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호도반도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호도반도

호도반도(虎島半島)는 함경남도 원산만(영흥만) 안에 있는 송전만을 둘러싸고 있는 반도이다.

개요[편집]

  • 호도반도는 북한 함경남도 영흥군(현 금야군) 동쪽에 있는 반도이다. 호도(虎島,범섬)라는 섬이었으나 사취(沙嘴,새부리 모양의 모래등/모래둑)가 발달하면서 육지가 이어져 반도가 되었다. 강원도 원산시갈마반도와 함께 감싸고 있는 반도이다. 길이가 20km로 갈마반도보다는 8km 정도 더 길다. 그러나 관광지구인 갈마반도에 비해서 기본적인 인프라는 매우 떨어진다. 구글맵스로 보면 간척지와 논밖에 없으며, 반도 오른쪽에는 길게 드리워진 백사장이 있다. 지형은 크고 작은 섬들을 반도 사이로 끼고 있다.[1]
  • 호도반도함경남도 동해에 돌출한 동한만(東韓灣)과 영흥만(永興灣)을 나누는 반도이다. 길이 약 20㎞. 북쪽은 영흥군의 고령면, 동쪽은 동한만, 서쪽은 송전만(松田灣), 남쪽은 영흥만에 면하여 있다. 또한, 반도의 앞바다에는 사도(沙島)·소달이도(小達伊島)·대달이도(大達伊島) 등 많은 섬들이 분포되어 있다. 이 반도는 북쪽의 함흥평야와 북서쪽의 영흥평야로 이어져 대부분 평야지대를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농산물은 반도의 서쪽에 위치한 고원에 집산된다. 고원은 함경선(咸鏡線)과 평원선(平元線)의 교차지점에 발달한 교통도시이고, 흑연의 산지이기도 하다.[2]
  • 호도반도는 함남 영흥군(현 금야군) 호도면(虎島面)을 이루는 반도이다. 영흥만(永興灣)의 북쪽 반에 해당하는 송전만(松田灣)의 동쪽을 가로막고 있다. 원래는 송전만의 외해를 막는 호도(虎島)라는 섬이었으나 북한해류가 남류하면서 동해로 돌출한 삼봉산(三峰山)의 해안 언덕을 깎아 호도의 북쪽에 사주(砂洲)를 이루었다. 북한해류가 호도 북쪽에 토사(土砂)를 퇴적시키면서 북쪽에서부터 상포(上浦) ·하포(下浦) ·신장지(新獐池) ·구장지(舊獐池) ·두무포(斗武浦) 등의 석호(潟湖)를 남겼다. 동해안에는 10∼20m가량의 높은 해안 사구(砂丘)가 형성되었으며, 사구 후면의 배후 습지에는 석호가 발달하여 습지와 논이 교착되어 있다. 해안사구는 남북으로 약 25km가량이나 연속되며, 호도반도의 북단에 소응진리(巢鷹津里)가 위치한다. 호도반도의 남단은 대강곶(大江串)이라 일컬으며, 부근에는 해식애(海蝕崖)가 발달하였으며, 그 앞바다에는 여도(麗島) ·웅도(熊島) ·모도(茅島) ·신도(薪島) 등의 여러 이 있다. 이들 섬에 가까운 광도(廣島)에는 광도 등대가 있고, 호도반도의 서쪽 해안에는 외해의 파도를 피하여 장구억항(長九億港)이 있다. [3]

반도의 기준[편집]

