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뉴스1'''(news1)은 대한민국의 민영 뉴스통신사이다. '''뉴스원'''이라고 읽는다. 뉴스1은 [[머니투데이]] 미디어그룹이 출범시킨 민영 뉴스통신사이다. 기사를 전국의 신문과 방송, 정부 부처, 주요 기관, 기업체, 인터넷 포털사이트 등에 공급하고 있다. 2011년 4월 11일에 출범했으며, 회장은 [[홍선근]]이고, 대표이사 및 사장은 [[이영섭]]이며, 편집국장은 [[채원배]]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47(舊 공평동 100번지)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17층에 위치해 있다.
+
[[파일:뉴스1 로고.png|썸네일|200픽셀|'''뉴스1'''(news1) 로고]]
 +
[[파일:뉴스1 글자.png|썸네일|300픽셀|'''뉴스1'''(news1) 로고와 글자]]
 +
 
 +
[[파일:이백규.png|200픽셀|섬네일|오른쪽| [[이백규]] 뉴스1 사장 & 발행인]]
 +
 
 +
'''뉴스1'''(news1)은 대한민국의 민영 뉴스통신사이다. 뉴스1은 [[머니투데이]] 미디어그룹이 출범시킨 민영 뉴스통신사이다. 기사를 전국의 신문과 방송, 정부 부처, 주요 기관, 기업체, 인터넷 포털사이트 등에 공급하고 있다. 2011년 4월 11일에 출범했으며 대표이사 및 사장은 [[이백규]]이며 편집국장은 [[강호병]]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47(舊 공평동 100번지)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17층에 위치해 있다.
  
 
== 개요 ==
 
== 개요 ==
2011년에 [[머니투데이]]가 [[뉴시스]]를 인수하지 못하자 따로 차린 민영 통신사다.  
+
2011년에 머니투데이가 [[뉴시스]]를 인수하지 못하자 따로 차린 민영 통신사다.  
  
뉴스1은 세계 최대 뉴스통신사인 [[로이터통신]]과 손잡고 글로벌 경제 뉴스와 워싱턴 정가 소식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로이터통신의 정치전문 뉴스서비스 '폴리티코'를 독점 제공하고 있다. 로이터 경제뉴스 와이어 3개 서비스(로이터 비즈니스 리포트)를 포함, 총 12개 로이터 서비스 배포권을 확보하면서 국내 매체 중 최대이자 최초로 온·오프라인과 모바일 배포권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기자협회와 국제언론기구인 국제기자연맹(IFJ)에 가입돼 있다. 로이터, AFP 등 외국 뉴스통신사와 제휴해 국제 뉴스를 제공하는 한편, 서울, 부산·경남, 대구·경북, 인천, 광주·전남, 대전·충남, 울산, 경기, 강원, 충북·세종, 전북, 제주 등 전국 광역시·도 17개 지역에 취재본부 네트워크를 구축해 국내 뉴스도 공급하고 있다. <ref> 〈[https://ko.wikipedia.org/wiki/%EB%89%B4%EC%8A%A41 뉴스1]〉, 《위키백과》, </ref>   
+
세계 최대 뉴스통신사인 [[로이터통신]]과 손잡고 글로벌 경제 뉴스와 워싱턴 정가 소식을 제공하고 있고, 로이터통신의 정치전문 뉴스서비스 '폴리티코'를 독점 제공하고 있다. 로이터 경제뉴스 와이어 3개 서비스(로이터 비즈니스 리포트)를 포함, 총 12개 로이터 서비스 배포권을 확보하면서 국내 매체 중 최대이자 최초로 온·오프라인과 모바일 배포권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기자협회와 국제언론기구인 국제기자연맹(IFJ)에 가입돼 있다. 로이터, AFP 등 외국 뉴스통신사와 제휴해 국제 뉴스를 제공하는 한편, 서울, 부산·경남, 대구·경북, 인천, 광주·전남, 대전·충남, 울산, 경기, 강원, 충북·세종, 전북, 제주 등 전국 광역시·도 17개 지역에 취재본부 네트워크를 구축해 국내 뉴스도 공급하고 있다. 검증안된 가짜뉴스를 대량살포하여 비난받고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B%89%B4%EC%8A%A41 뉴스1]〉, 《위키백과》, </ref>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016년에 출간한 '인터넷언론백서'에서 뉴스1은 주요 포털 PC와 모바일에서 '많이본 뉴스' '댓글많은 뉴스' 톱 3에 들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016년에 출간한 '인터넷언론백서'에서 뉴스1은 주요 포털 PC와 모바일에서 '많이본 뉴스' '댓글많은 뉴스' 톱 3에 들었다.
10번째 줄: 15번째 줄:
 
