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의 알고리즘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이란 다수의 참여자들이 통일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알고리즘]]을 말한다. '''합의 모델''', '''합의 방식''', '''합의 메커니즘''' 또는 '''합의 프로토콜'''이라고도 한다. [[블록체인]] 시스템의 경우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참여자들이 동일한 데이터를 복사하여 분산 저장하기 때문에 원본과 사본의 구별이 없으며, 통일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위 있는 중앙(center)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다양한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이란 다수의 참여자들이 통일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알고리즘]]을 말한다. '''합의 모델''', '''합의 방식''', '''합의 메커니즘''' 또는 '''합의 프로토콜'''이라고도 한다. [[블록체인]] 시스템의 경우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참여자들이 동일한 데이터를 복사하여 분산 저장하기 때문에 원본과 사본의 구별이 없으며, 통일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위 있는 중앙(center)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다양한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개요==
 
블록체인은 [[탈중앙화]]를 추구하며 전 세계의 다양한 참여자가 [[피투피]](Peer To Peer, P2P) 네트워크 방식으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어서 그 무엇보다 참여자의 의견 일치(합의)가 중요하다. [[합의 알고리즘]]은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성하는 데 꼭 필요한 요소이며, 다양한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다양한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ref>Seonho Shin, 〈[https://brunch.co.kr/@shinseonho/56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 이해하기]〉, 《브런치》, 2019-04-09</ref> 합의 알고리즘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합의를 달성하는 메커니즘이라 정의할 수 있다. 탈중앙화된 블록체인은 [[분산화]]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 권위체에 의존하지 않기에, 분산화된 노드는 트랜잭션의 유효성에 합의가 필요하다. 이곳이 바로 합의 알고리즘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합의 알고리즘은 프로토콜 규칙이 준수되고 있는지 확인하며, 모든 [[트랜잭션]]이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보장해, 코인이 한 번만 사용되도록 한다.<ref name="바이낸스 아카데미">〈[https://www.binance.vision/ko/blockchain/what-is-a-blockchain-consensus-algorithm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이란 무엇인가요?]〉, 《바이낸스 아카데미》, 2019-11-09</ref>
 
 
몇 가지 유형의 [[합의 알고리즘]]이 있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작업증명]](Proof of Work; PoW)과 [[지분증명]](Proof of Stake; PoS)이다. 보안성과 기능성, 확장성의 균형을 고려할 때, 각기 장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합의 알고리즘은 암호 화폐 네트워크의 무결성과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하다. 합의 알고리즘은 [[분산화]]된 [[노드]]들이 어떤 버전의 블록체인이 진짜 버전인지 합의할 수 있게 한다. 디지털 경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현 상태의 블록체인에 합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작업증명 합의 알고리즘은 비잔티움 장군 문제를 해결하는 최고의 해결책으로 간주하며 이는 비트코인을 [[비잔티움 장애 허용]] 시스템으로 탄생시켰다. 이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이 51% 공격(또는 다수의 공격)과 같은 공격에 매우 강력함을 뜻한다. 네트워크가 [[탈중앙화]]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증명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마이닝]] 과정에 드는 높은 비용은 마이너들이 네트워크를 방해하기 위해 자신들의 자원을 투자하는 것을 무척 어렵게 한다.<ref name="바이낸스 아카데미"></ref>
 
  
 
== 종류 ==
 
== 종류 ==
 
===작업증명===
 
===작업증명===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이란 목표값 이하의 해시를 찾는 과정을 무수히 반복함으로써 해당 작업에 참여했음을 증명하는 방식의 알고리즘이다. 채굴을 통해 작업증명을 한다.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비트코인캐시]], [[비트코인골드]], [[모네로]], [[지캐시]], [[시아코인]], [[불웍]], [[에이치닥]] 등의 암호화폐에서 작업증명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이란 목표값 이하의 해시를 찾는 과정을 무수히 반복함으로써 해당 작업에 참여했음을 증명하는 방식의 알고리즘이다. 채굴을 통해 작업증명을 한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비트코인캐시]], [[비트코인골드]], [[모네로]], [[지캐시]], [[시아코인]], [[불웍]], [[에이치닥]] 등의 암호화폐에서 작업증명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작업’이란 ‘채굴’에 이르기까지 연산 과정을 뜻한다. 채굴자들은 컴퓨터로 복잡한 수식을 풀어 조건에 맞는 해시값을 찾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 경우 모든 노드들이 찾아낸 해시값을 검증하고 승인하는 과정을 거쳐 블록에 거래 내역을 저장한다. 따라서 모든 노드들의 승인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거래 내역을 속이기가 힘들다는 장점이 있다. 이런 점에서 작업증명 합의 알고리즘은 블록체인이 가지는 탈중앙화라는 본질을 가장 잘 살린 합의 방식이다. 그러나 이런 과정 때문에 거래 처리 속도가 늦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채굴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가 심하다는 것도 단점이다. 이 때문에 일정 조건에 따라 블록 생성에 참여하는 노드들을 제한하는 지분증명방식이 등장했다.<ref name="윤해리기자델리">윤해리기자, 〈[http://www.dailytoken.kr/news/articleView.html?idxno=10916 (코린이 상식백과)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 A to Z 1편]〉, 《데일리토큰》, 2018-10-15</ref>
 
