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션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6번째 줄: 36번째 줄: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 '''[[권성문]]''' : [[KTB네트워크]]의 회장이다. 1961년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출생했다. 1984년 [[삼성물산]] 수출팀에서 근무했고, 1992년 [[한국종합금융]] 기업금융팀에서 일했다. 1995년 [[한국M&A]] 회사를 설립했고, 1999년 3월 [[KTB네트워크]]의 대표이사가 되어, 인터넷 사업에 투자를 시작했다. 1999년 3월 [[미래와 사람]]의 대표 자격으로 옥션에 30억여원을 투자하여 지분 46%를 가진 대주주가 되었고, 5개월 후인 8월에는 자신이 대주주로 있는 KTB네트워크를 통해 옥션 지분 5.2%를 추가로 확보하여 누적 지분 51.2%를 확보했다. 1999년 9월 삼성물산 출신의 [[이금룡]]을 전문경영인으로 영입하여 옥션의 대표이사를 맡겼다. 2001년 1월 미국 [[이베이]](eBay)에 1,506억원을 받고 옥션 지분의 50%를 매각했다. 이 때 시세 차액으로 수백배의 이익을 본 후, 이 자금으로 인터넷 사업에 투자하는 전문 투자자가 되어 이름을 떨쳤다. 이후 [[KTB투자증권]]의 회장을 지냈다.
+
* '''[[권성문]]''' : [[KTB네트워크]]의 회장이다. 1961년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출생했다. 1984년 [[삼성물산]] 수출팀에서 근무했고, 1992년 [[한국종합금융]] 기업금융팀에서 일했다. 1995년 [[한국M&A]] 회사를 설립했고, 1999년 3월 [[KTB네트워크]]의 대표이사가 되어, 인터넷 사업에 투자를 시작했다. 1999년 3월 [[미래와 사람]]의 대표 자격으로 옥션에 30억여원을 투자하여 지분 46%를 가진 대주주가 되었고, 5개월 후인 8월에는 자신이 대주주로 있는 KTB네트워크를 통해 옥션 지분 5.2%를 추가로 확보하여 누적 지분 51.2%를 확보했다. 1999년 9월 삼성물산 임원 출신의 [[이금룡]]을 전문경영인으로 영입하여 옥션의 대표이사를 맡겼다. 2001년 1월 미국 [[이베이]](eBay)에 1,506억원을 받고 옥션 지분의 50%를 매각했다. 이 때 시세 차액으로 수백배의 이익을 본 후, 이 자금으로 인터넷 사업에 투자하는 전문 투자자가 되어 이름을 떨쳤다. 이후 [[KTB투자증권]]의 회장을 지냈다.
  
 
* '''[[이준희]]''' : 옥션의 초기 창업자이다. 인터넷이 대중적으로 보급되기 이전 1997년 대한민국 최초의 인터넷 경매사이트인 '옥션'은 이준희와 [[이재훈 (옥션)|이재훈]] 두 사람의 공동창업으로 만들어졌다. 1999년 3월 [[미래와 사람]]의 대표인 [[권성문]]이 30억여원을 투자하여 옥션의 대주주가 되었고, 이후 2001년 세계 최대 인터넷 경매업체인 미국 [[이베이]]에 옥션이 매각되었다. 회사를 매각한 후 이준희는 세계 최초의 동영상 콘텐츠 포털 사이트인 '[[디오데오]]'를 창업했고, 2007년 초부터 하루에 단 한 가지 상품만 판매하는 한국 최초의 소셜 커머스 사이트인 '[[원어데이]]'를 다시 창업했다.
 
* '''[[이준희]]''' : 옥션의 초기 창업자이다. 인터넷이 대중적으로 보급되기 이전 1997년 대한민국 최초의 인터넷 경매사이트인 '옥션'은 이준희와 [[이재훈 (옥션)|이재훈]] 두 사람의 공동창업으로 만들어졌다. 1999년 3월 [[미래와 사람]]의 대표인 [[권성문]]이 30억여원을 투자하여 옥션의 대주주가 되었고, 이후 2001년 세계 최대 인터넷 경매업체인 미국 [[이베이]]에 옥션이 매각되었다. 회사를 매각한 후 이준희는 세계 최초의 동영상 콘텐츠 포털 사이트인 '[[디오데오]]'를 창업했고, 2007년 초부터 하루에 단 한 가지 상품만 판매하는 한국 최초의 소셜 커머스 사이트인 '[[원어데이]]'를 다시 창업했다.
44번째 줄: 44번째 줄:
 
