의 월간 이용자를 활용한다. 다른 토큰보다 킨코인을 사용함으로써 디지털 서비스 개발자에게 사용법에 따라 매일 보상을 제공한다. 2017년 09월 27일 공식적으로 론칭을 하였으며 발행량은 약 10조개 였다.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ERC-20 토큰을 사용하며 목표는 탈중앙화 디지털 생태계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배경

Kik

킨코인의 출시 배경은 킨코인을 출시한 소셜 미디어 회사인 Kik을 알아야한다. 코인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킥의 동기는 철학적이며 재정적이고 마케팅 전략이기도 하다. 킥은 월 1500만명이 넘는 사용자가 있는 앱 및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다. 킥의 대부분 사용자는 13-24세이며 2017년 연구에 따르면 미국 청소년의 33%가 킥 메신저를 사용한다. 킥을 사용하면 친구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지만 비디오, 스케치, 웹 페이지, 오디오 파일 및 기타 미디어도 공유할 수 있다. 킥의 가장 큰 인기몰이를 했던 요소는 익명성이다.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신원이나 전화변호를 확인할 필요가 없다. 가입을 위해 이메일 주소와 이름을 입력하기만 해도 된다. 개인 정보 보호 옹호론자들은 데이터로 수익을 창출하는 것에 대한 킥의 아이디어를 호평하였다. 거대한 소셜 미디어들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지만 킥은 그렇지 않다. 킥은 계정 정보를 보유하지 않으며 킥 사용자 간에 메시지, 미디어가 전송된 후 회사 서버에서 삭제된다. 킥은 또한 신원 확인 및 보안을 위해 힘쓰고 있다. 킥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대부분은 10대이며 비평가들은 원하지 않는 콘텐츠 또는 사기, 학대로부터 미성년자를 보호하기위한 보호에 대해서도 힘쓰고 있다. 킥은 사용자가 플랫폼에서 무엇을 해야할지 연구하며 보안을 위해 익명성 및 개인정보를 희생하는 것을 거의 대부분의 이용자가 거부한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거대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으로 성장한 킥은 경쟁사인 페이스북을 이기기 위한 요점으로도 블록체인 연구를 시작했다는 추측도 있다.[1]

특징

킥에서 시작하는 블록체인 사업

킨코인의 흥미로운 점은 킥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던 유료 서비스를 킨코인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론 이모티콘, 유료 그룹 채팅방 등을 이용하는 비용으로 킨코인을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오랜 기간 킥 애플리케이션의 메신저 서버를 운영하던 대기업에서 시작하는 블록체인 사업인 만큼 킨코인의 성공은 보장되어 있다. 하지만 처음엔 킨코인이 개발되었을 땐 '킥 애플리케이션 안에만 의미가 있는 것'이라는 확장성의 문제를 다룬 비판 섞인 말들도 많았다. 그래서 킨코인은 공식 웹사이트에서 현재 킨코인은 비단 킨 애플리케이션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새로운 공유 경제에서 사람들을 하나로 모으는 궁극적인 목표를 가진 암호화폐가 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1]

크리에이터에게 직접 보답

킥은 사용자가 제작작에게 직접 보상을 할 수 있다. 현재 디지털 콘텐츠 및 소셜 미디어 회사는 광고를 통해 웹 사이트에서 수익을 창출한다. 이 모델은 규모의 경제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용자를 빠르게 추가 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신규 사용자가 플랫폼에서 가능한 한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 광고 조회수와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암호화폐를 만들기 위한 킥의 철학적 주장은 광고와 주의 집중이 콘텐츠 생태계와 이용자 간의 관계를 약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킨코인을 사용하여 소비자는 제작자와 개발자에게 직접 지불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이러한 이용자들의 후원은 소셜 미디어의 중요한 흐름이다. 이용자들은 킥 스타터(KickStarter)와 파트레온(Patreon)과 비슷한 프로젝트를 보면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광고주가 없어도 직접 제작자에게 비용을 지불 할 수 있다. 킨코인은 지불을 플랫폼에 직접 통합하여 보다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작성된 콘텐츠, 예술, 비디오, 게임, 채팅 봇 등을 앱에서 구매하거나 지원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킨코인은 킥을 스팀(Steem)과 비슷하게 만들어 나간다. 스팀과의 차이점이라면, 킥은 기존의 잠재 고객들이 있으며 모든 종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있다는 것이다. 킨코인을 시작하기전에 킥은 사용자가 실제로 토큰으로 거래하는지 테스트를 했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그들은 킥 점수(Kick Score)로 테스트를 해보았다. 이들은 내부 토큰이었고, 블록체인과는 다른 개념이며 앱 외부에서 처리가 불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테스트 초기에는 30만 건 이상의 킥 포인트 거래가 하루에 이루어졌으며 테스트가 끝나자 그 숫자는 200만개로 증가하였다. 킥은 애초에 넓은 시장을 가지고 시작했던 것이다.[1]

스텔라 및 듀얼 체인 호환성으로 이동

킨코인의 개발자는 킨코인에게 예상되는 트랜잭션 수에 대한 이더리움의 확장성의 아쉬움을 표시했다. 킨코인은 이더리움이 네트워크 속도 저하를 피하기 위해 부과한 하루 제한인 10만건 이상을 잘 처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랜잭션 제한에 대한 응답으로 개발자는 처음에 전체 프로젝트를 스텔라로 이전하는 걸 고려했었다. 그러나 ERC-20 토큰의 유동성은 다른 곳에서 찾기가 어렵다. 결과는 이더리움이 유동성을 제공하고 스텔라가 거래를 처리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다. 킨코인을 구입하면 ERC-20 토큰을 구입하게 된다. 그러나 해당 토큰은 스텔라 토큰과 연결이 되며 스텔라 토큰을 사용하여 트랜잭션을 할 때, 원자 스왑은 사용할 수 없도록 이더리움 토큰을 잠그는 것이다. 같은 방식으로, 이더리움 토큰을 팔면 원자 교환은 스텔라 토큰을 새로운 소유자에게 고정시키는 것이다.[1]

킨 재단

킨 재단(Kin Foundation)은 킨 코인과 관계없이 존재한다. 그것은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공개 도구를 위한 비영리 옹호 단체가 되는 걸 목표로 하며 궁극적으로 목표는 킨코인이 킥 뿐만아니라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전체 생태계를 위한 화폐로 사용되는 것이다. 재단 웹사이트에는 누가 그것을 운영하고 있는지 또는 이렇게 거버넌스가 작동하는지에 대한 많은 정보가 없다.

ICO

킥은 2017년 추가적으로 자금이 필요하였다. VC로부터 돈을 모으는 대신, 새로운 보상 포인트 시스템 뒤에 토큰을 만들기 위해 ICO를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토큰 판매를 통해 2017년 9월 9,800만 달러를 모금하는데 성공을 하였다. 117개국에서 온 10,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판매를 하였다. 캐나다 시민의 참여가 허용되지 않았다는게 안타까운 점이지만 일부 사람들은 이러한 억압적인 요구를 주장하며 ICO가 1억 1천만 달러의 큰 액수를 넘지 못하였다.[1]

각주

  1. 1.0 1.1 1.2 1.3 1.4 BENNETT GARNER, 〈Kik’s Kin Coin: Rethinking the Attention Economy〉, 《COINCENTRAL》, 2018-05-01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킨코인 문서는 암호화폐 종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