'작업’이란 ‘채굴’에 이르기까지 연산 과정을 뜻한다. 채굴자들은 컴퓨터로 복잡한 수식을 풀어 조건에 맞는 해시값을 찾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 경우 모든 노드들이 찾아낸 해시값을 검증하고 승인하는 과정을 거쳐 블록에 거래 내역을 저장한다. 따라서 모든 노드들의 승인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거래 내역을 속이기가 힘들다는 장점이 있다. 이런 점에서 작업증명 합의 알고리즘은 블록체인이 가지는 탈중앙화라는 본질을 가장 잘 살린 합의 방식이다. 그러나 이런 과정 때문에 거래 처리 속도가 늦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채굴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가 심하다는 것도 단점이다. 이 때문에 일정 조건에 따라 블록 생성에 참여하는 노드들을 제한하는 지분증명방식이 등장했다.<ref name="윤해리기자델리">윤해리기자, 〈[http://www.dailytoken.kr/news/articleView.html?idxno=10916 (코린이 상식백과)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 A to Z 1편]〉, 《데일리토큰》, 2018-10-15</ref>
18번째 줄: 13번째 줄:
  
 
====균형작업증명====
 
====균형작업증명====
[[파일:에이치닥 로고.png|썸네일|150픽셀|'''[[에이치닥]]'''(Hdac)]]
 
 
[[균형작업증명]]('''ePoW''', equilibrium Proof of Work)은 기존 작업증명 방식을 기반으로 하되, 한 번 채굴에 성공한 노드는 일정 기간 강제로 휴식을 취하도록 만들어 다른 노드들에게 채굴 기회를 공평하게 나누어 주는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이다. [[에이치닥]] 코인에서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균형작업증명]]('''ePoW''', equilibrium Proof of Work)은 기존 작업증명 방식을 기반으로 하되, 한 번 채굴에 성공한 노드는 일정 기간 강제로 휴식을 취하도록 만들어 다른 노드들에게 채굴 기회를 공평하게 나누어 주는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이다. [[에이치닥]] 코인에서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49번째 줄: 43번째 줄:
  
 
====지연작업증명====
 
====지연작업증명====
[[파일:코모도 로고.png|썸네일|150픽셀|'''[[코모도]]'''(Komodo)]]
 
 
[[지연작업증명]]('''DPoW''', Delayed Proof of Work)은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해시 파워를 사용하는 작업증명 합의 알고리즘의 수정 버전이다. [[슈퍼넷]](Supernet)이 설계하였으며 [[코모도]](Komodo)가 유일하게 디포우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지연작업증명]]('''DPoW''', Delayed Proof of Work)은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해시 파워를 사용하는 작업증명 합의 알고리즘의 수정 버전이다. [[슈퍼넷]](Supernet)이 설계하였으며 [[코모도]](Komodo)가 유일하게 디포우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75번째 줄: 68번째 줄:
  
 
====담보지분증명====
 
====담보지분증명====
[[파일:코스모스코인 글자.png|썸네일|250픽셀|'''[[코스모스코인]]'''(Cosmos Coin)]]
 
