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축치해

해시넷
Asadal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5월 4일 (목) 09:36 판 (지도)
이동: 둘러보기, 검색
축치해의 해빙
추크치해

추크치해(영어: Chukchi Sea, 러시아어: Чуко́тское мо́ре) 또는 축치해러시아의 축치 자치구와 미국의 알래스카주 사이에 위치한 바다이다. 베링해협을 연결하고 베링해로 통하는 관문이다. 축치해는 서쪽으로는 브란겔섬과 인접해 있고 동쪽으로는 보퍼트해에 접해 있다. 면적 58만 2000km². 수심 25∼50m, 축치해의 주요 항구는 우엘렌이다.[1]

개요

추크치해는 아시아북아메리카의 연안에 있는 북극해의 부속해이다. 추크치해는 50m 미만의 깊이가 전체 면적의 56%를 차지한다. 추크치해는 북극의 다른 바다에 비해 이 거의 없다. 브랑겔섬은 바다의 북서쪽 경계에 있고 헤럴드섬은 브랑겔섬의 북쪽 경계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시베리아와 알래스카 해안을 따라 몇 개의 작은 섬들이 있다. 러시아의 축치 자치구와 미국의 알래스카주는 날짜변경선이 지나가기 때문에 시차는 무려 21시간 차이가 난다. 추크치해는 겨울에는 결빙하고, 남부에서는 6월 중순부터 항행할 수 있으며 1년 중 4개월 정도만 항해할 수 있다. 바다표범과 바다코끼리가 서식하고 고래와 많은 바다새가 여름에 찾아온다. 연안의 주민은 어업과 순록사육에 종사한다.[2][3]

베링 해협

베링해협(Bering Strait)은 아시아 쪽의 데즈네프 곶과 북아메리카 쪽의 프린스오브웨일스 곶 사이의 해협이다. 폭은 85km, 깊이는 30-50m 가량 된다. 북쪽으로는 북극해의 일부인 축치해, 남쪽으로는 태평양의 일부인 베링해와 연결된다. 아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를 잇는 해협으로 아시아 측은 러시아가 점유하고 있으며 북아메리카 측은 미국령이다. 대륙과 대륙 사이이지만 지질학적으로는 안정된 지역이다. 판과 판을 기준으로는 베르호얀스크 산맥 동쪽의 러시아 극동은 북아메리카와 한 판에 속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깊이가 얕다. 해수면이 제일 낮았을 때 육지가 드러나 아시아와 북아메리카가 연결되었던 적이 있었다. 덴마크 출신의 러시아 탐험가 비투스 베링을 따라 이름 붙여졌다. 빙하 시대에 해수면이 낮아졌을 때는 베링 육교를 통해 아시아와 아메리카가 연결되어 동물들이 오갈 수 있었다. 아메리카 대륙에 처음으로 인류가 진출한 것도 이곳을 통해서였다. 10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는 심한 폭풍이 불며 바다는 평균 두께가 1.2~1.5m인 빙판으로 덮이고 한여름에도 얼음이 떠다닌다.

베링 해협은 미국러시아의 경계로, 베링 해협 한가운데에 있는 다이오메드 제도의 서쪽에 있는 대 다이오메드 섬은 러시아 땅, 동쪽에 있는 소 다이오메드 섬은 미국 땅이다. 두 섬 사이의 거리는 3.7km밖에 안 되지만, 두 섬 사이로 날짜변경선이 지나가기 때문에 시차는 무려 21시간 차이가 난다. 태평양(태평양 북부 베링 해)과 북극해를 나누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해협이며 군사력 1, 2위 국가인 미국과 러시아의 국경이 마주하는 해협이기에 정치, 군사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곳이다. 만일 제정 러시아 시절 러시아가 알래스카를 미국에 팔지 않아 소련 땅으로 편입되었다더라도 이 해협의 중요도는 떨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만약 북극항로가 개통된다면 그 중요도는 더욱 올라갈 것이다. 미국 측에서 거점으로 쓰이는 항구는 남쪽의 알류샨 열도 중 하나인 어널래스카 섬에 있는 더치 하버(Dutch Harbor)이며, 해협과의 중간에 위치한(베링 해에 있는) 세인트 폴 섬이 중간 보급처 역할을 한다. 러시아령은 (외국인의 경우) 따로 허가가 없으면 출입제한이 있는 지역이다. 지금도 중요한 해역이지만 지구 온난화가 진행됨에 따라 북극항로 개척 주장이 힘을 얻고 있는데 북극항로가 활성화될 경우 말라카 해협, 수에즈 운하와 함께 엄청나게 중요해지게 된다. 동아시아와 유럽 간 거리도 크게 단축되고 앞의 두 해역과 달리 추위로 인해 거점을 구축하기 힘들다는 점과 막강한 군사력을 자랑하는 미국과 러시아의 영토 사이에 있다는 점 때문에 해적이 창궐하기도 매우 어려운 환경이다.[4][5]