  • 반도(半島, peninsula)는 육지 또는 대륙으로부터 돌출하여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을 말한다. 삼면이 바다로 싸여 있는 반도는 성인(成因)에 따라 대규모의 지반운동 즉, 단층(斷層)이나 습곡운동(褶曲運動)에 의하여 형성된 것과 산지의 말단부가 침수되면서 익곡(溺谷)과 익곡 사이의 돌출부가 남은 것, 그리고 연안의 모래톱이 성장하면서 형성된 것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반도는 대륙과 해양을 연결해주는 육교의 역할을 하며, 대륙과 해양으로 진출하는 데 유리하다. 반도 국가인 한국은 일찍이 대륙의 문화를 받아들여 일본에 전파시켰고, 때로는 대륙과 해양 양쪽에서 침입을 받기도 하였다. 한국이 임해공업과 원양어업을 진흥시키고, 해외무역에 주력할 수 있게 된 것도 반도적 위치가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한반도의 반도로 옹진반도·태안반도·변산반도·해제반도·화원반도·해남반도·장흥반도·고흥반도·여수반도·고성반도 등을 들 수 있다. 동해안에는 지반의 융기에 의하여 형성된 장기반도와 모래톱이 성장하면서 형성된 호도반도·갈마반도 등이 있다.
  • 세계에서 가장 큰 반도는 서남아시아에 있는 아라비아반도다. 면적은 약 320만㎢로, 한반도의 14.5배다. 1만 년 전에는 푸른 땅이었다고 하나 지금의 아라비아반도는 대부분이 사막기후대로 매우 건조한 지역이다. 사람이 살기에는 척박하지만, 이슬람의 발상지로 이슬람문화가 발달했다. 석유가 발견되면서 부유해진 국가들도 많다. 아라비아반도의 80%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영토다.

호도반도의 지형[편집]

  • 함경남도의 남동쪽 금야군의 원평리에서 송전만을 형성하면서 원산 앞 바다로 멀리 뻗어나간 반도. 호도리가 있어 호도반도라 한다.
  • 함경남도 금야군의 남동부에 있는 반도이며 길이 17km이고 최대너비 4km이며 최소너비 0.4km이다. 섬과 뭍 사이가 모랫둑에 의해 이어지면서 생겼다. 해안선은 단조로우며 북부에 신장리지 등 석호가 있고 서쪽 송전만에는 소제도, 큰구비섬 등이 있다. 바닷가에는 모래언덕들이 분포되어 있으며 여기서 소나무와 해당화가 많이 자라 경치가 아름답다. 앞바다에는 자연굴보호구가 있다.

육계도 지형의 호도반도[편집]

  • 섬과 육지 사이의 얕은 바다에 모래가 퇴적하여 사주를 만들어 연결되면, 이러한 섬을 육계도라 한다. 일반적으로 육지 근처에 섬이 있을 때에는 육지와 섬 사이의 바다가 얕아서, 연안류(沿岸流)에 의해 운반된 모래가 거기에 퇴적하여 사주를 만들고 육지와 섬을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사주를 육계사주(tombolo)라 하는데, 하나의 사주로 연결되는 경우와 2개의 사주(2중 톰볼로)로 연결되는 경우가 있다. 한국에서는 동해안의 호도반도(虎島半島) ·갈마반도(葛麻半島) 및 제주의 성산 일출봉이 그 좋은 예이다.

호도반도의 생태환경[편집]

  • 낭림산맥(狼林山脈)의 여맥(餘脈)이 뻗어 있어 북부와 서부지역이 약간 높으나, 동부지역으로 갈수록 낮아져 대부분 평탄한 평야지대로 되어 있다. 북서쪽에 정암산(514m)·덕화봉(367m)·원각산(799m)·칠대봉(892m) 등의 낮은 들이 솟아 있다. 군의 중심부를 금야강(金野江, 용흥강)이 남동 방향으로 흐르고, 남부에는 덕지강(德池江)이 강원도 천내군과의 경계를 이루며 동해로 흘러든다. 동부 해안지역에는 학포·범포를 비롯한 호수들이 있다.
  • 호도반도 안쪽의 송정만 해안은 굴곡이 심하여 모래부리와 모래언덕이 발달하였다. 앞바다에는 대제도·소제도·솔섬·모래섬 등 여러 개의 섬들이 흩어져 있다. 기반암은 주로 시생대편마암과 중생대화강암이고, 제3기층에 역암·사암·나회암·분사암 등이 반점상으로 분포되어 있다. 토양은 산지대는 주로 갈색산림토이고, 평지대는 논토양과 충적토이다.
  • 주로 소나무림이고, 참나무·다릅나무·물푸레나무·단풍나무 등도 있다. 독구미리지역에는 감나무숲과 참대숲이 있다. 청백리에 수령 400년 이상의 청백향나무와 동흥리에 수령 1,480년으로 추정되는 은행나무가 있는데, 모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주도에서만 자라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민눈양지꽃이 있다. 원평리와 호도반도에는 두루미가 날아온다.
  • 넓은 금야평야와 유리한 해안조건 그리고 풍부한 지하자원을 보유한 금야군은 농업을 중심으로 수산업과 광공업이 발달하였다. 지하자원으로는 갈탄·흑연·사금·규조토 등이 있으며, 금야청년탄광·흑연광산·사금사업소 등에서 채굴·생산되고 있다. 금야견직공장을 비롯하여 식료·직물·가구·농기계·피복·제지·수산물가공 등 소규모 지방공장들이 있다. 교통망으로는 평라선(평양∼나진) 철도가 통과하고, 함흥·원산·요덕으로 통하는 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호도반도자연굴보호구(虎島半島自然窟保護區)[편집]

