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파일 (건설)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콘크리트파일

파일(pile)은 건축, 토목의 기초 공사를 할 때에 박는 말뚝을 말한다. 즉 땅속에 관입 지주로 하는 막대형상의 재료를 말한다. 지지력의 전달기구와 사용방법에 의해 다음 6종류로 분류된다. (1) 선단지지파일. (2) 하부 지반에 의한 지지파일. (3) 마찰파일. (4) 다지기 파일. (5) 스톱 파일. (6) 횡력(橫力)저항파일.

또 재료에 의해서 다음 3종류로 분류한다. (1) 나무 파일. (2) 콘크리트 파일. (3) 강 파일. 나무파일은 부식되지 않도록 항상 지하수가 있는 장소에서 부담하중이 작은 마찰파일로서 사용된다. 콘크리트 파일은 일반기초ㆍ교량하부구조ㆍ호안(護岸)축조, 항만 구조물 등에 사용된다. 강 파일은 콘크리트 파일도 널리 사용되지만, H형강 파일은 특히 흙막이용 「메인 파일」로 많이 사용된다.

이외에 현장에 구멍을 뚫고 그 안에 콘크리트를 파일로 하는 장소에 때려 박는 파일도 있다.

개요[편집]

파일 기초는 기초 형식이 분류로 보면 깊은 기초 형식의 한 종류이며, 지반을 강화하여 건축물이나 기반 시설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과정이다. 파일은 보통 긴 기둥 형태로 제작되며, 주로 목재, 강철 또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진다. 파일의 모양, 둘레 및 무게는 토양의 상태와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조정된다.

말뚝은 토양의 견고한 층에 도달하기 위해 깊은 심도까지 설치된다. 이렇게 하면 건축물의 하중을 지반의 특정부분에 집중시키는 대신, 파일을 통해 하중이 지반내 넓은 부위로 분산된다. 이는 지반의 강도를 최대한 활용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말뚝 설계는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에 따라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층 빌딩을 지지해야 하는 경우 파일은 양압력과 지진하중 등에 대한 강도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파일 기초를 사용하는 경우
  •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
  • 상부 구조물의 하중이 커서 추가 지지력이 필요한 경우
  • 상부 지반이 압축 가능한 경우 (연약지반을 뜻함)
  • 강바닥이나 해변 근처에 위치하여 세굴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 구조물 근처에 운하 또는 깊은 배수 시스템이 있는 경우

파일 종류 및 특징[편집]

파일의 종류 중심간격 특징
나무 파일 2.5D or 60cm 이상 상수면 이하 타입(부패 방지)
기성콘크리트 파일 2.5D or 75cm 이상 주근 6개 이상, 피복두께 3cm 이상
강재 파일 직경이나 폭의 2배 or 75cm 이상 폐단 강관말뚝간격은 2.5배 이상
매입 파일 2.0D 이상 프리보링 공법, SIP공법 사용
현장타설콘크리트 파일 2.0D or D+1m 이상 주근 6개 이상, 피복두께 6cm 이상

허용지지력의 순서는 나무(10ton) ▶기성콘크리트(50ton)▶ 강재(100ton)▶ 현장타설콘크리트(200~900ton) 이다.

허용지지력이 약한것들의 중심간격이 2.5D 이고 강한것들은 2.0D, 나무 60cm 이상 나머지는 75cm라는 것을 기억하면 구분하기가 좀 더 수월할 것이다.

또한 말뚝의 허용지지력 산출법은 1) 박기시험 / 2) 재하시험 / 3) 지반의 허용응력도 에 의한 시험이 존재한다.

말뚝 박기시험의 주의사항은 1) 말뚝공이의 중량 = 말뚝 무게의 1~3배 / 2) 정확한 위치에 수직, 휴식시간 없이 박기 / 3) 최종 관입량 = 5회 or 10회 타격한 평균값 / 4) 타격횟수 5회 6mm이하인 경우 항타종료 이다.

