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형산강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형산강

형산강(兄山江)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경주시·포항시를 지나 동해영일만으로 흘러드는 이다.

개요[편집]

  • 형산강은 경북 남동부에 흐르는 강이다. 길이 63.34km, 유역면적 1,132.96㎢이다. 경상북도 경주시 서면 도리(道里) 일대에서 발원, 북류하여 도계를 지나 미역내·인천(麟川) 등으로 불리며 경주국립공원 지역을 관류한다. 한내(大川)·남천(南川) 등을 합치며 경주시를 지나 안강읍의 동쪽 경계를 흐르다가 진로를 북동으로 꺾어 연일읍을 거쳐 포항시를 관류, 영일만으로 흘러든다. 형산(兄山)이라는 이름은 경주시와 포항시의 접경에서 제산(弟山)과 마주하고 있는 형산(兄山)에서 유래됐다. 형산강지구대(地溝帶)를 흐르며 주변에 교통의 요지를 이루는 형산강은 강으로서는 크지 않고 지류도 많지 않으나, 유역에 비옥한 지구평야를 발달시켰고 예나 지금이나 경주·포항의 젖줄 역할을 한다. 특히 신라의 천년 고도 경주의 성립에 매우 큰 구실을 하였다. 유역은 인구가 조밀하고, 동해남부선 철도의 개통으로 교통이 더욱 편리해졌다.[1]
  • 형산강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서 발원하여 경주시와 포항시 도심을 관통하여 영일만을 통해 동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강이며 유역면적은 1,132.96㎢, 길이는 63.34km이다. 강줄기가 형산강 지구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강 줄기는 경상북도 경주시 서면에서 발원하여 동남쪽으로 흐르면서 건천읍과 경주시내 동 지역을 지난다. 이 때 동 지역 남쪽(율동, 탑동 경계)에서 남천이, 경주시내에서 보덕동 발원, 덕동호에서 나오는 하천과 합류한다. 이 후 경주시내를 지나 현곡면과 천북면 사이를 지난다. 그 이후 안강읍에서 칠평천이 합류하며, 이 후 진로를 북동쪽으로 꺾고, 강동면 인동리에서는 기계천이 합류 한다. 이 후, 포항시 남구 연일읍을 거친다. 그리고 포항시 동 지역에서 영일만으로 흘러든다. 형산이라는 이름은 경주시와 포항시의 접경에서 제산(弟山)과 마주하고 있는 형산(兄山)에서 유래됐다. 7번 국도 경주와 포항 경계 지점의 유강터널이 지나는 산이 제산이며 강 건너편에 있는 산이 형산이다.[2]
  • 형산강은 대한민국의 동해로 흐르는 강 중 가장 긴 강으로, 경상북도 경주시 서면 도리 인내산에서 발원한다. 평야는 형산강평야(兄山江平野)라고 부르며, 인구 밀집지역이다. 동해선과 국도 제7호선이 강을 따라 위치하고 있어 교통은 편리하다. 한편 하구에는 포스코의 제철소가 위치하여, 공업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신라 시대에는 수도를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하천 중의 하나였다. 강 주변에는 신라 때의 고분군이나 유적들이 많아, 경주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국가하천이며 그 구간은 경주시 탑동의 대천 합류점부터 하구까지다. 현재까지 발원지가 어디인지의 논란이 많으나 국토교통부에서 발간한 한국하천일람에서 공인한 형산강의 최장 발원지는 '경주시 서면 도리, 인내산'이다. 형산강의 하구인 경상북도 포항시 송도동에 삼각주가 있다. 삼각주에는 대도, 상도, 해도, 죽도, 송도 등 다섯 개의 섬이 있었다. 그러나 1968년 포스코가 들어서면서 유로변경이 이루어지고 복개되었다. 물이 정체된 구하도(동빈내항)의 오염문제가 심각해지자, 포항시에서는 포항운하를 복원하였다.[3]
  • 형산강은 길이 61.95㎞, 유역면적 1,140㎢. 남한에서 동해로 흘러드는 강 중에서 가장 크고 유역에 형성된 충적평야도 가장 넓다. 본류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에서 발원하여 언양단층선의 북쪽 연장선을 따라 북북동류하다가 경주시 부근에서 지류인 건천(乾川)·남천(南川) 등을 합류하여 경주시 부근에 넓은 분지상 충적평야, 즉 경주평야를 형성한다. 계속 북북동쪽으로 흘러 경주시 안강읍 부근에서 기계천(杞溪川)과 합류하며 이 부근에 다시 분지상의 안강평야를 만든다. 여기서 유로를 동북동으로 바꾸어 형산제산지협(兄山弟山地峽)을 지나 영일만내에 삼각주성 충적평야인 포항평야를 형성하고 바다로 흘러든다. 일반적으로는 태화강(太和江)의 지류인 동천강(東川江)과 형산강의 지류인 남천, 그리고 경주시 이하의 형산강 본류를 따라 형성된 저지대를 형산강지구대라고 부르나, 지구대로 단정할 확실한 단층구조가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다. 이 강 유역에는 신라의 고도 경주가 자리하고 있으며, 하구에는 포스코(POSCO; 구 포항종합제철)가 위치하고 있다.[4]

