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운송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복합운송'''<!--복합 운송-->(multimodal transport; combined transport)이란 2종류 이상의 [[운송수단]]을 사용하여 [[운송]]하는 것을 말한다. 복합운송은 복합운송인(MTO; multimodal transport operator)이 [[화물]]을 자기 책임하에 인수하여 어느 국가의 한 지점에서 다른 국가에 있는 지정 인도 지점까지 복합운송 계약에 의거하여 [[해상]], [[내수로]], [[항공]], [[철도]]나 [[도로운송]] 등 여러 운송방식 중 2종류 이상의 [[운송수단]]을 사용하여 [[운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한 운송방식에 의한 계약의 이행을 위해 부수적으로 행해지는 [[집화]]나 [[인도 (운송)|인도]]에 이용되는 운송방식은 복합운송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
'''복합운송'''(Multimodal transport or combined transport)이란 복합운송인(MTO:Multimodal transport operator)이 화물을 자기 책임하에 인수하여 어느 국가의 한 지점에서 다른 국가에 있는 지정 인도 지점까지 복합운송 계약에 의거 해상, 내수로, 항공, 철도나 도로운송 등 여러 운송방식 중 2종류 이상의 운송수단을 사용하여 운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한 운송방식에 의한 계약의 이행을 위해 부수적으로 행해지는 집화나 인도에 이용되는 운송방식은 복합운송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복합운송은 국제간의 무역 운송에 있어 [[컨테이너]]화의 발달과 수송기술 및 장비의 혁신에 따라 종래의 Tackle to Tackle 운송개념이 CY to CY 개념으로 발전된 데 이어 더 나아가 Door To Door라는 더욱 앞선 운송형태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특히 컨테이너에 의한 화물의 복합운송은 해상운송을 신속ㆍ저렴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해상과 육상, 나아가서는 항공운송에 이르기까지 전반 수송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연결 수송할 수 있게 한 중대한 수송혁신이다.<ref> 〈[https://www.kita.net/mberJobSport/logist/trnsBusiManual/transportMnl_4_3.do 복합운송]〉, 《한국무역협회》 </ref>
+
복합운송은 국제간의 무역 운송에 있어 컨테이너화의 발달과 수송기술 및 장비의 혁신에 따라 종래의 Tackle to Tackle 운송개념이 CY to CY 개념으로 발전된 데 이어 더 나아가 Door To Door라는 더욱 앞선 운송형태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특히 컨테이너에 의한 화물의 복합운송은 해상운송을 신속·저렴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해상과 육상, 나아가서는 항공운송에 이르기까지 전반 수송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연결 수송할 수 있게 한 중대한 수송혁신이다.<ref> 〈[https://www.kita.net/mberJobSport/logist/trnsBusiManual/transportMnl_4_3.do 복합운송]〉, 《한국무역협회》 </ref>
  
== 복합운송 특징 ==
+
== 특징 ==
 
* 운송책임의 단일성: 복합운송은 복합운송인이 전 구간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 운송책임의 단일성: 복합운송은 복합운송인이 전 구간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 복합운송 서류: 복합운송은 화주에 대하여, 복합운송인이 전 구간을 책임지는 유가증권으로써 복합운송서류를 발행해야 한다.
 
* 복합운송 서류: 복합운송은 화주에 대하여, 복합운송인이 전 구간을 책임지는 유가증권으로써 복합운송서류를 발행해야 한다.
9번째 줄: 9번째 줄:
 
* 운송방식의 다양성: 복합운송은 서로 다른 2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으로 이행되어야 한다.
 
* 운송방식의 다양성: 복합운송은 서로 다른 2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으로 이행되어야 한다.
 
* 위험부담의 분기점: 복합운송에 있어 책임은 송화인이 화물을 내륙 운송인에게 인도하는 시점이다.<ref>〈[http://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727 복합운송의 개념]〉, 《물류신문》,  2004-03-23 </ref>  
 
* 위험부담의 분기점: 복합운송에 있어 책임은 송화인이 화물을 내륙 운송인에게 인도하는 시점이다.<ref>〈[http://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727 복합운송의 개념]〉, 《물류신문》,  2004-03-23 </ref>  
 
== 복합운송 형태 ==
 
* [[해상운송]]과 [[항공운송]](sea and air)
 
* [[철도운송]]과 해상운송(train and ship)
 
* 해상운송, [[육상운송]], 해상운송(Land Bridge)
 
* 공로운송과 철도운송(piggy back)
 
* 공로운송과 해상운송(fishy back)
 
* 공로운송과 항공운송(birdy back)
 
  
 
== 복합운송인 ==
 
== 복합운송인 ==
35번째 줄: 27번째 줄:
 
;캐리어형 복합운송인
 
;캐리어형 복합운송인
  
캐리어형 운송인은 자신이 직접 보유하고 있는 [[선박]], [[항공기]], [[트럭]] 등을 이용하여 복합운송을 수행하는 실제 운송인을 통틀어서 말한다. 이 중 선박회사는 가장 전형적인 캐리어형 복합운송인이다.
+
캐리어형 운송인은 자신이 직접 보유하고 있는 선박, 항공기, 트럭 등을 이용하여 복합운송을 수행하는 실제 운송인을 통틀어서 말한다. 이 중 선박회사는 가장 전형적인 캐리어형 복합운송인이다.
  
 
선박 운항 업체 가운데 해상운송만 하고 복합운송을 하지 않는 업체도 있으나, 최근의 추세는 거의 모든 선사가 복합운송의 주체로서 활발하게 복합운송서비스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선박 운항 업체 가운데 해상운송만 하고 복합운송을 하지 않는 업체도 있으나, 최근의 추세는 거의 모든 선사가 복합운송의 주체로서 활발하게 복합운송서비스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144번째 줄: 136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복합]]
+
* [[화물]]
 
* [[운송]]
 
* [[운송]]
 
* [[육상운송]]
 
* [[육상운송]]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