 
[[담보지분증명]]('''BPoS''', Bonded Proof of Stake)은 [[코스모스코인]](Cosmos Coin)이 사용하는 지분증명 기반의 합의 알고리즘이다. 코스모스의 지분증명을 담보지분증명이라 일컫는다. 담보지분증명 방식은 구현하기 훨씬 어렵고 마스터노드뿐만 아니라 위임지분증명 프로토콜을 활용하는 지분증명 프로토콜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한다.<ref>COSMOS Korea, 〈[https://medium.com/lunamint-atlas/%EC%BD%94%EC%8A%A4%EB%AA%A8%EC%8A%A4-%EC%B5%9C%EC%8B%A0-%EC%86%8C%EC%8B%9D-%ED%95%84%EB%8F%85-10%EC%9B%94-%EC%BB%A4%EB%AE%A4%EB%8B%88%ED%8B%B0-%EC%97%85%EB%8D%B0%EC%9D%B4%ED%8A%B8-5bbf3e429de7 코스모스 최신 소식 — (필독) 10월 커뮤니티 업데이트]〉, 《미디엄》, 2018-11-14</ref>
 
[[담보지분증명]]('''BPoS''', Bonded Proof of Stake)은 [[코스모스코인]](Cosmos Coin)이 사용하는 지분증명 기반의 합의 알고리즘이다. 코스모스의 지분증명을 담보지분증명이라 일컫는다. 담보지분증명 방식은 구현하기 훨씬 어렵고 마스터노드뿐만 아니라 위임지분증명 프로토콜을 활용하는 지분증명 프로토콜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한다.<ref>COSMOS Korea, 〈[https://medium.com/lunamint-atlas/%EC%BD%94%EC%8A%A4%EB%AA%A8%EC%8A%A4-%EC%B5%9C%EC%8B%A0-%EC%86%8C%EC%8B%9D-%ED%95%84%EB%8F%85-10%EC%9B%94-%EC%BB%A4%EB%AE%A4%EB%8B%88%ED%8B%B0-%EC%97%85%EB%8D%B0%EC%9D%B4%ED%8A%B8-5bbf3e429de7 코스모스 최신 소식 — (필독) 10월 커뮤니티 업데이트]〉, 《미디엄》, 2018-11-14</ref>
  
81번째 줄: 73번째 줄:
  
 
====리스지분증명====
 
====리스지분증명====
[[파일:웨이브즈 글자.png|썸네일|250픽셀|'''[[웨이브즈]]'''(Waves)]]
 
 
[[리스지분증명]]('''LPoS''', Leased Proof of Stake)은 자신이 소유한 암호화폐를 다른 사람에게 리스(lease)로 임대해 주고 그 대가로 보상을 받는 방식이다. [[웨이브즈]]가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리스지분증명은 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의 향상된 버전이다.
 
[[리스지분증명]]('''LPoS''', Leased Proof of Stake)은 자신이 소유한 암호화폐를 다른 사람에게 리스(lease)로 임대해 주고 그 대가로 보상을 받는 방식이다. [[웨이브즈]]가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리스지분증명은 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의 향상된 버전이다.
  
87번째 줄: 78번째 줄:
  
 
====시간소각 지분증명====
 
====시간소각 지분증명====
[[파일:엑스피체인 로고.png|썸네일|150픽셀|'''[[엑스피체인]]'''(XPChain)]]
 
 
[[시간소각 지분증명]]('''ABPoS''', Age Burnable Proof of Stake)은 기존 지분증명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엑스피체인]](XPChain)이 새로이 개발한 합의 알고리즘이다. "Age Burnable Proof of Stake"라는 말로 알 수 있듯이 시간이 가면서 코인을 소각할 수 있는 방식이다. 마치 우리의 현재 통화가 마모되고 손상되어 수명을 다하듯이, 암호화폐 또한 그렇게 개발한 것이다. 이를 통해 코인 수를 항상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시간소각 지분증명]]('''ABPoS''', Age Burnable Proof of Stake)은 기존 지분증명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엑스피체인]](XPChain)이 새로이 개발한 합의 알고리즘이다. "Age Burnable Proof of Stake"라는 말로 알 수 있듯이 시간이 가면서 코인을 소각할 수 있는 방식이다. 마치 우리의 현재 통화가 마모되고 손상되어 수명을 다하듯이, 암호화폐 또한 그렇게 개발한 것이다. 이를 통해 코인 수를 항상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132번째 줄: 122번째 줄:
  
 
===위임지분증명===
 
===위임지분증명===
[[파일:스팀잇 로고.png|썸네일|150픽셀|'''[[스팀잇]]'''(Steemit)]]
 