파일링 공법의 유형[편집]

타입공법
현장타설공법
복합공법
프랭키파일

파일의 시공 방법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타입(항타) 공법 (Driven pile)[편집]

타격공법, 진동공법, 압입공법 등이 이와 유사한 공법으로 분류된다. 타입 공법을 사용하는 말뚝 기초는 콘크리트, 강철 또는 목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파일은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기 전에 제작된다. 말뚝이 콘크리트로 제작되고 항타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프리캐스트 항타 파일(PHC파일)이라고 한다. 이 파일은 파일 해머를 사용하여 박아넣는다. 타입 말뚝은 지반을 대체하기 위해 설치되며, 말뚝의 부피와 동일한 부피의 지반을 밀어내어 토양을 조밀하게 만든다. 인접한 지반을 압축하는 말뚝을 압축 말뚝이라고도 한다.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 상부 구조물의 하중이 커서 추가 지지력이 필요한 경우, 상부 지반이 압축 가능한 경우 (연약지반을 뜻함), 강바닥이나 해변 근처에 위치하여 세굴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구조물 근처에 운하 또는 깊은 배수 시스템이 있는 경우

이러한 지반 조밀화는 지지력을 증가시틴다. 그러나 지하수 포화 지반이나 투수성이 낮은 지반은 배수 능력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토양을 조밀화하려면 물을 배출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반에서는 말뚝을 설치할 때 압축되지 않으므로 공극수압이 증가하고 지반의 지지력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배수 시스템을 설치하여 지반의 수분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장 타설 공법 (Cast in place pile)[편집]

현장 타설 기초 방법은 콘크리트 말뚝을 사용하며, 프리캐스트 파일을 건설 현장으로 운반하는 대신 작업자가 지면에 천공을 하고 그 안에 철근을 넣은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를 형성한다.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기초의 깊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항타 파일 기초에 사용되는 파일보다 작은 직경의 말뚝을 사용할 수도 있다. 현장 타설 방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 지반 조사 : 건설 현장에서 적절한 위치에 대한 지반 조사를 수행한다. 이는 지반의 특성과 기초 설계에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중요한 단계이다.
  • 지반 천공 : 기초의 위치에 따라 작업자는 깊이와 직경이 적절한 시추공을 파고 철근을 넣는다. 일반적으로 회전식 오거(Auger)를 사용하여 천공한다.
  • 철근 삽입 : 적절한 길이의 조립된 철근망을 삽입한다. 철근은 말뚝의 강도와 지지력을 제공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 콘크리트 타설 :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말뚝을 형성한다. 콘크리트는 구멍을 완전히 채워 넣어야 하며, 적절한 압축과 컴팩션을 통해 지반과의 밀착을 확보해야 한다.
  • 양생 :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말뚝은 강도를 향상시키고 안정성을 제공한다. 이후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복합공법(Composite driven pile)[편집]

항타 말뚝과 현장 타설 말뚝은 항타 말뚝과 현장 타설 말뚝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 복합 말뚝의 설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말뚝 직경의 강철 쉘을 지반에 박는다. 이후 삽입된 쉘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쉘은 주름지고 강화된 얇은 강판(모노튜브 파일)로 만들어진다. 이 유형의 파일을 쉘형 파일이라고 한다.

쉘리스 타입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동안 쉘을 인발하여 제거한다. 두 가지 유형의 파일 모두 쉘의 바닥은 쉘에서 분리할 수 있는 원추형 팁으로 닫혀 있다.

콘크리트를 쉘 밖으로 밀어내면 두 가지 유형의 파일 모두에서 확대된 전구가 형성될 수 있다. 프랭키 파일은 이 유형에 속한다. 어떤 경우에는 쉘이 제자리에 남겨진채 말뚝 구조의 일부로 기능한다. 이 유형의 파일은 물위에 쌓는 데 매우 많이 사용된다.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파일 (건설) 문서는 건설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