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버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대형버스'''<!--대형 버스-->는 [[대한민국]] 기준 36인승 이상의 [[버스]]로 주로 [[고속버스]], [[시외버스]], [[관광버스]] 등으로 사용되는데 [[자가용버스]]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대형버스'''<!--대형 버스-->는 [[대한민국]] 기준 36인승 이상의 [[버스]]로 주로 [[고속버스]], [[시외버스]], [[관광버스]] 등으로 사용되는데 [[자가용버스]]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자동차 배너}}
 
  
 
==특징==
 
==특징==
===엔진브레이크===
+
===엔진 브레이크===
[[엔진브레이크]]<!--엔진 브레이크-->는 차량의 무게가 늘어날수록 더 강력한 제동능력이 필요해 [[화물차]]나 대형버스에 장착되는 시스템이다. 엔진브레이크에는 대표적으로 리타더 브레이크, 제이크 브레이크, [[배기]] 브레이크 등이 적용되는데 이 시스템들은 차량을 멈추는 제동장치가 아닌 감속장치로 최종적인 제동은 풋브레이크에 달려있다. 엔진브레이크는 대형버스에 꼭 필요한 시스템이자 꼭 활용해야 할 운전기술로 엔진브레이크를 통해 뛰어난 감속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풋브레이크와 엔진브레이크를 적절히 조합해 사용하면 풋브레이크를 단독 사용하는 것보다 빠른 감속과 제동이 가능하다. 또한, 긴 내리막 구간에서 엔진브레이크를 활용하면 풋브레이크 과열로 인해 발생하는 페이드 현상이나 베이퍼 록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 경제적으로는 도로 상황에 따라 엔진브레이크를 단독으로 활용하면 퓨얼컷이 적용돼 [[연비]] 주행에 도움이 되며 [[타이어]]에 직접적인 제동을 가하지 않는 만큼 브레이크 라이닝 수명 연장과 타이어 수명 연장에도 효과적이다.<ref name="대형버스1"> 박현욱 기자, 〈[http://www.cvinf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330 40톤 트럭? 대형버스? 꼼짝마 대형 상용차의 감속시스템 '엔진 브레이크']〉, 《상용차신문》, 2019-09-24 </ref>
+
[[엔진]] [[브레이크]]는 차량의 무게가 늘어날수록 더 강력한 제동능력이 필요해 [[화물차]]나 대형버스에 장착되는 시스템이다. 엔진 브레이크에는 대표적으로 리타더 브레이크, 제이크 브레이크, [[배기]] 브레이크 등이 적용되는데 이 시스템들은 차량을 멈추는 제동장치가 아닌 감속장치로 최종적인 제동은 풋브레이크에 달려있다. 엔진 브레이크는 대형버스에 꼭 필요한 시스템이자 꼭 활용해야 할 운전기술로 엔진 브레이크를 통해 뛰어난 감속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풋브레이크와 엔진 브레이크를 적절히 조합해 사용하면 풋브레이크를 단독 사용하는 것보다 빠른 감속과 제동이 가능하다. 또한, 긴 내리막 구간에서 엔진 브레이크를 활용하면 풋브레이크 과열로 인해 발생하는 페이드 현상이나 베이퍼 록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 경제적으로는 도로 상황에 따라 엔진 브레이크를 단독으로 활용하면 퓨얼컷이 적용돼 [[연비]] 주행에 도움이 되며 [[타이어]]에 직접적인 제동을 가하지 않는 만큼 브레이크 라이닝 수명 연장과 타이어 수명 연장에도 효과적이다.<ref name="대형버스1"> 박현욱 기자, 〈[http://www.cvinf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330 40톤 트럭? 대형버스? 꼼짝마 대형 상용차의 감속시스템 '엔진 브레이크']〉, 《상용차신문》, 2019-09-24 </ref>
  
 
;리타더 브레이크
 
;리타더 브레이크
13번째 줄: 12번째 줄:
  
