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인터넷

해시넷
Asadal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5월 25일 (수) 08:43 판 (110.70.51.180(토론)의 편집을 Asadal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터넷(internet)이란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망이다. TCP/IP 통신 규약을 이용해 각종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다.

개요

인터넷은 여러 통신망을 하나로 연결한다는 의미의 ‘인터 네트워크(Inter-Network)’라는 말에서 시작되었고, 전 세계 컴퓨터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을 의미한다.[1] 인터넷은 클라이언트서버로 구성되고, TCP/IP라는 기본 프로토콜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여러 컴퓨터가 각각 클라이언트와 서버로써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망을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라고 한다. 인터넷은 컴퓨터 네트워크가 전 세계적인 규모로 수없이 많이 모여서 이루어진 일종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즉, 인터넷이란 수많은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서버 컴퓨터, 그리고 이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들의 집합체이다.[1]

역사

특징

유닉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고, 서로 동시에 참여할 수 있는 쌍방향 통신을 제공한다. 컴퓨터는 저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망과 컴퓨터가 있는 곳이라면, 시간과 장소에 제약받지 않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초기 인터넷에서는 텍스트로만 통신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음성,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고유한 IP를 가지고 있다.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브릿지, 라우터, 게이트웨이가 사용된다. 다른 네트워크 또는 같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그 중추적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로, 보통 인터넷의 주가 되는 기간망을 일컫는 용어를 백본(Backbone)이라고 한다. 인터넷은 직업이나 지위, 직책, 나이, 인종 등 서로 알 수 없는 익명성을 제공한다.[1][2]

구성

수많은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이루어진 인터넷 시스템과 사용자가 요청하는 웹 페이지나 실행된 파일과 그 결과를 전달하는 웹 서버, 웹 서버에서 웹 페이지를 가지고 오고자 할 때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로 이루어져있다.[3]

인터넷 시스템

서버(Server)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나 컴퓨터를 의미하고 웹 시스템에서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를 사용하여 방문하는 웹 사이트의 정보를 담고 있는 프로그램이나 컴퓨터를 웹 서버(Web Server)라고 부른다. 클라이언트(Client)는 서버가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나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웹 시스템에서는 여러 웹 사이트를 방문하기 위해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3]

웹 서버

웹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웹 페이지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파일이나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요청하면 언제나 웹 서비스를 제공해 주어야하기 때문에 웹 서버는 항상 실행되어 있어야 한다.[3] 웹 서버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혹은 두 개가 같이 동작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웹 서버는 웹 서버의 소프트웨어와 웹 사이트의 컴포넌트 파일 등을 저장하는 컴퓨터이다. 웹에 연결된 다른 기기들이 웹 서버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소프트웨어의 측면에서 웹 서버는 기본적으로 웹 사용자가 어떻게 호스트 파일들에 접근하는지를 관리한다. 웹 사이트를 공개하기 위해서 정적 혹은 동적 웹 서버가 필요하다. 정적 웹 서버는 HTTP 서버가 있는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서버가 불린 파일을 브라우저에 전송하기 때문에, 정적이라 부르고, 동적 웹 서버는 정적 웹 서버와 추가적인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HTTP 서버를 통해 브라우저에 불린 파일들을 전송하기 전에,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업데이트하기 때문에, 동적이라고 불린다.[4]

웹 브라우저

웹 서버에서 웹 페이지를 가져오거나 웹 서버로 정보를 보낼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즉, 인터넷망에서 정보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웹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요청하면, 웹 서버에 저장된 웹 페이지 정보를 불러와 사용자의 화면에 출력한다. 대표적인 웹 브라우저로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구글 크롬(Google Chrome), 파이어폭스(Firefox) ,사파리(Safari) 등이 있다.[3]

