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량

해시넷
jonahkim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8월 27일 (화) 14:23 판 (새 문서: '''통화량'''(通貨量), 통화공급(通貨供給, 영어: money supply, money stock)은 경제학에서 특정 시기에 경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화폐 자산의 총량...)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통화량(通貨量), 통화공급(通貨供給, 영어: money supply, money stock)은 경제학에서 특정 시기에 경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화폐 자산의 총량이다. 돈을 정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표준이 되는 측정 기준에는 유통되는 통화와 요구불 예금을 포함한다.

통화량이 한 나라의 경제규모나 금융거래에 비해 너무 많으면 통화의 가치가 떨어져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며 반대로 지나치게 적으면 금리가 상승하고 경제활동에 필요한 자금이 부족하게 되어 생산·소비 등 경제활동이 위축된다. 이처럼 통화량은 물가나 경제활동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각국마다 거시경제정책 운용에 있어 통화량을 중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은행이 매년 통화증가율의 목표치를 설정하여 통화량을 조절하고 있다.

졻은 의미에서 통화

시중의 현금에 요구불예금과 수시입출식예금을 더한 것이다. 현금은 유동성이 높고 요구불예금과 수시입출식예금은 예금자가 원하기만 하면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기 때문에 현금과 거의 동일한 유동성을 가진다. 즉 좁은 의미의 통화는 유동성이 가장 높은 통화만을 의미하는 통화량이다. 반면에 그 범위가 매우 좁으므로 후술할 통화량에 비해서는 가장 액수가 적다.

넓은 의미의 통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예금, 정기예금,정기적금, 시장형 금융상품, 실적배당형 금융상품, 금융채 등이 있다.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예금은 유동성이 높지만 정기예금, 정기적금 등은 예금자가 현금화하고자 할 때 약간의 손실을 감수하여야 하므로 유동성이 좀 떨어 지는 편이다. 넓은 의미의 통화는 통화의 범위가 크므로 액수가 많다.

통화량의 결정

중앙은행이 돈을 발행하면 바로 통화량이 되는 것이 아니라 신용창출과정을 거쳐 통화량이 결정된다. 즉 발행한 통화를 저축하였을 때 은행이 저축한 돈을 대출해줌으로써 본원통화보다 많은 돈이 시중에 유통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앙은행이 100만원을 발행하여 시중은행에 보내면 시중은행은 지불준비금 10만원을 제외하고 90만원을 대출해주게 되며, 경제주체는 다시 90만원을 저축하고 은행은 다시 81만원을 대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시중에는 100+90+81+........... =900만원이 풀린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이 때 900만원이 바로 통화량이 되는 것이다. 은행은 저축받은 돈을 모두 대출할 수는 없고 예금자의 인출 요구에 대비해야 하기 때문에 일부를 지불준비금으로 남겨놓는다. 이는 법적으로 강제되고 있으며, 법으로 강제되는 부분을 법정지불준비금이라 하고 은행이 자발적으로 보유하는 것은 초과지불준비금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