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HTTPS는 기존 [[HTTP]]에 비해 [[보안성]]을 강화한 [[프로토콜]]이다. HTTPS는 통신의 인증과 암호화를 위해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Netscape Communications)는 1994년에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 웹브라우저를 위해 HTTPS를 개발하였다. 원래 HTTPS는 SSL 프로토콜과 함께 사용되었다. SSL이 TLS으로 발전한 시기인 2000년 5월, HTTPS는 공식적으로 RFC 2818에 규정되었다. [[전자상거래]]와 클라이언트-서버 간 의 정보교환 시에 자주 쓰이며 암호화 프로토콜인 [[SSL]] 이나 [[TL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주고받는다. 일반적으로 HTTP 프로토콜의 문제점은 서버에서부터 브라우저로 전송되는 정보가 암호화되지 않고 전송이 된다는 것이었다. 즉, 데이터가 쉽게 도난당할 수 있다는 것이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HTTPS 프로토콜에 SSL을 사용함으로써 등장하게 되었다. 인터넷 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네트워크상에서 발생하는 전자상거래, 은행 기관인증, 개인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는 타인이 쉽게 접근할 경우에는 해킹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암호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되었다. 한편, 네이버나 구글에 접속하여 URL을 보면 왼쪽에 자물쇠 모양이 있는데 이는 HTTPS로 암호화 된 상태를 의미한다.
+
HTTPS는 기존 [[HTTP]]에 비해 [[보안성]]을 강화한 [[프로토콜]]이다. HTTPS는 통신의 인증과 암호화를 위해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Netscape Communications)는 1994년에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 웹브라우저를 위해 HTTPS를 개발하였다. 원래 HTTPS는 SSL 프로토콜과 함께 사용되었다. SSL이 TLS으로 발전한 시기인 2000년 5월, HTTPS는 공식적으로 RFC 2818에 규정되었다. [[전자상거래]]와 클라이언트-서버 간 의 정보교환 시에 자주 쓰이며 암호화 프로토콜인 [[SSL]] 이나 [[TL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주고받는다. 일반적으로 HTTP 프로토콜의 문제점은 서버에서부터 브라우저로 전송되는 정보가 암호화되지 않고 전송이 된다는 것이었다. 즉, 데이터가 쉽게 도난당할 수 있다는 것이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HTTPS 프로토콜에 SSL을 사용함으로써 등장하게 되었다. 인터넷 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네트워크상에서 발생하는 전자상거래, 은행 기관인증, 개인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는 타인이 쉽게 접근할 경우에는 해킹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암호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되었다. 한편, 네이버나 구글에 접속하여 URL을 보면 왼쪽에 자물쇠 모양이 있는데 이는 HTTPS로 암호화 된 상태를 의미한다.
  
 
현재 HTTP/1.1을 대부분 사용 중이지만 구글 계열의 사이트는 HTTP/2와 HTTP/1.1을 동시에 지원하며 점진적으로 HTTP/2로 바뀌는 추세이다. HTTP/2는 HTTPS 연결에서만 작동하며, HTTP 연결일 경우에는 브라우저와 서버에서 HTTP/2를 지원하더라도 HTTP/1.1로 연결된다. HTTP/2는 [[구글]]이 발표한 비표준 개방형 네트워크 프로토콜인 SPDY 기술을 기반으로 했는데, HTTP/3에도 구글이 발표한 QUIC(Quick UDP Internet Connections) 프로토콜 기술이 적용된다. HTTP/2까지는 TCP 연결을 기반으로 하는데, HTTP over QUIC(HTTP/3)은 UDP 연결을 기반으로 한다.<ref>HTTP 나무위키 - https://namu.wiki/w/HTTP</ref> 인터넷에서 일어나는 금융거래 및 전자상거래, 데이터 정보의 통신프로토콜의 발달로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중요해짐에 따라서, 구글 크롬과 같은 웹브라우저들은 HTTP 웹사이트를 위험성이 있다고 경고문을 표시하고 있다. 국내기업 중 네이버㈜와 다음이 TTPS를 점차 확대하고있다.
 
현재 HTTP/1.1을 대부분 사용 중이지만 구글 계열의 사이트는 HTTP/2와 HTTP/1.1을 동시에 지원하며 점진적으로 HTTP/2로 바뀌는 추세이다. HTTP/2는 HTTPS 연결에서만 작동하며, HTTP 연결일 경우에는 브라우저와 서버에서 HTTP/2를 지원하더라도 HTTP/1.1로 연결된다. HTTP/2는 [[구글]]이 발표한 비표준 개방형 네트워크 프로토콜인 SPDY 기술을 기반으로 했는데, HTTP/3에도 구글이 발표한 QUIC(Quick UDP Internet Connections) 프로토콜 기술이 적용된다. HTTP/2까지는 TCP 연결을 기반으로 하는데, HTTP over QUIC(HTTP/3)은 UDP 연결을 기반으로 한다.<ref>HTTP 나무위키 - https://namu.wiki/w/HTTP</ref> 인터넷에서 일어나는 금융거래 및 전자상거래, 데이터 정보의 통신프로토콜의 발달로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중요해짐에 따라서, 구글 크롬과 같은 웹브라우저들은 HTTP 웹사이트를 위험성이 있다고 경고문을 표시하고 있다. 국내기업 중 네이버㈜와 다음이 TTPS를 점차 확대하고있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