  • 인터넷 익스플로러: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브라우저로, 윈도95 운영체제의 부가 프로그램으로 제공되었다. 다른 웹 브라우저보다 속도가 느리다는 점과 액티브X로 인한 보안의 취약성 때문에 외면받기 시작했다.[5]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엣지로 전환한다는 전략을 발표했다. 이미 유튜브, 트위터, 야후 등 천 개가 넘는 웹 사이트들이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한 접근을 불허하고 있다.[6]
  • 크롬: 구글에서 만든 브라우저로, 간단하고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현존하는 다른 웹 브라우저들에 비해 나은 안정성과 속도, 그리고 보안성을 갖는 것을 목표로 한다. 크롬(Chrome)이란 뜻은 원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창틀을 가리키는데, 여기서는 브라우저 틀 영역을 가리키며, 이 영역을 최소화하자는 목표로 크롬이라는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7]
  • 파이어폭스: 모질라 재단에서 개발한 보안이 매우 강력하다고 알려진 브라우저이다. 대다수의 리눅스에서 기본 웹브라우저로 선택할 만큼 신뢰도가 높다. 하지만 램(RAM)을 많이 사용한다. 보안성이 뛰어난 크롬에서는 불가능한 가상 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 VPN)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파이어폭스 모니터라는 추가 기능으로 이메일을 입력하면 개인정보가 유출된 곳이 있는지 알려준다. 이메일을 등록하면 어떤 사이트에서 어떠한 내용이 유출되었는지도 알려준다.[8]

용어

  • 이더넷: 랜(LAN) 환경에서 인터넷을 구성하는 방식이다. 집이나 학교에서 컴퓨터를 설치하면 인터넷 선이라고 하는 것이 랜(LAN)선이고, 케이블로 직접 연결해 구성하는 네트워크를 이더넷(Ethernet)이라 한다. 이 랜(LAN) 기술이 발전해 나온 것이 근거리 무선통신인 와이파이(WiFi) 이다. 와이파이는 공유기와 가까이에서만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공유기는 랜으로 연결되어 있어, 케이블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다.[9]
  • 처리량: 네트워크 경로를 따라 두 프로세스 간의 통신 세션에서 송신 프로세스가 수신 프로세스로 비트를 전달할 수 있는 비율을 뜻한다. 쉽게 말해 인터넷으로 내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에 데이터를 보내면, 데이터가 비트로 이루어져 일정 시간에 얼마나 많은 비트를 보낼 수 있고, 그것을 받아서 처리할 수 있는지 즉, 인터넷 속도가 빠른지에 대한 것이다.[9]
  • 포트 번호: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이나 사용자 데이터 그램 프로토콜(UDP)에서 상호 구분을 위해 사용하는 번호이다. 인터넷 프로토콜(IP) 내에서 프로세스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9] 잘 알려진 포트는 0부터 1023까지이고, 등록된 포트는 1024부터 49151까지, 동적 또는 개인 포트는 49152부터 65535까지이다.
  • 호스트: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들과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를 말한다. 호스트는 특정한 호스트 번호를 갖는데, 네트워크 번호와 합해져 고유의 IP 주소를 이루게 된다.[10] 네트워크 내에서 1 이상의 인터페이스 주소(IPv4 주소, IPv6 주소 등)를 갖고, 이러한 주소를 통해 호스트가 식별 및 확인이 된다. 호스트는 호스트 간의 연결과 호스트 및 주변기기 간의 연결 등이 있고, 호스트 대 호스트는 점대점 링크(PTP), 단대단(E2E), 동배간(P2P) 등으로 연결할 수 있다.[11]
  • 종단 시스템: 웹 브라우저 혹은 이메일 검색 프로그램과 같이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을 호스팅하기 때문에 호스트(host)와 거의 같은 개념이고, 인터넷에 연결되는 컴퓨터나 다른 장치들을 이르는 말이다.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통신할 때, 이 두 컴퓨터는 끝과 끝이 있고, 그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때문에 종단 시스템(End System)이다.[9][12]

