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코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모스코인 로고.png|썸네일|200픽셀|'''모스코인'''(Mosscoin)]]
+
[[파일:모스코인 로고.png|썸네일|200픽셀|'''모스코인'''(Mosscoin) 로고]]
[[파일:모스코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모스코인'''(Mosscoin)]]
+
[[파일:모스코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모스코인'''(Mosscoin) 로고와 글자]]
  
'''모스코인'''<!--모스 코인-->(Mosscoin)은 '''모스랜드'''(Mossland) 메타버스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이다. 모스코인의 화폐 단위는 '''MOC'''이다. [[루니버스]] 기반의 토큰이다. '''모스랜드'''(Mossland)는 현실과 가상 세계를 잇는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 프로젝트이다.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Non-fungible token 기반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출시하며 실사용 사례들을 만들어 가고 있다.  모스랜드 메타버스는 현실이 반영된 디지털 NFT 자산과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특징으로 하며, '''[[모스코인]]'''(Mosscoin)으로 통합된 경제 순환 구조를 추구한다.  
+
'''모스코인'''(Mosscoin)은 [[증강현실]](AR) 모노폴리 게임인 [[모스랜드]](Mossland)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이다. 모스코인의 화폐 단위는 '''MOC'''이다.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이다. [[리얼리티 리플렉션]](Reality Reflection) 회사가 개발했다. [[노정석]]과 [[손우람]]이 공동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2018년 1월 29일 밤 10시부터 모스코인에 대한 [[ICO]] 프리세일을 진행하여 38분만에 목표 금액을 모금하여 마감되었다.
 
2018년 1월 29일 밤 10시부터 모스코인에 대한 [[ICO]] 프리세일을 진행하여 38분만에 목표 금액을 모금하여 마감되었다.
9번째 줄: 9번째 줄:
  
 
모스코인의 [[어드바이저]]로 [[코빗]] 거래소 공동 창업자인 [[김진화]] 이사와 [[㈜카카오]]의 자회사인 [[그라운드엑스]]의 [[한재선]] 대표 등이 있다.
 
모스코인의 [[어드바이저]]로 [[코빗]] 거래소 공동 창업자인 [[김진화]] 이사와 [[㈜카카오]]의 자회사인 [[그라운드엑스]]의 [[한재선]] 대표 등이 있다.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배너|모스코인(Mosscoin)이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에 참여했습니다.}}
 
  
 
== 개요 ==
 
== 개요 ==
41번째 줄: 39번째 줄:
  
 
===모스랜드의 3가지 화폐===
 
===모스랜드의 3가지 화폐===
 +
 
* '''골드(Gold)'''
 
* '''골드(Gold)'''
 
골드는 가장 흔한 형태의 게임 머니이다. 골드는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되고 소멸되며, 통화량에 대한 제어가 약하다. 여러 형태의 게임 플레이에 대한 보상으로 쉽게 제공되며, 인앱 결제를 통한 충전도 가능하다. 따라서 총 통화량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없고, 게임 플레이 콘텐츠로만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인플레이션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골드는 가장 흔한 형태의 게임 머니이다. 골드는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되고 소멸되며, 통화량에 대한 제어가 약하다. 여러 형태의 게임 플레이에 대한 보상으로 쉽게 제공되며, 인앱 결제를 통한 충전도 가능하다. 따라서 총 통화량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없고, 게임 플레이 콘텐츠로만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인플레이션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62번째 줄: 61번째 줄:
  
 
===모스랜드 더 옥션===
 
===모스랜드 더 옥션===
[[모스랜드]]는 2018년 10월 12일, 가상 건물 경매 서비스인 모스랜드 더 옥션(Mossland: The Auction)을 정식으로 출시하였다. 모스랜드 더 옥션은 모스랜드에서 거래될 전 세계 주요 랜드마크들을 사전 경매로 판매해 사용자들이 미리 선점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출시일을 시작으로 매주 새로운 랜드마크가 경매로 올라올 예정이며, 현재 5주 차 경매가 완료되었다. 모스랜드 더 옥션에 가입한 모든 사용자는 모스코인을 이용하여 경매에 참여할 수 있고, 가장 높은 가격에 랜드마크가 낙찰된다. 낙찰에 성공한 사용자는 해당 랜드마크의 소유주가 된다. 낙찰자는 낙찰된 금액의 80%를 돌려받으며, 입찰에 참여했지만 성공하지 못한 사용자들도 나머지 20%를 각자가 입찰한 금액에 비례하여 인센티브 형식으로 지급받는다. 이 서비스는 모스랜드의 정식 서비스 출시 이전에 사용자들이 정식서비스에서 얻기 힘든 유명 랜드마크를 미리 선점할 수 있게 해준다.<ref>Moss.land, 〈[https://medium.com/mossland-blog/%EB%AA%A8%EC%8A%A4%EB%9E%9C%EB%93%9C-%EB%8D%94-%EC%98%A5%EC%85%98-%EC%9D%84-%EA%B3%B5%EA%B0%9C%ED%95%A9%EB%8B%88%EB%8B%A4-39b1b12c425c ‘모스랜드 더 옥션’을 소개합니다!]〉, 《미디엄》, 2018-09-12</ref> 1주 차에 이루어진 첫 경매에서 광화문은 4,000만 원, 미국의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은 5000만 원에 낙찰되었다.
+
 