* '''[[오혁]]''' : 옥션의 초기 창업자이다. 전 공동대표이기도 하다. 1996년 3월, 컨설팅 사업을 주로 진행하는 [[㈜일사랑정보]]를 창업한 뒤, 1998년 국내 최초 인터넷 경매 사이트로 창업했다. 당시 오혁은 회사의 지분 2.7%를 가지고 있었지만, 당시 대주주이자 투자자인 [[KTB네트워크]] [[권성문]] 사장이 옥션의 경영권을 [[이베이]]로 넘겨주어 갈등이 빚어졌다. 오혁은 옥션이 이베이에 매각된 후, 당시의 내외적인 다른 이유와 함께 고려하여 2001년에 옥션의 대표직을 사임했다. 2002년 2월 12일에 39세의 나이로 공동대표직을 그만두고 물러났다. 퇴임한 후에는 2005년 8월에 [[필리핀]]의 경제특구인 [[클락]]으로 향하여 또 다른 옥션인 [[필리핀 옥션]]을 창업했다.<ref name="오혁 위키백과"> 오혁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D%98%81_(%EA%B8%B0%EC%97%85%EC%9D%B8)</ref><ref name="[Why] 한국 옥션 창립자 오혁이 필리핀 간 까닭은…"> 김성민,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9/11/2009091101296.html 한국 옥션 창립자 오혁이 필리핀 간 까닭은… ]〉, 《조선일보》, 2009-09-12</ref><ref name="오혁 옥션 공동대표 사임">천광암,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010112/7634410/1 오혁 옥션 공동대표 사임 ]〉, 《동아일보》, 2001-01-12</ref>
 
* '''[[오혁]]''' : 옥션의 초기 창업자이다. 전 공동대표이기도 하다. 1996년 3월, 컨설팅 사업을 주로 진행하는 [[㈜일사랑정보]]를 창업한 뒤, 1998년 국내 최초 인터넷 경매 사이트로 창업했다. 당시 오혁은 회사의 지분 2.7%를 가지고 있었지만, 당시 대주주이자 투자자인 [[KTB네트워크]] [[권성문]] 사장이 옥션의 경영권을 [[이베이]]로 넘겨주어 갈등이 빚어졌다. 오혁은 옥션이 이베이에 매각된 후, 당시의 내외적인 다른 이유와 함께 고려하여 2001년에 옥션의 대표직을 사임했다. 2002년 2월 12일에 39세의 나이로 공동대표직을 그만두고 물러났다. 퇴임한 후에는 2005년 8월에 [[필리핀]]의 경제특구인 [[클락]]으로 향하여 또 다른 옥션인 [[필리핀 옥션]]을 창업했다.<ref name="오혁 위키백과"> 오혁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D%98%81_(%EA%B8%B0%EC%97%85%EC%9D%B8)</ref><ref name="[Why] 한국 옥션 창립자 오혁이 필리핀 간 까닭은…"> 김성민,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9/11/2009091101296.html 한국 옥션 창립자 오혁이 필리핀 간 까닭은… ]〉, 《조선일보》, 2009-09-12</ref><ref name="오혁 옥션 공동대표 사임">천광암,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010112/7634410/1 오혁 옥션 공동대표 사임 ]〉, 《동아일보》, 2001-01-12</ref>
  
