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화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52번째 줄: 352번째 줄:
  
 
==현황==
 
==현황==
===블록체인===
+
===메디패스===
;메디패스
 
 
메디블록은 의료계에서의 강력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하반기에 '메디패스'라는 서비스를 론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메디패스'는 간편보험청구 서비스로 [[블록체인]]의 기술을 활용해 대형보험사와 대형병원 등 유관기관과 연동하여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바로 실생활에 접목시킬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이 서비스는 국내 최고의 대형 의료기관들은 물론 삼성화재와 같은 여러 대형 보험사들과 함께 만들어 가고 있는 서비스로 의료계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가능성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최초의 서비스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메디패스는 서비스 개발 마무리 단계이며, 금융사 시스템에 준하는 다양한 요구 조건을 달성하기 위해 막바지 조정 작업에 있다고 밝혔다. 이미 메디패스는 관련 기관들과 성공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여 호평을 받았으며, 지속적으로 연계 의료기관 및 보험사를 늘려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ref>주은혜 기자/조해리 기자, 〈[http://www.fintech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852 메디블록의 실서비스를 공개합니다...삼성화재와 함께 실서비스 구축]〉, 《블록체인밸리》, 2019-06-30</ref>  
 
메디블록은 의료계에서의 강력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하반기에 '메디패스'라는 서비스를 론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메디패스'는 간편보험청구 서비스로 [[블록체인]]의 기술을 활용해 대형보험사와 대형병원 등 유관기관과 연동하여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바로 실생활에 접목시킬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이 서비스는 국내 최고의 대형 의료기관들은 물론 삼성화재와 같은 여러 대형 보험사들과 함께 만들어 가고 있는 서비스로 의료계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가능성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최초의 서비스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메디패스는 서비스 개발 마무리 단계이며, 금융사 시스템에 준하는 다양한 요구 조건을 달성하기 위해 막바지 조정 작업에 있다고 밝혔다. 이미 메디패스는 관련 기관들과 성공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여 호평을 받았으며, 지속적으로 연계 의료기관 및 보험사를 늘려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ref>주은혜 기자/조해리 기자, 〈[http://www.fintech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852 메디블록의 실서비스를 공개합니다...삼성화재와 함께 실서비스 구축]〉, 《블록체인밸리》, 2019-06-30</ref>  
  
;본인정보 활용 지원 사업
+
===본인정보 활용 지원 사업===
 
환자 중심의 의료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는 메디블록은 삼성화재와 [[서울대병원]], [[차의과학대학교]], 웰트와 함께 의료분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정부 주도로 진행되는 '본인정보 활용 지원 사업(My Data)'에 최종 지원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정부는 2019년 한 해 동안 금융, 통신, 에너지, 유통, 의료 등 5개 분야에 총 80억 원을 투입하여 개인 중심의 데이터 활용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기로 발표했다. 마이데이터 사업의 핵심은 개인의 개인정보 자기 결정권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데이터 주체인 개인이 직접 본인의 정보를 받아 이용하거나 제 3자 제공을 허용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또한 정보 주체의 동의를 받은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여 데이터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데에 있다. 의료분야는 데이터 시스템 혁신이 가장 필요한 분야로, 마이데이터 사업 5개 분야 중에서도 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마이데이터 사업에 의료분야가 처음으로 추가되어 여러 의료 관련 기관과 의료 선도기업의 많은 주목을 받고있다. 유수의 의료기관과 기업에서 컨소시엄을 구성해 지원하였지만, 메디블록과 삼성화재 등이 구성한 컨소시엄이 높은 경쟁력을 뚫고 최종 선정되어 10억 원을 지원받게 되었다. 본 사업은 이미 활발하게 진행 중으로 올해 11월까지 다수의 실증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메디블록 컨소시엄은 7개월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진료내역 확인 및 정보 교류 서비스', '임상연구 참여', '의료기록, 라이프로그 데이터 기반 건강증진 코칭' 등의 서비스를 개발하여 시범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마이데이터 주요 개발 내용은 △ 의료기관과 스마트폰 및 블록체인 3자간 연동 가능한 의료기관용 외부용 인터페이스 서버 구축 △ 의료데이터 블록체인 고도화 △ 라이프로그 데이터 관리/활용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 건강검진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 웰트 등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모듈 개발 등이 있다.<ref>메디블록, 〈[https://blog.medibloc.org/timeline/news/notice/4644 삼성화재-서울대학교병원과 MyData 사업 진행]〉, 《메디블록 블로그》, 2019-05-16</ref>  
 
환자 중심의 의료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는 메디블록은 삼성화재와 [[서울대병원]], [[차의과학대학교]], 웰트와 함께 의료분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정부 주도로 진행되는 '본인정보 활용 지원 사업(My Data)'에 최종 지원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정부는 2019년 한 해 동안 금융, 통신, 에너지, 유통, 의료 등 5개 분야에 총 80억 원을 투입하여 개인 중심의 데이터 활용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기로 발표했다. 마이데이터 사업의 핵심은 개인의 개인정보 자기 결정권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데이터 주체인 개인이 직접 본인의 정보를 받아 이용하거나 제 3자 제공을 허용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또한 정보 주체의 동의를 받은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여 데이터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데에 있다. 의료분야는 데이터 시스템 혁신이 가장 필요한 분야로, 마이데이터 사업 5개 분야 중에서도 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마이데이터 사업에 의료분야가 처음으로 추가되어 여러 의료 관련 기관과 의료 선도기업의 많은 주목을 받고있다. 유수의 의료기관과 기업에서 컨소시엄을 구성해 지원하였지만, 메디블록과 삼성화재 등이 구성한 컨소시엄이 높은 경쟁력을 뚫고 최종 선정되어 10억 원을 지원받게 되었다. 본 사업은 이미 활발하게 진행 중으로 올해 11월까지 다수의 실증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메디블록 컨소시엄은 7개월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진료내역 확인 및 정보 교류 서비스', '임상연구 참여', '의료기록, 라이프로그 데이터 기반 건강증진 코칭' 등의 서비스를 개발하여 시범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마이데이터 주요 개발 내용은 △ 의료기관과 스마트폰 및 블록체인 3자간 연동 가능한 의료기관용 외부용 인터페이스 서버 구축 △ 의료데이터 블록체인 고도화 △ 라이프로그 데이터 관리/활용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 건강검진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 웰트 등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모듈 개발 등이 있다.<ref>메디블록, 〈[https://blog.medibloc.org/timeline/news/notice/4644 삼성화재-서울대학교병원과 MyData 사업 진행]〉, 《메디블록 블로그》, 2019-05-16</ref>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