 +
모스랜드는 2018년 10월 12일, 가상 건물 경매 서비스인 모스랜드 더 옥션(Mossland: The Auction)을 정식으로 출시하였다. 모스랜드 더 옥션은 모스랜드에서 거래될 전 세계 주요 랜드마크들을 사전 경매로 판매해 사용자들이 미리 선점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출시일을 시작으로 매주 새로운 랜드마크가 경매로 올라올 예정이며, 현재 5주 차 경매가 완료되었다. 모스랜드 더 옥션에 가입한 모든 사용자는 모스코인을 이용하여 경매에 참여할 수 있고, 가장 높은 가격에 랜드마크가 낙찰된다. 낙찰에 성공한 사용자는 해당 랜드마크의 소유주가 된다. 낙찰자는 낙찰된 금액의 80%를 돌려받으며, 입찰에 참여했지만 성공하지 못한 사용자들도 나머지 20%를 각자가 입찰한 금액에 비례하여 인센티브 형식으로 지급받는다. 이 서비스는 모스랜드의 정식 서비스 출시 이전에 사용자들이 정식서비스에서 얻기 힘든 유명 랜드마크를 미리 선점할 수 있게 해준다.<ref>Moss.land, 〈[https://medium.com/mossland-blog/%EB%AA%A8%EC%8A%A4%EB%9E%9C%EB%93%9C-%EB%8D%94-%EC%98%A5%EC%85%98-%EC%9D%84-%EA%B3%B5%EA%B0%9C%ED%95%A9%EB%8B%88%EB%8B%A4-39b1b12c425c ‘모스랜드 더 옥션’을 소개합니다!]〉, 《미디엄》, 2018-09-12</ref> 1주 차에 이루어진 첫 경매에서 광화문은 4,000만 원, 미국의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은 5000만 원에 낙찰되었다.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모스랜드 [[손우람]] 대표는 과거 중학생 시절부터 다양한 공모전에서 실력을 검증받은 베테랑 [[프로그래머]]로, [[삼성전자]]에서 약 4년간 일하다가 2018년에 모스랜드를 설립하였다. 손우람 대표는 3D 모델링 이미지를 다루던 경험을 바탕으로 사실적인 가상현실 세상을 구현하고자 한다. 모스랜드의 어드바이저로는 [[김진화]] [[코빗]] 공동창립자와 [[한재선]] [[그라운드엑스]] 대표가 있다. 최근 10월 30일 [[스타크래프트]] 전 프로게이머인 [[홍진호]]를 어드바이저로 영입하여 프로젝트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과 재미를 더했다.<ref>이동언 기자, 〈[https://tokenpost.kr/article-4666 前 프로게이머 홍진호, 블록체인 게임 개발사 '모스랜드' 어드바이저로 합류]〉, 《토큰포스트》, 2018-10-30</ref>
+
 
 +
모스랜드는 [[가상현실]](VR) 게임 전문 벤처기업 [[리얼리티 리플렉션]](Reality Reflection)이 개발하였다. 리얼리티 리플렉션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손우람]] 대표는 과거 중학생 시절부터 다양한 공모전에서 실력을 검증받은 베테랑 [[프로그래머]]로, [[삼성전자]]에서 약 10년간 일하다가 2015년에 리얼리티 리플렉션을 설립하였다. 손우람 대표는 3D 모델링 이미지를 다루던 경험을 바탕으로 사실적인 가상현실 세상을 구현하고자 한다.<ref>정우준 기자, 〈[http://www.kh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428 (와이드인터뷰)모스랜드 손우람 대표 “‘모스랜드’로 블록체인 게임 개발 명가 도약 자신”]〉, 《경향게임즈》, 2018-08-24</ref> 이 외에 다른 공동창립자인 [[노정석]] CSO, [[김민욱]] CTO 등도 여러 분야에 전문적인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인재들이다. 모스랜드의 어드바이저로는 [[김진화]] [[코빗]] 공동창립자와 [[한재선]] [[그라운드엑스]] 대표가 있다. 최근 10월 30일 [[스타크래프트]] 전 프로게이머인 [[홍진호]]를 어드바이저로 영입하여 프로젝트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과 재미를 더했다.<ref>이동언 기자, 〈[https://tokenpost.kr/article-4666 前 프로게이머 홍진호, 블록체인 게임 개발사 '모스랜드' 어드바이저로 합류]〉, 《토큰포스트》, 2018-10-30</ref>
  
 
== 활용 ==
 
== 활용 ==
76번째 줄: 77번째 줄:
  
