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0번째 줄: 20번째 줄:
 
HTTPS 연결을 허용하기에 클라이언트는 본인이 접속하는 서버가 신뢰할만한 서버인지 확인을 해야 하는 데 이 신원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제3자의 입장인 인증기관(Certificate Authority)을 필요로 한다. HTTPS를 연결하기에 서버의 관리자는 [[공개키]]와 [[개인키]]를 만들고 신뢰할만한 인증 기간에 비용을 지불하고 공개키를 맡긴다. 인증기관은 암호화된 서버의 공개키를 다른 클라이언트와 서버에게 제공 하고 암호화된 공개키를 받은 서버는 해당 클라이언트에 이를 전달한다. 클라이언트는 인증기관을 통해 인증서 리스트를 탐색하게 되고 인증기관의 이름이 같게 되면 해당 인증기관은 공개키를 얻게 된다. 얻은 데이터를 본인만의 개인 키로 복호화한 후 정보를 받게된다.<ref>정아마추어 JEONG_AMATEUR, 〈[https://jeong-pro.tistory.com/89 Http와 Https 이해와 차이점 그리고 오해(?)]〉, 《티스토리》, 2017-11-5</ref> HTTPS HTTPS 암호화 기술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HTTPS 연결을 허용하기에 클라이언트는 본인이 접속하는 서버가 신뢰할만한 서버인지 확인을 해야 하는 데 이 신원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제3자의 입장인 인증기관(Certificate Authority)을 필요로 한다. HTTPS를 연결하기에 서버의 관리자는 [[공개키]]와 [[개인키]]를 만들고 신뢰할만한 인증 기간에 비용을 지불하고 공개키를 맡긴다. 인증기관은 암호화된 서버의 공개키를 다른 클라이언트와 서버에게 제공 하고 암호화된 공개키를 받은 서버는 해당 클라이언트에 이를 전달한다. 클라이언트는 인증기관을 통해 인증서 리스트를 탐색하게 되고 인증기관의 이름이 같게 되면 해당 인증기관은 공개키를 얻게 된다. 얻은 데이터를 본인만의 개인 키로 복호화한 후 정보를 받게된다.<ref>정아마추어 JEONG_AMATEUR, 〈[https://jeong-pro.tistory.com/89 Http와 Https 이해와 차이점 그리고 오해(?)]〉, 《티스토리》, 2017-11-5</ref> HTTPS HTTPS 암호화 기술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파일:공개키암호화.png|400픽셀|섬네일|오른쪽|공개키 암호화 과정]]
+
[[파일:공개키암호화.png|400픽셀|섬네일|오른쪽|설명]]
  
 
* '''기밀성''' :  프라이버시로서, 인증되지 않은 제3자가 정보를 읽지 못하도록 정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 과정에서 듣거나 볼 수 있는, 보통 평문이라고 하는 읽을 수 있는 정보 형식을 암호문이라고 하는 뒤죽박죽 읽을 수 없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거친다. 이 과정을 암호화라고 한다. 암호문을 다시 읽을 수 있는 평문으로 전환하는 반대의 과정을 복호화라고 한다. 정보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방법에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공통된 공개키를 가지는 대칭키 암호화 방식, 인코딩과 디코딩이 다른(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데 사용되는 키가 다름을 의미) 공개키 암호화 방식 등이 존재한다.<ref NAME= "SM">Vladislav Denishev, 〈[https://webactually.com/2018/11/http%EC%97%90%EC%84%9C-https%EB%A1%9C-%EC%A0%84%ED%99%98%ED%95%98%EA%B8%B0-%EC%9C%84%ED%95%9C-%EC%99%84%EB%B2%BD-%EA%B0%80%EC%9D%B4%EB%93%9C/ HTTP에서 HTTPS로 전환하기 위한 완벽 가이드]〉, 《웹엑추얼리》, 2018-11-13</ref> 그렇기 때문에 암호화를 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보호한다.
 
* '''기밀성''' :  프라이버시로서, 인증되지 않은 제3자가 정보를 읽지 못하도록 정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 과정에서 듣거나 볼 수 있는, 보통 평문이라고 하는 읽을 수 있는 정보 형식을 암호문이라고 하는 뒤죽박죽 읽을 수 없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거친다. 이 과정을 암호화라고 한다. 암호문을 다시 읽을 수 있는 평문으로 전환하는 반대의 과정을 복호화라고 한다. 정보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방법에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공통된 공개키를 가지는 대칭키 암호화 방식, 인코딩과 디코딩이 다른(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데 사용되는 키가 다름을 의미) 공개키 암호화 방식 등이 존재한다.<ref NAME= "SM">Vladislav Denishev, 〈[https://webactually.com/2018/11/http%EC%97%90%EC%84%9C-https%EB%A1%9C-%EC%A0%84%ED%99%98%ED%95%98%EA%B8%B0-%EC%9C%84%ED%95%9C-%EC%99%84%EB%B2%BD-%EA%B0%80%EC%9D%B4%EB%93%9C/ HTTP에서 HTTPS로 전환하기 위한 완벽 가이드]〉, 《웹엑추얼리》, 2018-11-13</ref> 그렇기 때문에 암호화를 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보호한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