  • 함경남도 금야군과 강원도 문천시 앞바다의 송전만 수역을 차지하는 수산자원보호구이다. 호도반도는 송전만 동부에서 남쪽으로 뻗은 반도인데, 그 길이는 17km이고 너비는 넓은 곳이 4km, 좁은 곳이 0.4km이다.
  • 보호구에는 여러 종류의 굴이 서식하고 있으며, 특히 참굴이 많다. 참굴은 5월 초순부터 7월 초순까지 사이에 바닷물에 직접 알을 낳는다. 참굴이 알을 낳는데 가장 적합한 수온은 22.5~27℃이다. 호도반도 앞바다는 참굴이 먹고사는 뜬살이가 많다. 호도반도자연굴보호구에서는 굴을 적극 보호하고 수하식(垂下)양식과 투석식양식 등 여러 가지 굴양식방법으로 굴을 많이 번식시키고 있다.

송전만(松田灣)[편집]

  • 함경남도의 남동쪽 금야군 호도반도의 남시각 주항말에 이르는 사이에 있는 만이다. 만기슭에 금야군·고원군, 강원도 천내군, 문천시에 잇닿아 있다.
  • 영흥군의 호도반도(虎島半島)가 동쪽을 막고, 문천군의 송전반도가 서쪽에서 돌출하여 만구 약 10㎞를 형성한다. 만내에는 대저도(大猪島)·소저도(小猪島)·신도(薪島) 등의 섬이 있으며, 용흥평야를 관류하는 용흥강(龍興江)·전탄강(箭灘江)·덕지강(德池江)·영포천(永浦川) 등이 흘러들어 많은 퇴적물을 형성하였고,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어 어족이 풍부하고 굴 양식이 성하다.
  • 호도반도의 형성은 송전만의 외해를 막는 곳에 호도가 있었는데, 북한해류가 남류하면서 동으로 뻗어 나온 삼봉산의 해안을 깎아 사주를 길게 형성하여 20㎞에 이르는 반도를 형성하였다. 즉, 북한해류는 호도의 북쪽에 토사를 퇴적시키면서 상포(上浦)·하포(下浦)·신장지(新獐池)·구장지(舊獐池)·두무포(斗武浦) 등의 석호(潟湖 : 바다 일부가 外海와 분리되어 생긴 호소)를 형성하였다.
  • 반도 남쪽 끝 대강곶(大江串)은 해식애(海蝕崖)가 발달하여 있다. 만의 입구 동안에는 외해의 파도를 피할 수 있는 장구억항(長九億港)이 있다. 영흥만에 비하여 수심이 8m 이하로 얕으며 간만의 차는 90㎝ 전후이다. 특히, 용흥강과 덕지강에는 연어가 많이 잡힌다. 연평균기온 10.6℃, 1월 평균기온 -4.5℃, 8월 평균기온 24.3℃, 연 강수량 1,055㎜이다. 주요 수산물은 명태·정어리·고등어·연어·대구·굴 등인데 북쪽 소응진(巢鷹津)은 어장으로 유명하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호도반도〉, 《나무위키》
  2. 호도반도(虎島半島)〉,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호도반도(虎島半島)〉, 《두산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호도반도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