인터넷으로 연결된 사용자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인터넷은 국경을 넘어 서로 얽혀있다는 점에서는 웹과 다르지 않지만, 인터넷은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 통신을 주고받는 컴퓨터끼리의 네트워크를 말하고, 웹은 그 인터넷상에 정보가 얽혀 있는 무형의 정보 네트워크를 말한다. 따라서 인터넷과 웹은 같지 않다. 웹은 인터넷상에서 문서, 소리, 그림, 영상 등과 같은 정보를 하이퍼텍스트 방식으로 연결하여 제공한다. HTML 언어를 사용하여 누구나 문서를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문서에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누구나 검색하고 접근할 수 있다. HTML 언어를 이용하여 만든 사이트를 웹 페이지(Web Page)라 부르고, 이러한 페이지들의 집합체를 웹 사이트(Web Site)라고 한다.[13][14]

주소 체계

프로토콜

컴퓨터끼리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일종의 규칙을 의미한다. 컴퓨터끼리 정보를 교환할 때 데이터의 형식이나 통신 순서 등을 미리 일치시켜야 통신이 가능한데, 이때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미리 만들어둔 네트워크 통신 규약을 프로토콜(Protocol)이라 한다. 대표적인 프로토콜에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인터넷 프로토콜(Internt Protocol, IP)과 웹에서 사용되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파일을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 FTP) 등이 있다.[15]

인터넷 주소

인터넷상에서 특정 컴퓨터나 서버를 찾기 위해 IP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와 도메인 네임(Domain Name) 이 두 가지 타입의 주소 중 하나를 알아야 한다. 인터넷상에는 많은 컴퓨터와 서버들이 연결되어 있다. 정확하게 인터넷 주소는 IP주소만을 의미하고, 도메인 네임은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서버에서 IP 주소로 자동으로 변환된다.

  • IP 주소: 많은 컴퓨터가 인터넷상에서 서로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용 번호가 IP 주소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IP 주소 체계는 IPv4(IP 버전4)로 0부터 255까지의 십진수 네 개를 점(.)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32비트의 주소체계인 IPv4는 이론상 약 43억 개의 주소를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급격한 인터넷의 발달로 IP주소가 부족해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128비트의 주소체계인 IPv6(IP 버전6)의 사용이 점점 증가하여 두 버전을 같이 쓰고 있다.
  • 도메인 네임: IP주소는 십진수 네 개로 구성되어 사람이 외우기 어렵다. 이 어려운 숫자 형태의 IP 주소를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문자 형태로 표현한 주소를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이라고 한다. 도메인 네임은 몇 개의 의미 있는 문자들과 점(.)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이런 도메인 네임은 네트워크상에서 각각 컴퓨터를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호스트 명이 된다.
  • 도메인 네임 시스템: 도메인 네임은 사람이 외우기 쉽게 만든 주소이다. 하지만 컴퓨터는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없다. 도메인 네임을 IP주소로 변경해주어야만 컴퓨터가 목적지를 제대로 찾아갈 수 있는데, 이때 미리 도메인 네임과 함께 해당하는 IP 주소 값을 한 쌍으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이라고 부르며, 이 변환 과정은 네트워크 내부에서 자동으로 수행된다.[15]

TCP/IP

데이터가 의도된 목적지에 닿을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통신 규약으로,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에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이 사용돼서 TCP/IP로 불린다.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이 데이터의 추적을, 인터넷 프로토콜(IP)이 배달을 처리한다고 보면 된다. 두 호스트가 교환하는 데이터와 승인 메시지의 형식을 정의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규약이다. 데이터 패킷의 일련의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데이터 손실을 찾아내서 교정하고, 순서를 재조합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컴퓨터와 컴퓨터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각 컴퓨터의 주소가 필요하다. 인터넷 프로토콜(IP)은 4바이트로 이루어진 컴퓨터 주소이고,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과 달리 데이터의 재조합이나 손실 여부 확인이 불가능해 단지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만 담당한다.[16]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통한 실제적인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고, 데이터 단위는 프레임(Frame)이다. 하드웨어로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MAC) 주소를 다루는 것뿐만 아니라, 데이터 패킷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게 준비해준다. 기본적으로 에러 검출과 패킷의 프레임화를 담당하고, 구성요소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하드웨어와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있다. 맥(MAC) 주소는 네트워크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르고, 일반적으로 서로 상호호환되지 않는다. 흔히 사용되는 이더넷(Ethernet)에서는 48비트의 물리 주소를 사용한다. 예시로는 맥(MAC), (LAN), 패킷망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더넷(Ethernet),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토큰 링(Token Ring) 등이 있다.[16][17][18]