* '''[[이금룡]]''' : 옥션의 전 공동대표이다. 옥션의 대주주인 [[권성문]]이 영입한 전문경영인이다. [[삼선물산]]의 전 임원을 겸직하기도 했다. 법학을 전공했지만 잠시 은행에서 근무하다가 삼성물산으로 이동했다. 그리고 옥션이 창업된 지 1년 후, 1999년 9월에 전문경영인으로서 옥션에 영입이 되었다. 옥션의 대표이사 [[오혁]]과 공동대표이사로 활동하며 기술 및 해외 부문을 맡았고, 그와 동시에 삼성물산의 인터넷 사업 부문의 임원도 함께 역임하였다. 2002년 7월, 51세의 나이로 사장직에서 물러났지만, 대표직에서 사퇴한 이유에 대한 언급은 거부했다. 비슷한 시기에 이금룡, 오혁 두 대표가 그만둔 것과 관련한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전 옥션 사장 이금룡의 후임으로는 전 [[두루넷]] 사장 [[이재현]]이 뒤를 이었다. 옥션을 그만둔 뒤에는 [[㈜코글로닷컴]]을 설립하고, 청년을 위한 강연을 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ref name="이금룡 코글로닷컴 대표 "성공, 공간 아닌 시간에 달려…한 우물 오래 파야""> 박현욱, 〈[https://www.sedaily.com/NewsVIew/1L2N2OWMVR 이금룡 코글로닷컴 대표 "성공, 공간 아닌 시간에 달려…한 우물 오래 파야" ]〉, 《서울경제》, 2016-10-10</ref><ref name="㈜코글로닷컴 이금룡 CEO 인사말"> ㈜코글로닷컴 공식 홈페이지, 〈[http://www.koglo.com/ceo-message/ ㈜코글로닷컴 이금룡 CEO 인사말 ]〉, 《코글로닷컴》</ref>
+
* '''[[이금룡]]''' : 옥션의 전 공동대표이다. 옥션의 대주주인 [[권성문]]이 영입한 전문경영인이다. [[삼선물산]]의 전 임원이기도 하다. 법학을 전공했지만 잠시 은행에서 근무하다가 삼성물산으로 이동했다. 그리고 옥션이 창업된 지 1년 후, 1999년 9월에 전문경영인으로서 옥션에 영입이 되었다. 옥션의 대표이사 [[오혁]]과 공동대표이사로 활동하며 기술 및 해외 부문을 맡았고, 그와 동시에 삼성물산의 인터넷 사업 부문의 임원도 함께 역임하였다. 2002년 7월, 51세의 나이로 사장직에서 물러났지만, 대표직에서 사퇴한 이유에 대한 언급은 거부했다. 비슷한 시기에 이금룡, 오혁 두 대표가 그만둔 것과 관련한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전 옥션 사장 이금룡의 후임으로는 전 [[두루넷]] 사장 [[이재현]]이 뒤를 이었다. 옥션을 그만둔 뒤에는 [[㈜코글로닷컴]]을 설립하고, 청년을 위한 강연을 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ref name="이금룡 코글로닷컴 대표 "성공, 공간 아닌 시간에 달려…한 우물 오래 파야""> 박현욱, 〈[https://www.sedaily.com/NewsVIew/1L2N2OWMVR 이금룡 코글로닷컴 대표 "성공, 공간 아닌 시간에 달려…한 우물 오래 파야" ]〉, 《서울경제》, 2016-10-10</ref><ref name="㈜코글로닷컴 이금룡 CEO 인사말"> ㈜코글로닷컴 공식 홈페이지, 〈[http://www.koglo.com/ceo-message/ ㈜코글로닷컴 이금룡 CEO 인사말 ]〉, 《코글로닷컴》</ref>
  
 
* '''[[변광윤]]''' : 옥션을 인수하여 운영한 [[㈜이베이코리아]] 대표이사를 맡았다. 대한민국 [[전자상거래]] 리더 10인 중 한 명이기도 하다. [[홍익대학교]] 기계공학과를 나와 [[엘지전자㈜]]와 [[삼성엔지니어링㈜]]을 거쳐 2000년에 옥션의 과장으로 입사했다. 옥션의 본부장과 [[지마켓]]의 상무 자리를 거쳤다. 지마켓과 옥션에서 마케팅, 영업, 전략 등 기업의 핵심부서의 다수를 두루두루 경험해본 후, 입사 후 13년 만에 사장 자리에 올랐다. ㈜이베이코리아는 2011년 기존의 옥션과 지마켓이 합병하면서 탄생했고, 15년 연속 흑자를 기록하는 기업이다. 하지만 2015년을 기점으로 영업이익률이 크게 감소하여 2018년에는 10%에서 4.9%로 하락하고, 매출원가율은 상승했다. 관련업계 내외에선 매각에 대한 소문이 돌고 있다.<ref name="변광윤 이베이코리아 사장">나병현,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naver&num=41673 변광윤 이베이코리아 사장]〉, 《비즈니스포스트》, 2017-01-31</ref>
 
* '''[[변광윤]]''' : 옥션을 인수하여 운영한 [[㈜이베이코리아]] 대표이사를 맡았다. 대한민국 [[전자상거래]] 리더 10인 중 한 명이기도 하다. [[홍익대학교]] 기계공학과를 나와 [[엘지전자㈜]]와 [[삼성엔지니어링㈜]]을 거쳐 2000년에 옥션의 과장으로 입사했다. 옥션의 본부장과 [[지마켓]]의 상무 자리를 거쳤다. 지마켓과 옥션에서 마케팅, 영업, 전략 등 기업의 핵심부서의 다수를 두루두루 경험해본 후, 입사 후 13년 만에 사장 자리에 올랐다. ㈜이베이코리아는 2011년 기존의 옥션과 지마켓이 합병하면서 탄생했고, 15년 연속 흑자를 기록하는 기업이다. 하지만 2015년을 기점으로 영업이익률이 크게 감소하여 2018년에는 10%에서 4.9%로 하락하고, 매출원가율은 상승했다. 관련업계 내외에선 매각에 대한 소문이 돌고 있다.<ref name="변광윤 이베이코리아 사장">나병현,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naver&num=41673 변광윤 이베이코리아 사장]〉, 《비즈니스포스트》, 2017-01-31</ref>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