베링해

베링해(러시아어: Берингово море, 영어: Bering Sea)는 태평양의 북쪽 바다이다. 면적은 약 231만㎢ 베링 해협을 통해 북극해의 부속해 추크치해와 연결된다. 북쪽과 동쪽은 미국의 알래스카주, 서쪽은 러시아시베리아, 남쪽은 알래스카반도와 알류샨 열도로 둘러싸여 있다. 베링해는 아시아 대륙 최동단과 북아메리카 대륙 북서단 사이에 위치한 바다이다. 태평양 최북단에 위치한 연해로, 남쪽으로는 알류샨 열도가 베링해와 태평양 본바다를 구분한다. 서쪽 아시아 지역에는 러시아령 캄차카 반도와 추코트 반도, 동쪽 북아메리카에는 미국령 알래스카 본토 및 알래스카 반도가 이 바다를 둘러싸고 있다. 베링 해협을 경계로 북쪽은 북극해가 된다. 북서태평양 어장의 북쪽 한계이다. 베링해의 남서부에는 최대 수심 4,097m에 이르는 알류샨 해분(海盆)이 있어 대체로 깊으나 북동부에는 대규모의 대륙붕(大陸棚)이 발달해 있다. 또한, 겨울에는 유빙(流氷)이 많고 시베리아쪽은 한랭하기 때문에 아나디리만에서는 9월경에 결빙(結氷)하여 7월경 해빙된다. 그러나 알류샨 열도 중부에서는 1월경 결빙하여 3월경에 해빙한다. 더치하버와 키스카에서는 겨우 얼음을 볼 수 있는 정도로 사실상은 부동항(不凍港)을 이룬다. 바다에서는 연어, 송어, 게, 고래, 바다표범 등의 어획이 많고, 바다의 거의 중앙부를 날짜변경선이 통과하고 있다. 이 바다를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1648년 러시아의 S.I.주뇨네프였으나, 현재의 명칭은 1728년 이 곳을 항행한 러시아의 탐험가 비투스 베링에 연유하여 명명된 것이다. [6][7]

보퍼트해

보퍼트해(Beaufort Sea, 프랑스어: mer de Beaufort)는 캐나다의 노스웨스트 준주, 유콘 준주, 미국의 알래스카주의 북쪽, 북극 제도의 서쪽에 펼쳐진 북극해의 일부를 말한다. 보퍼트해의 이름은 수로 측량을 했던 영국 해군인 프랜시스 보퍼트에서 왔다. 보퍼트해는 일 년의 대부분이 얼음으로 덮여 있다.[8] 보퍼트해는 미국 알래스카주 북쪽 연안에 있는 바다이며 북극해의 연해(緣海)로, 대략 미국 알래스카주의 포인트 배로(Point Barrow)에서 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에 속하는 퀸엘리자베스 제도 서단의 프린스패트릭 섬의 랜즈엔드(Lands End)를 연결한 영역을 지칭한다. 표면적은 약 47만 6000㎢이며, 평균 수심은 1004m, 최대 수심은 4683m에 이른다. 고래와 바다새의 주요 서식지이며 석유천연가스 매장량이 풍부한 곳이기도 하다. 캐나다에서 가장 긴 매켄지강이 보퍼트해의 캐나다 지역으로 흘러간다. 8월부터 9월까지 해안 근처에서 100km(62mi)의 좁은 길만이 열렸지만, 최근 북극의 기후 변화로 인해 늦여름에 얼음이 없는 지역이 크게 확대되었다. 보퍼트해는 북극 해빙을 보충하는 중요한 저수지로 알려져 있다. 보퍼트해의 해안선은 툰드라로 덮여 있고 북미에서 북극곰의 육지 분포 범위의 북쪽 한계를 표시한다. 맥켄지강은 고래와 바닷새의 중요한 서식지이며 여전히 상업 교통의 손길이 닿지 않은 상태다.[9]