인터넷 계층

네트워크 액세스의 도움을 받아서 전송 계층이 보낸 데이터를 종단 시스템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데이터 단위는 패킷이다. 네트워크 액세스와 마찬가지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인터넷 계층에서는 물리 주소를 사용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정의된 논리 주소인 IP 주소를 사용한다. IP 주소는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에서 사용하는 물리 주소와 상관없이 정의되고, 전 세계적인 유일성이 보장된다. 또한, 통신에 참여하는 종단 시스템을 유일하게 지정할 방법을 제공하지만,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전송 경로를 알아야 한다. 이 전송 경로를 알아내기 위한 작업이 라우팅이다. 예시로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결정 프로토콜(ARP),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역순 주소 결정 프로토콜(RARP), 최단 경로 우선 프로토콜(OSPF) 등이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은 비신뢰성, 비 연결지향 데이터 그램 프로토콜이다. 주소 결정 프로토콜(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은 주소 변환 프로토콜로, IP주소를 맥(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이다. 역순 주소 결정 프로토콜(Reverse ARP, RARP)은 주소 결정 프로토콜(ARP)과 반대로 맥(MAC) 주소로 IP주소를 찾는 프로토콜이다.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CMP)은 상태 진단 메시지 프로토콜로,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핑(ping)이다. 인터넷 그룹 메시지 프로토콜(Internet Group Message Protocol, IGMP)은 멀티캐스트용 프로토콜이다.[17][18][19]

전송 계층

최종적인 통신 목적지를 지정하고, 오류 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데이터 단위는 세그먼트(Segment)이다. 통신의 최종 목적지는 컴퓨터가 아닌 해당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전송 계층에서는 해당 프로세스를 지정하는 일종의 주소를 사용하는데, 이 주소는 포트 번호(port number)라고 한다. 통신 노드 간의 연결 제어와 자료 송수신을 담당하고,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세션과 데이터 그램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시로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사용자 데이터 그램 프로토콜(UDP),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 RTCP 등이 있다.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은 연결형 프로토콜로, 연결이 성공해야 통신이 가능하다. 데이터 경계를 구분하지 않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으로,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일대일 통신(unicast)을 한다.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은 비 연결형 프로토콜로, 연결 없이 통신이 가능하다. 데이터 경계를 구분하고, 비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으로, 데이터를 재전송하지 않는다. 일대일 통신(unicast)과 일대다 통신(broadcast), 다대다 통신(multicast)을 한다.[17][18]

응용 계층

응용 프로그램들이 네트워크 서비스, 메일 서비스, 웹 서비스 등을 할 수 있도록 표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20] 데이터 단위는 데이터(Data) 또는 메시지(Message)이고,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으로, 사용자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과 소통할 수 있게 해준다.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예시로는 파일 전송, 이메일,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 HTTP, 시큐어 셸(SSH), 텔넷(Telnet),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간이 우편 전송 프로토콜(SMTP) 등이 있다.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은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기반의 프로토콜로, 포트 번호 80번을 사용한다. 텔넷(Telnet)은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포트 번호 23번을 사용하고, 원격 터미널을 접속할 때 이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시큐어 셸(Secure Shell, SSH)은 비밀번호가 암호화되지 않아 그대로 노출되는 텔넷 같은 서비스는 보안에 취약한데, 이 취약점을 보완한 것이다. 포트 번호는 22번을 사용한다. 파일 전송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 FTP)은 파일을 받거나 올릴 때 신뢰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에서 동작하고, 2개의 포트를 사용한다. 포트 20번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용도로, 포트 21번은 제어용으로 사용한다. 간이 우편 전송 프로토콜(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MTP)는 메일 전송 프로토콜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상에서 동작한다. 포트는 25번을 사용한다. 포스트 오피스 프로토콜 (Post Office Protocol Version3, POP3)은 메일 수신용 프로토콜로, 아웃룩 같은 프로그램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동작한다. 포트 110번을 사용한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 DNS)은 도메인명에 대한 호스트 정보를 제공해준다. 기본적으로 사용자 데이터 그램 프로토콜(UDP)상에서 동작하고, 실패하면 중요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다시 한 번 요청하면 작동한다. 하지만 신뢰성이 필요할 경우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상에서도 동작한다. 데이터의 길이가 길 경우,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그램 프로토콜(UDP),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포트 53번을 사용한다.[17][19]