강의 기준[편집]

  • 강(江)과 내(川)를 합쳐서 하천(河川)이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크고 작은 모든 하천을 망라해서 그냥 하천이라 부르지만, 하천 중에서 크고 길게 흐르는 하(河)를 특별히 강이라 부른다. 한강, 낙동강, 대동강, 금강 등과 같이 주요 하천들의 이름 뒤에는 '江'이 붙어 있다.
  • 강(江)은 내륙을 흐르는 하천(河川) 중에 규모가 제법 크고 뚜렷한 물줄기를 말한다. 강의 순우리말은 '가람'이며, 한자어원인 강(江)자는 본래 중국의 장강(양쯔강)을 가리키던 글자였으나 의미가 확대되어 지금의 모든 강을 지칭하는 단어가 되었다.

형산강 유역의 생태[편집]

  • 계류형 하천으로 많은 회귀성 어류가 분포하며 다양한 종들이 분포했지만 현재는 많은 보들로 인하여 정수형 생태계가 되었으며 배스, 블루길 같은 외래 어종이 유입되면서 종의 다양성이 큰 타격을 입었다. 분포하는 물고기는 잉어, 붕어, 큰입 배스, 파랑 볼우럭, 납자루, 가물치, 잔가시고기, 각시붕어, 수수미꾸리, 중고기, 누치등이 분포한다.
  • 포항시를 가로지르는 하류 부근에서 다양한 조류가 많이 발견된다. 참새, 까치 등 흔히 볼 수 있는 텃새부터 청둥오리와 같은 겨울 철새까지 수많은 조류가 자생한다. 한겨울에는 흰꼬리수리, 검은머리갈매기 등을 목격할 수 있다. 동계에 강변을 따라가다보면 철새를 찍으러 온 사진 작가들을 어렵지 않게 볼수 있을 정도이다. 몇 년 전에는 포항시에서도 이를 인식하고 연일읍 중명리 도로변에 철새를 주제로 한 전망대를 건설하였다. 공업도시의 하천이 대부분 그렇듯 하류로 갈수록 수질은 영 좋지 않은편이다. 경주와 포항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야 처리장에서 어느정도 정화되어 나오지만 진짜 문제는 공업단지에서 방류되는 폐수이다. 공업지구로 이어진 하천에서는 퇴적물로 인한 토양 및 수질 오염이 심각한데 2016년에는 오염도 조사를 한 결과 공업단지와 인접한 하천의 퇴적물과 어패류에서 기어코 수은과 카드뮴을 비롯한 중금속이 적게는 기준치의 수십배에서 많게는 수천~1만배 이상(!) 초과 검출되었다.
  • 형산강은 울산 울주구 두서면(斗西面)에서 복안천(伏安川)이라는 이름으로 발원하여 북류하여 도계를 지나 미역내 ·인천(麟川) 등으로 불리며 경주국립공원 지역을 관류한다. 한내(大川) ·남천(南川) 등을 합치며 경주시를 지나 안강읍의 동쪽 경계를 흐르다가 진로를 북동으로 꺾어 연일읍을 거쳐 포항시를 관류, 영일만으로 흘러든다. 형산강지구대(地溝帶)를 흐르며 주변에 교통의 요지를 이루는 형산강은 강으로서는 크지 않고 지류도 많지 않으나, 유역에 비옥한 지구평야를 발달시켰고 예나 지금이나 경주 ·포항의 젖줄 역할을 한다. 특히 신라의 천년 고도 경주의 성립에 매우 큰 구실을 하였다. 유역은 인구가 조밀하고, 동해남부선 철도의 개통으로 교통이 더욱 편리해졌다. 형산강은 경주시와 포항시의 생활용수, 공업용수 및 농업용수로 이용되는 주요 수자원이다. 그런데, 수량이 부족하고 하상의 경사도가 매우 급하기 때문에 하천수가 빠르게 영일만으로 흘러들어 가고, 유하거리가 짧아 오염물질이 유입되면 형산강 오염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등 하천의 자정능력마저 떨어진다. 특히 상류의 유량조절 기능이 거의 없어, 갈수기에 하천 유지수 확보가 어렵다. 따라서 형산강 중·상류지역에 위치한 호소 및 저수지에서 경주 및 포항시의 효율적인 상수원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형산강평야(兄山江平野)[편집]