 
;배기 브레이크
 
;배기 브레이크
배기 브레이크는 적재중량 2t이 넘어가면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엔진브레이크이다. [[배기관]]에 개폐 가능한 밸브를 설치해 작동 시 배기관을 닫고 이후 배기 되지 못한 공기가 실린더 내에 갇히며 역 토크를 만들어내면서 감속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배기 브레이크는 기어 단수를 떨어뜨리는 기본적인 엔진브레이크보다 우수한 감속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제이크 브레이크와 리타더 브레이크 대비 가장 부드럽게 감속하는 만큼, 대부분의 도로 상황에 적절하게 사용 가능하다.<ref name="대형버스1"></ref>
+
배기 브레이크는 적재중량 2t이 넘어가면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엔진 브레이크다. 배기관에 개폐 가능한 밸브를 설치해 작동 시 배기관을 닫고 이후 배기 되지 못한 공기가 실린더 내에 갇히며 역 토크를 만들어내면서 감속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배기 브레이크는 기어 단수를 떨어뜨리는 기본적인 엔진 브레이크보다 우수한 감속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제이크 브레이크와 리타더 브레이크 대비 가장 부드럽게 감속하는 만큼, 대부분의 도로 상황에 적절하게 사용 가능하다.<ref name="대형버스1"></ref>
  
 
==대표 모델==
 
==대표 모델==
38번째 줄: 37번째 줄:
  
 
===타이어===
 
===타이어===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Hankook Tire & Technology)에서 대형버스 전용 타이어인 스마트 투어링 AL22를 대한민국에 출시했다. 스마트 투어링 AL22는 탁월한 승차감과 높은 마일리지 성능을 가진 장거리 고속 주행에 최적화된 버스 전용 타이어로 [[유럽]] 및 [[중동]] 각 지역에 먼저 출시되어 글로벌 상품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새롭게 적용된 지그재그와 직선 혼합 그루브 디자인은 회전 저항이 적고 조종 안정성이 우수한 최적의 센터 리브 패턴을 적용하여 최상위 수준의 마일리지와 핸들링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유럽 기준 가속 주행 소음 1등급을 달성한 스마트 투어링 AL22는 노면 소음에 최적화된 패턴 형상 기술력의 소음 저감 기술이 적용되어 한층 더 높은 수준의 승차감을 발휘한다. 이와 함께 고분자 구조의 새로운 카본 블랙 컴파운드를 적용하여 높은 내구성과 연비 향상을 이뤄냈고 멀리 3D 커프가 적용되어 고속 주행에서도 안정적인 견인력과 제동력을 갖췄다.<ref> 뉴스엔카,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1478273&memberNo=53027559&searchKeyword=%EB%8C%80%ED%98%95%EB%B2%84%EC%8A%A4&searchRank=5 한국타이어, 대형버스 전용 타이어 ‘스마트 투어링 AL22’ 출시]〉, 《네이버 포스트》, 2021-05-12 </ref>  
+
[[한국타이어 앤 테크놀로지]](Hankook Tire & Technology)에서 대형버스 전용 타이어인 스마트 투어링 AL22를 대한민국에 출시했다. 스마트 투어링 AL22는 탁월한 승차감과 높은 마일리지 성능을 가진 장거리 고속 주행에 최적화된 버스 전용 타이어로 [[유럽]] 및 [[중동]] 각 지역에 먼저 출시되어 글로벌 상품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새롭게 적용된 지그재그와 직선 혼합 그루브 디자인은 회전 저항이 적고 조종 안정성이 우수한 최적의 센터 리브 패턴을 적용하여 최상위 수준의 마일리지와 핸들링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유럽 기준 가속 주행 소음 1등급을 달성한 스마트 투어링 AL22는 노면 소음에 최적화된 패턴 형상 기술력의 소음 저감 기술이 적용되어 한층 더 높은 수준의 승차감을 발휘한다. 이와 함께 고분자 구조의 새로운 카본 블랙 컴파운드를 적용하여 높은 내구성과 연비 향상을 이뤄냈고 멀리 3D 커프가 적용되어 고속 주행에서도 안정적인 견인력과 제동력을 갖췄다.<ref> 뉴스엔카,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1478273&memberNo=53027559&searchKeyword=%EB%8C%80%ED%98%95%EB%B2%84%EC%8A%A4&searchRank=5 한국타이어, 대형버스 전용 타이어 ‘스마트 투어링 AL22’ 출시]〉, 《네이버 포스트》, 2021-05-12 </ref>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