 
[[위임지분증명]]('''DPoS''', Delegated Proof of Stake)은 암호화폐 소유자들이 각자의 지분율에 비례하여 투표권을 행사하여 자신의 대표자를 선정하고, 이 대표자들끼리 합의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방식이다. 국민의 대표로 의원을 뽑아 의회를 구성하는 대의 민주주의 제도와 유사하다. [[이오스]], [[스팀]], [[리스크]], [[엘프]], [[라이즈]], [[아크]], [[비트셰어]], [[시프트]], [[보스코인]] 등이 위임지분증명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위임지분증명]]('''DPoS''', Delegated Proof of Stake)은 암호화폐 소유자들이 각자의 지분율에 비례하여 투표권을 행사하여 자신의 대표자를 선정하고, 이 대표자들끼리 합의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방식이다. 국민의 대표로 의원을 뽑아 의회를 구성하는 대의 민주주의 제도와 유사하다. [[이오스]], [[스팀]], [[리스크]], [[엘프]], [[라이즈]], [[아크]], [[비트셰어]], [[시프트]], [[보스코인]] 등이 위임지분증명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166번째 줄: 155번째 줄:
  
 
====포뮬레이션증명====
 
====포뮬레이션증명====
[[포뮬레이션증명]]('''PoF''', Proof of Formulation)은 포뮬레이션 보상 순서를 바탕으로 채굴자를 선택하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플레타 (암호화폐)|플레타]](Fleta)가 기존의 위임지분증명을 일부분 변형하여 만들었다. 포뮬러 그룹은 네트워크에서 블록 생성 순서를 공유하고 확인하며, 공유되고 동기화된 순서를 통해 블록 생성을 진행한다. 가장 높은 순위의 포뮬러가 블록을 생성하고 다음 블록은 다음 순위가 생성하는 순환 방식을 이용하여 고속 거래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안정적인 블록 생성을 수행한다.<ref>〈[https://fleta.io/download/181026-TechWhitepaper_KR_V2-web.pdf FLETA TECH PAPER Update 2018.10.17_v2.0]〉, 《플래타 기술백서》, 2018-10-17</ref>
+
[[포뮬레이션증명]]('''PoF''', Proof of Formulation)은 포뮬레이션 보상 순서를 바탕으로 채굴자를 선택하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플레타]](Fleta)가 기존의 위임지분증명을 일부분 변형하여 만들었다. 포뮬러 그룹은 네트워크에서 블록 생성 순서를 공유하고 확인하며, 공유되고 동기화된 순서를 통해 블록 생성을 진행한다. 가장 높은 순위의 포뮬러가 블록을 생성하고 다음 블록은 다음 순위가 생성하는 순환 방식을 이용하여 고속 거래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안정적인 블록 생성을 수행한다.<ref>〈[https://fleta.io/download/181026-TechWhitepaper_KR_V2-web.pdf FLETA TECH PAPER Update 2018.10.17_v2.0]〉, 《플래타 기술백서》, 2018-10-17</ref>
  
 
====포크능력증명====
 
====포크능력증명====
234번째 줄: 223번째 줄:
  
 
===두뇌증명===
 
===두뇌증명===
[[두뇌증명]]('''PoB'''; Proof of Brain)방식은 [[암호화폐]]의 발행을 채굴자나 지분 소유자에게 맡기지 않고, 지적 두뇌 활동을 통해 콘텐츠를 생산하는 사용자와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참여자들에게 맡기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돈 버는 [[SNS]]로 알려진 [[스팀잇]]의 자체 토큰인 [[스팀]](Steem)이 두뇌증명을 사용하고 있다. 스팀잇은 기본적으로 [[위임지분증명]]과 더불어 콘텐츠 생산자들에게 더 많은 보상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한 두뇌증명 방식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콘텐츠를 작성하고 추천하는 행위에 따라 스팀으로 보상을 해주는 이 방식은 사실상 [[채굴]]보다는 보상 알고리즘에 가깝다.<ref name="데일리토큰"></ref>
+
[[두뇌증명]]('''PoB'''; Proof of Brain)방식은 [[암호화폐]]의 발행을 채굴자나 지분 소유자에게 맡기지 않고, 지적 두뇌 활동을 통해 콘텐츠를 생산하는 사용자와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참여자들에게 맡기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돈 버는 [[SNS]]로 알려진 [[스팀잇]]의 자체 토큰인 [[스팀]](Steem)이 두뇌증명을 사용하고 있다. 스팀잇은 기본적으로 [[위임지분증명]]과 더불어 콘텐츠 생산자들에게 더 많은 보상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한 두뇌증명 방식도 함께 운영하고 있따. 콘텐츠를 작성하고 추천하는 행위에 따라 스팀으로 보상을 해주는 이 방식은 사실상 [[채굴]]보다는 보상 알고리즘에 가깝다.<ref name="데일리토큰"></ref>
  