  • 경북 경주시와 영일만(迎日灣) 사이의 형산강 유역 일대에 형성된 충적평야이다. 형산강은 경주시와 안강읍 사이의 형산강지구대(地溝帶)를 관류하므로 평야는 좁고 길게 전개되어 있으나, 동해안 일대에서 중요한 농업지역을 이루며 쌀 ·보리 ·콩 등을 산출한다. 또 지대가 낮아 예로부터 교통로로 이용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7번 국도와 동해남부선이 개통되어 선로 연변은 더욱 활기를 띤다. 형산강 하구 일대에 형성된 삼각주는 포항시의 일부로 조성되었으며 특히 제철동(製鐵洞)을 중심한 지역에는 포항종합제철을 비롯한 연관공업단지가 있다.

형산강교(兄山江橋)[편집]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사방리에 있는 다리이다. 20번 국도의 일부인 건천포항산업도로 구간에 있는 다리로, 2003년 경주시 서부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형산강(兄山江) 위에 건립되었다. 길이 350m, 너비 20m이며 7경간(徑間)에 최대 경간길이 30m이다.
  • 상부구조는 강상자형교(STB), 하부구조는 구주식 교각(RP)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서쪽으로 말구불터널·경주터널·건천터널을 통과하면 경부고속도로 교차로인 건천나들목이 나오며, 동쪽으로 북경주교차로를 지나 강동터널을 통과하면 포항철강산업단지로 이어진다.

형산강지구대(兄山江地溝帶)[편집]

  • 경북 포항시에서 경주시를 거쳐 울산에 이르는 지구대이다. 형산강 지구대는 동쪽에는 토함산지루(吐含山地壘), 서쪽에는 태백산맥의 여맥이 뻗는다. 지질상으로는 제3기층의 지구대를 이루나 오랜 침식을 받아서 지형상으로는 삭박(削剝) ·침식 ·선상지 등의 형성에 의하여 지구대로서의 특징이 뚜렷하지 않다. 토함산맥은 장기(長鬐)반도에서 최고봉인 토함산(745 m)과 무룡산(舞龍山)을 거쳐 울기곶(蔚崎串)에 이르며, 대표적인 화강암층을 이룬다. 서부의 태백산맥의 여맥은 경주와 영천을 연결하는 지역이 희미한 지구대 모양을 하는 저지에 의하여 무릉산(武陵山)·구미산(龜尾山)을 잇는 지루와 경주의 남쪽에 형성된 단석산(斷石山)·남산(南山)·금오산(金鰲山) 등을 포함하는 지루로 나누어진다.
  • 형산강 지구대에는 대체로 동해 남부선의 입실(入室)역 부근을 분수령으로 하여 북류하는 형산강과 남류하는 동천(東川) 유역으로 나뉜다. 형산강 하구에는 비교적 규모가 큰 형산강 삼각주가 형성되어 있으며, 동천의 하구에는 태화강(太和江)과 합류하여 규모가 큰 울산만 삼각주가 발달하였으나 간척지로 개발되었다. 또 이곳에 각각 포항시 ·울산시가 발달하였고, 중간에 경주시가 발달하였다.

경주평야(慶州平野)[편집]

  • 경북 형산강(兄山江) 상류지역에 발달한 평야이다. 면적 43km2. 경주분지에 자리잡고 있다. 토양은 형산강의 충적물로 덮여 있어 비옥하며 관개수리가 잘 되어, 형산강 평야와 함께 경북의 주요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다. 특히 경주미(慶州米)는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평야 일대에는 신라 1,000년의 옛 수도 경주를 비롯하여 신라문화의 유적이 많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형산강(兄山江)〉, 《두산백과》
  2. 형산강〉, 《나무위키》
  3. 형산강〉, 《위키백과》
  4. 형산강(兄山江)〉,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형산강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