날짜변경선

날짜변경선(International Date Line)은 경도 180°를 기준으로 삼아 인위적으로 날짜를 구분하는 선이다. 날짜선, 국제 날짜 변경선, 일부변경선(日附變更線)이라고도 한다. 날짜변경선은 태평양의 거의 중앙부, 대략 경도 180° 선을 따라 남북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 선을 경계로 동쪽과 서쪽에서 날짜가 하루 달라진다. 지구의 자전에 의한 평균태양시는 지구상의 각 지점마다 차이가 생기는데, 그 차이는 경도 15°에 대하여 1시간의 비율로 동쪽으로 갈수록 앞서간다. 아시아의 동쪽 끝인 시베리아의 축치 반도와 미국의 알래스카주에 속해 있는 알류샨 열도는 이 기준선(경도 180도)의 양쪽에 걸쳐 있기 때문에 축치 반도 쪽의 날짜 변경선은 동쪽으로 경도 10도 이상 꺾여 베링 해협을 지나고, 알류샨 열도에서는 서쪽으로 경도 10도 가까이 꺾여 있다. 뉴질랜드령인 채텀 제도(서경 176도) 근처도 같은 이유로 날짜 변경선이 경도 180도를 기준으로 동쪽으로 약간 꺾여 있다. 1995년에는 날짜 변경선에 영토가 걸쳐 있는 섬나라 키리바시의 요청으로 날짜 변경선 동쪽의 키리바시 영토와 해역의 날짜선이 변경되었다.[10]

경도 0°인 영국(그리니치 천문대)에서 동쪽(동경)으로 180° 지점은 12시간 빠르고, 서쪽(서경)으로 180° 지점은 12시간 느려 경도 180° 지점(날짜변경선)은 같은 지점임에도 동쪽으로 왔을 때와 서쪽으로 왔을 때 하루(24시간)의 시간 차이가 나타나는 모순이 생긴다. 따라서 날짜를 정할 때 이 차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큰 혼란이 생길 것이다. 예를 들면, 영국이 표준시(경도 0°의 평균태양시)로 1월 1일 12시일 때 동경 180°에서는 2일 0시, 서경 180°에서는 1일 0시가 되어, 같은 180°이지만 하루의 시간 차이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모순을 해소하기 위해서 경도 180° 태평양 부근에 사람이 살고 있는 육지를 피해서 날짜변경선을 설정하였는데, 이 선을 서쪽에서 동쪽으로 지날 때는 하루를 빼고 증가하는 시간은 더해주고, 동쪽에서 서쪽으로 지날 때는 하루를 더하고 증가하는 시간은 빼주어 하루 차이를 보정해 준다.[11]

지도

동영상

각주

  1. 축치해〉, 《위키백과》
  2. 축치해〉, 《요다위키》
  3. 추크치해〉, 《네이버 지식백과》
  4. 베링 해협〉, 《위키백과》
  5. 베링 해협〉, 《나무위키》
  6. 베링해〉, 《위키백과》
  7. 베링해〉, 《네이버 지식백과》
  8. 보퍼트해〉, 《위키백과》
  9. 보퍼트해〉, 《나무위키》
  10. 날짜 변경선〉, 《위키백과》
  11. 날짜변경선〉, 《네이버지식백과》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축치해 문서는 세계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