2014년 머니투데이가 뉴시스를 인수하면서 뉴스1과 뉴시스 간 합병 가능성이 제기됐으나 인수 당시 머니투데이는 합병의사가 없다고 밝혔다.
 
2014년 머니투데이가 뉴시스를 인수하면서 뉴스1과 뉴시스 간 합병 가능성이 제기됐으나 인수 당시 머니투데이는 합병의사가 없다고 밝혔다.
  
뉴스1은 2018년 5월 22일에서 26일까지, 북한의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와 관련하여 국내 40여개 언론사를 대표해 방북했고, 핵실험장 폐기 소식을 현장에서 남측에 타전했다. 참고로 이 방북 취재단 선정은 외교부 출입 언론사들 사이의 제비뽑기를 통해 정해졌는데, 연합뉴스가 무작정 단독으로 방북 취재를 가겠다고 생때를 쓰는 바람에, 전체 투표에서 [[연합뉴스]]에 대한 반대표가 결집하여 뉴스1이 어부지리로 자리를 얻었다는 보도가 있었다.
+
뉴스1은 2018년 5월22에서 26일까지, 북한의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와 관련하여 국내 40여개 언론사를 대표해 방북했고, 핵실험장 폐기 소식을 현장에서 남측에 타전했다. 참고로 이 방북 취재단 선정은 외교부 출입 언론사들 사이의 제비뽑기를 통해 정해졌는데, 연합뉴스가 무작정 단독으로 방북 취재를 가겠다고 생때를 쓰는 바람에, 전체 투표에서 연합뉴스에 대한 반대표가 결집하여 뉴스1이 어부지리로 자리를 얻었다는 보도가 있었다.<ref> 〈[https://namu.wiki/w/%EB%89%B4%EC%8A%A41 뉴스1]〉, 《나무위키》, </ref>
  
 
== 주요인물 ==
 
== 주요인물 ==
* [[이영섭]] - 뉴스1 사장 & 발행인. 2023년 3월 2일부터 뉴스1 사장 역임.
+
* [[이백규]] - 뉴스1 사장 & 발행인
 +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 전공. 한국일보 기자. 2001년 6월부터 머니투데이 금융1부장, 국제부장, 증권부장, 산업부장, 편집부국장, 편집국장, 이사, 머니투데이 편집인, 부사장, 사장을 역임. 2015년 12월부터 뉴스1 사장 역임.<ref> 〈[https://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9D%B4%EB%B0%B1%EA%B7%9C&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216245 이백규]〉, 《네이버》, </ref>
  
 
== 지향 ==
 
== 지향 ==
32번째 줄: 38번째 줄:
 
* 〈[https://namu.wiki/w/%EB%89%B4%EC%8A%A41 뉴스1]〉,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B%89%B4%EC%8A%A41 뉴스1]〉, 《나무위키》
 
* 〈[https://ko.wikipedia.org/wiki/%EB%89%B4%EC%8A%A41 뉴스1]〉,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89%B4%EC%8A%A41 뉴스1]〉, 《위키백과》
 +
* 〈[https://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9D%B4%EB%B0%B1%EA%B7%9C&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216245 이백규]〉, 《네이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머니투데이]]
 
* [[머니투데이]]
 
* [[뉴시스]]
 
* [[뉴시스]]
* [[홍선근]]
 
*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
 
  
{{블록체인 미디어|검토 필요}}
+
{{로고 필요}}
 +
{{블록체인 미디어|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