 
== 제휴 ==
 
== 제휴 ==
 +
 
모스랜드는 2018년 4월, 퀀텀과의 파트너십을 발표하였다. 협약을 통해 기술 및 비즈니스 측면에서 전략적 제휴를 맺고, 퀀텀 블록체인에서 AR/VR을 대표하는 모바일 디앱으로 생태계 구축을 나선다고 하였다. 또한 7월에는 블록체인 게임 개발을 위한 SDK를 제공하는 룸네트워크와 파트너십을 체결하였다. 모스랜드는 룸네트워크와의 협력을 통해 개발자들을 위한 실질적인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ref>한수연 기자, 〈[http://www.bloter.net/archives/315559 모스랜드·룸네트워크,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 확대 ‘맞손’]〉, 《블로터》, 2018-07-24</ref> 8월에는 모바일 월렛 개발사인 [[루트원소프트]](RootOne)과 파트너십을 맺었다. 높은 수준의 UX를 제공하는 루트원소프트의 모바일 월렛 기능으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더할 예정이다.<ref>Moss.land, 〈[https://medium.com/mossland-blog/%EB%AA%A8%EC%8A%A4%EB%9E%9C%EB%93%9C-%EB%AF%B8%EB%8B%88%EC%84%9C%EB%B9%84%EC%8A%A4-%ED%94%84%EB%A1%9C%ED%86%A0%ED%83%80%EC%9E%85-%EC%8B%A0%EA%B7%9C-%ED%8C%8C%ED%8A%B8%EB%84%88%EC%82%AC-%EB%A3%A8%ED%8A%B8%EC%9B%90%EC%86%8C%ED%94%84%ED%8A%B8-%EA%B3%B5%EA%B0%9C-766c8a36952c 모스랜드 미니서비스 프로토타입& 신규 파트너사 <루트원소프트> 공개]〉, 《미디엄》, 2018-08-02</ref>
 
모스랜드는 2018년 4월, 퀀텀과의 파트너십을 발표하였다. 협약을 통해 기술 및 비즈니스 측면에서 전략적 제휴를 맺고, 퀀텀 블록체인에서 AR/VR을 대표하는 모바일 디앱으로 생태계 구축을 나선다고 하였다. 또한 7월에는 블록체인 게임 개발을 위한 SDK를 제공하는 룸네트워크와 파트너십을 체결하였다. 모스랜드는 룸네트워크와의 협력을 통해 개발자들을 위한 실질적인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ref>한수연 기자, 〈[http://www.bloter.net/archives/315559 모스랜드·룸네트워크,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 확대 ‘맞손’]〉, 《블로터》, 2018-07-24</ref> 8월에는 모바일 월렛 개발사인 [[루트원소프트]](RootOne)과 파트너십을 맺었다. 높은 수준의 UX를 제공하는 루트원소프트의 모바일 월렛 기능으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더할 예정이다.<ref>Moss.land, 〈[https://medium.com/mossland-blog/%EB%AA%A8%EC%8A%A4%EB%9E%9C%EB%93%9C-%EB%AF%B8%EB%8B%88%EC%84%9C%EB%B9%84%EC%8A%A4-%ED%94%84%EB%A1%9C%ED%86%A0%ED%83%80%EC%9E%85-%EC%8B%A0%EA%B7%9C-%ED%8C%8C%ED%8A%B8%EB%84%88%EC%82%AC-%EB%A3%A8%ED%8A%B8%EC%9B%90%EC%86%8C%ED%94%84%ED%8A%B8-%EA%B3%B5%EA%B0%9C-766c8a36952c 모스랜드 미니서비스 프로토타입& 신규 파트너사 <루트원소프트> 공개]〉, 《미디엄》, 2018-08-02</ref>
  
 
== 로드맵 ==
 
== 로드맵 ==
 +
 
[[백서]]에 따르면 모스랜드는 2018년 이내에 알파 빌드의 개발을 완료하고, 2019년 1분기에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실시하여, 서비스 완성도를 높일 예정이다. 다음 2019년 2분기에는 테스트 국가를 하나 선정하여 소프트 런칭 방식으로 출시하고, 게임의 기술이나 기획적인 보완을 한다. 모스랜드는 이 과정을 걸쳐 2019년 이내에 전 세계 동시 정식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글로벌 런칭 시점에는 중요 랜드마크 사전 경매 이벤트를 진행한다.
 
[[백서]]에 따르면 모스랜드는 2018년 이내에 알파 빌드의 개발을 완료하고, 2019년 1분기에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실시하여, 서비스 완성도를 높일 예정이다. 다음 2019년 2분기에는 테스트 국가를 하나 선정하여 소프트 런칭 방식으로 출시하고, 게임의 기술이나 기획적인 보완을 한다. 모스랜드는 이 과정을 걸쳐 2019년 이내에 전 세계 동시 정식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글로벌 런칭 시점에는 중요 랜드마크 사전 경매 이벤트를 진행한다.
  
100번째 줄: 103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모스랜드]]
 
* [[모스랜드]]
 +
* [[리얼리티 리플렉션]]
 +
* [[노정석]]
 
* [[손우람]]
 
* [[손우람]]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