 
===중요도증명===
 
===중요도증명===
243번째 줄: 232번째 줄:
  
 
신뢰성증명은 [[블록체인]] 생태계에 가장 활발하게 참여한 사람에게 보상을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해당 블록체인 기술로 [[앱]]을 열심히 개발했거나, 그 [[암호화폐]] 기술로 결제를 많이 한 사람 중 일부를 골라 추첨한다. 뽑힌 검증자는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지(해킹,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 검증한 후 이오스트의 암호화폐를 받는다. 이를테면 암호화폐, 복권, 청문회를 모두 거쳐야 하는 엄격한 방식이다. 이 [[네트워크]]에는 평판개념이 도입돼 있다. 평판과 [[토큰]]을 합해서 블록을 생성할 권한을 줄지 결정한다. 평판에는 사용, 거래, 기부 등의 여러 요소가 포함된다. 이 평판이 0으로 돌아가면 처음부터 좋은 일을 다시 해야 한다.<ref>이종철기자, 〈[https://byline.network/2018/05/09/ 믿을만하면 코인준다, 신뢰성 증명 블록체인 플랫폼 IOST 출범]〉, 《바이라인네트워크》, 2018-05-09</ref>
 
신뢰성증명은 [[블록체인]] 생태계에 가장 활발하게 참여한 사람에게 보상을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해당 블록체인 기술로 [[앱]]을 열심히 개발했거나, 그 [[암호화폐]] 기술로 결제를 많이 한 사람 중 일부를 골라 추첨한다. 뽑힌 검증자는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지(해킹,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 검증한 후 이오스트의 암호화폐를 받는다. 이를테면 암호화폐, 복권, 청문회를 모두 거쳐야 하는 엄격한 방식이다. 이 [[네트워크]]에는 평판개념이 도입돼 있다. 평판과 [[토큰]]을 합해서 블록을 생성할 권한을 줄지 결정한다. 평판에는 사용, 거래, 기부 등의 여러 요소가 포함된다. 이 평판이 0으로 돌아가면 처음부터 좋은 일을 다시 해야 한다.<ref>이종철기자, 〈[https://byline.network/2018/05/09/ 믿을만하면 코인준다, 신뢰성 증명 블록체인 플랫폼 IOST 출범]〉, 《바이라인네트워크》, 2018-05-09</ref>
 
===성능증명===
 
[[파일:하이퍼블록 로고.png|썸네일|150픽셀|'''[[하이퍼블록]]'''(High Performance Blockchain)]]
 
[[성능증명]](Proof of Performance; PoP) 합의 알고리즘은 [[탈중앙화]]와 네트워크 성능을 모두 보장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하이퍼블록]](High Performance Blockchain; HPB)이 성능증명 알고리즘을 채택하고 있다. 각 [[노드]]의 성능 기여도를 기반으로 하며,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 변수들이 계산에 고려된다. 이 방식에서는 후보자 노드의 기존 풀에서 HP노드를 10분마다 새로 생성한다. 성능증명 방식은 아우터 레이어(Outer Layer)와 이너 레이어(Inner Layer) 두 가지 레이어를 포함하고 있는데, 아우터 레이어는 서버 성능, 네트워크 대역폭, HP노드의 수행 횟수, 지리적 위치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약 10분 간격의 HP노드 로테이션을 통해 공정하고 안정적으로 HP노드를 선발한다. 이너레이어는 어떤 HP노드가 블록을 생성하는지 결정한다.<ref>"[https://www.hpb.io/static/file/whitepaper/HPB_whitepaper_kor_韩语_한국어.pdf High Performance Blockchain Whitepaper]", ''hpb.io''</ref>{{자세히|성능증명}}
 
  
 
===흐름증명===
 
===흐름증명===
290번째 줄: 275번째 줄:
 
* 파랑새, 〈[https://blog.naver.com/mhsun/221212385503 블록체인 기술 용어]〉, 《파랑새 암호화폐 연구회》, 2018-02-20
 
* 파랑새, 〈[https://blog.naver.com/mhsun/221212385503 블록체인 기술 용어]〉, 《파랑새 암호화폐 연구회》, 2018-02-20
 