활용

사물인터넷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이다. 무선 통신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아 스스로 분석하고 학습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원격 조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사물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들은 인터넷 프로토콜(IP)을 가지고 인터넷으로 연결해야 한다.[21] 인천광역시는 농기계 사고로 인한 농업재해 예방을 위해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한 IoT 농기계 교통안전 및 사고 감지 알람 기술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사물인터넷 융합 기술을 이용하여 도로에 설치된 교통안전 표지판에 저속으로 주행하는 농기계의 접근 정보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며, 농기계가 전복 또는 추락 등의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농기계에 부착된 단말기가 사고를 감지하여 주변인에게 신속히 알리는 정보 전달의 역할을 해 사고 방지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한 농업의 4차 산업화 기술이다.[22]

각주

  1. 1.0 1.1 1.2 인터넷이란?〉, 《티씨피스쿨닷컴》
  2. 코딩팩토리, 〈(Web) 인터넷(Internet)이란 무엇인가?〉, 《티스토리》, 2019-04-15
  3. 3.0 3.1 3.2 3.3 인터넷의 구성 요소〉, 《TCP SCHOOL.COM》
  4. 웹 서버란 무엇일까?〉, 《MDN Web Docs》
  5. 카메라맨, 〈웹 브라우저란 무엇인가?〉, 《네이버 블로그》, 2012-02-07
  6. 문가용 기자,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예정된 수명이 다 되어간다〉, 《보안뉴스》, 2020-10-27
  7. 구글 크롬〉, 《위키백과》
  8. 시크 식크 〈웹브라우저 종류 및 웹브라우저 장점과 단점〉, 《티스토리》, 2020-04-10
  9. 9.0 9.1 9.2 9.3 (인터넷:원리) 인터넷이란 무엇일까?: 개요, 관련 용어들〉, 《티스토리》, 2018-10-26
  10. host; 호스트〉, 《텀즈》
  11. Host 호스트〉,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12. End System〉, 《위키피디아》
  13. heywon_park, 〈인터넷이란?〉, 《velog》, 2020-11-17
  14. paul90, 〈인터넷(Internet)과 웹(Web)〉, 《티스토리》, 2019-01-08
  15. 15.0 15.1 인터넷 주소 체계〉, 《TCP SCHOOL.COM》
  16. 16.0 16.1 rosewwross, 〈TCP/IP란〉, 《velog》, 2020-03-29
  17. 17.0 17.1 17.2 17.3 jehjong, 〈(개발자 인터뷰) TCP/IP 4계층〉, 《velog》, 2020-10-15
  18. 18.0 18.1 18.2 TCP/IP 프로토콜 구조〉, 《티스토리》, 2015-07-10
  19. 19.0 19.1 (네트워크) TCP/IP 계층 기본 개념(네트워크 계층, 인터넷 계층, 전송계층, 응용계층)〉, 《티스토리》, 2019-03-16
  20. RRRRR는세 〈(OSI 7계층, TCP/IP 4계층) 네트워크의 기본 계층 구조〉, 《티스토리》, 2018-12-17
  21. 사물인터넷〉, 《위키백과》
  22. 박미영 기자, 〈인천시, 사물인터넷 활용 농기계 사고 예방 추진〉, 《보안뉴스》, 2021-01-14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인터넷 문서는 인터넷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