* 초보자를 위한 블록체인 설명, 〈[https://cryptochain.tistory.com/49 블록체인의 합의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자: PoW, PoS, DPoS, BFT]〉, 《블록센스》, 2018-07-03
 
* 초보자를 위한 블록체인 설명, 〈[https://cryptochain.tistory.com/49 블록체인의 합의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자: PoW, PoS, DPoS, BFT]〉, 《블록센스》, 2018-07-03
* Seonho Shin, 〈[https://brunch.co.kr/@shinseonho/56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 이해하기]〉, 《브런치》, 2019-04-09
 
* 〈[https://www.binance.vision/ko/blockchain/what-is-a-blockchain-consensus-algorithm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이란 무엇인가요?]〉, 《바이낸스 아카데미》, 2019-11-09
 
* ROA Invention LAB, 〈[https://verticalplatform.kr/archives/9984 합의 알고리즘의 발전과 진화방향]〉, 《버티컬 플랫폼》, 2018-05-31
 
* "[https://docs.wavesplatform.com/en/platform-features/leased-proof-of-stake-lpos.html Leased Proof of Stake]", ''Waves Platform''
 
* Waves.docs, 〈[https://docs.wavesplatform.com/ko/platform-features/leased-proof-of-stake-lpos.html Leased 지분 증명]〉, 《GitBook》
 
* "[https://www.hpb.io/static/file/whitepaper/HPB_whitepaper_kor_韩语_한국어.pdf High Performance Blockchain Whitepaper]", ''hpb.io''
 
* COSMOS Korea, 〈[https://medium.com/lunamint-atlas/%EC%BD%94%EC%8A%A4%EB%AA%A8%EC%8A%A4-%EC%B5%9C%EC%8B%A0-%EC%86%8C%EC%8B%9D-%ED%95%84%EB%8F%85-10%EC%9B%94-%EC%BB%A4%EB%AE%A4%EB%8B%88%ED%8B%B0-%EC%97%85%EB%8D%B0%EC%9D%B4%ED%8A%B8-5bbf3e429de7 코스모스 최신 소식 — (필독) 10월 커뮤니티 업데이트]〉, 《미디엄》, 2018-11-14
 
* 김가현 기자, 〈[https://blockinpress.com/archives/9423 '3세디 코스모스, 무엇이 다른가'...첫 코스모스 아카데미 서울서 열려]〉, 《블록인프레스》, 2018-10-03
 
* Gautier MARIN, 〈[https://blog.cosmos.network/what-does-the-launch-of-cosmos-mean-for-the-blockchain-ecosystem-952e14f67d0d What does the Launch of Cosmos mean for the Blockchain Ecosystem?]〉, 《미디엄》, 2019-06-06
 
* 거노파파,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howk17&logNo=221288072640&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XPChain(XPC) 엑스피체인 장점 소개 1탄 - ABPoS란?]〉, 《네이버 블로그》, 2018-05-31
 
* 에이치닥 테크놀로지, 〈[https://hos-forward.s3-accelerate.amazonaws.com/hos/download/Hdac_WhitePaper(KOR)_v1.0.2.pdf 에이치닥 : 트랜잭션 혁신 - 블록체인 기반의 사물인터넷 계약과 M2M 트랜잭션 플랫폼]〉, 에이치닥 백서, 2017년 11월
 
* 〈[https://www.binance.vision/ko/blockchain/what-is-the-rsi-indicator 지연작업 증명(DPoW) 설명]〉, 《바이낸스아카데미》, 2018-12-08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다단2|
 
* [[합의]]
 
* [[알고리즘]]
 
 
* [[블록체인]]
 
* [[블록체인]]
 
* [[채굴]]
 
* [[채굴]]
313번째 줄: 283번째 줄:
 
* [[암호 알고리즘]]
 
* [[암호 알고리즘]]
 
* [[체인 알고리즘]]
 
* [[체인 알고리즘]]
|
 
* [[작업증명]]
 
* [[지분증명]]
 
* [[위임지분증명]]
 
* [[리스지분증명]]
 
* [[시간소각 지분증명]]
 
* [[담보지분증명]]
 
* [[성능증명]]
 
* [[균형작업증명]]
 
* [[지연작업증명]]
 
}}
 
  
 
{{합의 알고리즘|검토 필요}}
 
{{합의 알고리즘|검토 필요}}
 +
 
[[분류:블록체인]]
 
[[분류:블록체인]]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