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톨로지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온톨로지 로고.png|썸네일|200픽셀|'''온톨로지'''(ONT)]]
+
[[파일:온톨로지가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온톨로지가스'''(ONG) 로고]]
[[파일:온톨로지 글자.png|썸네일|300픽셀|'''온톨로지'''(ONT)]]
+
[[파일:온톨로지가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온톨로지가스'''(ONG) 로고와 글자]]
[[파일:온톨로지가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온톨로지가스'''(ONG)]]
 
[[파일:온체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온체인 (회사)|온체인]]'''(Onchain)]]
 
  
'''온톨로지'''(Ontology, 本体, 본체)는 신뢰 기반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차세대 멀티체인 퍼블릭 플랫폼이다. '''[[리준]]'''<!--리 준, 준 리-->(Li Jun)<!--Jun Li-->이 중국의 이더리움이라고 불리는 [[네오]](NEO) 창시자인 [[다홍페이]]와 공동 창업한 [[온체인 (회사)|온체인]](Onchain) 회사에서 개발했다. 온톨로지의 토큰은 2종류로, 온톨로지(ONT) 토큰과 온톨로지가스<!--온톨로지 가스-->(ONG) 토큰으로 구성되어 있다. '''온톨로지'''('''ONT''') 토큰은 네트워크의 의사결정을 위해서 사용하고, '''온톨로지가스'''('''ONG''') 토큰은 [[스마트 계약]] 실행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2018년 6월 27일 온톨로지 [[메인넷]]을 론칭하였다. 2024년 3월 24일 기준,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온톨로지토큰<!--온톨로지 토큰-->(ONT)은 시가총액 약 3,978억 원으로 249위를 기록하고 있고, 10억 개의 ONT 총발행량 대비 약 8억7천5백만개가 유통되어 거래되고 있다. 온톨로지가스<!--온톨로지 가스-->(ONG)의 시가 총액은 2024년 3월 24일 기준으로 약 1868억 원으로 389위를 차지하고 있다.<ref>"[https://coinmarketcap.com/currencies/ontology/ Rankings Ontology]", ''CoinMarketCap''</ref>
+
'''온톨로지'''(Ontology, 本体)는 신뢰 기반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차세대 멀티체인 퍼블릭 플랫폼이다. [[리준]]<!--리 준, 준 리-->(Li Jun)<!--Jun Li-->이 중국의 이더리움이라고 불리는 [[네오]](NEO) 창시자인 [[다홍페이]]와 공동 창업한 [[온체인]] 회사에서 개발했다. 온톨로지의 토큰은 2종류로, 온톨로지(ONT) 토큰과 온톨로지가스<!--온톨로지 가스-->(ONG) 토큰으로 구성되어 있다. '''온톨로지'''('''ONT''') 토큰은 네트워크의 의사결정을 위해서 사용하고, '''온톨로지가스'''('''ONG''') 토큰은 [[스마트 계약]] 실행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2018년 6월 27일 온톨로지 [[메인넷]]을 론칭하였다. 2019년 1월 기준,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온톨로지토큰<!--온톨로지 토큰-->(ONT)은 시가총액 약 2,100억 원으로 31위를 기록하고 있고, 10억 개의 ONT 총발행량 대비 약 2억 9백개가 유통되어 거래되고 있다. 온톨로지가스<!--온톨로지 가스-->(ONG)의 시가 총액은 2019년 1월 기준으로 약 2,000억 원으로 27위를 차지하고 있다.<ref>"[https://coinmarketcap.com/currencies/ontology/ Rankings Ontology]", ''CoinMarketCap''</ref>
  
 
== 개요 ==
 
== 개요 ==
 
[[파일:온톨로지-01.jpg|썸네일|400픽셀|'''온톨로지'''(Ontology)]]
 
[[파일:온톨로지-01.jpg|썸네일|400픽셀|'''온톨로지'''(Ontology)]]
  
온톨로지의 모회사인 [[온체인 (회사)|온체인]]은 기업을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 개발에 참여해 왔고, [[퍼블릭 블록체인]]의 경험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온체인은 큰 범위의 시스템에서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게다가 최근 퍼블릭 블록체인은 특정 시나리오를 서비스할 수 없는 성능 문제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성능과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 모두에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퍼블릭 블록체인에 대한 요구로 온톨로지가 탄생하게 되었다.
+
온톨로지의 모회사인 [[온체인]]은 기업을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 개발에 참여해 왔고, [[퍼블릭 블록체인]]의 경험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온체인은 큰 범위의 시스템에서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게다가 최근 퍼블릭 블록체인은 특정 시나리오를 서비스할 수 없는 성능 문제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성능과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 모두에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퍼블릭 블록체인에 대한 요구로 온톨로지가 탄생하게 되었다.
  
 
온톨로지는 중국 최초의 암호화폐인 [[네오]]를 기반으로 하는 분산 신뢰 협력 플랫폼이다. 신뢰가 필요한 광범위하고 다양한 산업 부문에서 사용하도록 디지털 신원 프레임워크와 데이터 거래 프로토콜 등을 제공한다. 또,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 공급업체가 복잡한 시스템과 기술 없이 분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온톨로지의 분산 인프라는 신뢰 서비스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해 여러 앱 서비스에 연결되고, 탈중앙 인증기관을 통합하며, 분산 디지털 시스템을 사람·자산·사물·사건 등 실제 경제의 모든 측면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화된 신뢰 협력 시스템을 위하여 인프라, 모듈과 프로토콜, 공통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보험, 헬스케어, 금융, 정부 기관 및 공공 복지, 저작권, 광고 등과 같은 사업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 컨트랙트 시스템도 포함하고 있다.  
 
온톨로지는 중국 최초의 암호화폐인 [[네오]]를 기반으로 하는 분산 신뢰 협력 플랫폼이다. 신뢰가 필요한 광범위하고 다양한 산업 부문에서 사용하도록 디지털 신원 프레임워크와 데이터 거래 프로토콜 등을 제공한다. 또,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 공급업체가 복잡한 시스템과 기술 없이 분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온톨로지의 분산 인프라는 신뢰 서비스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해 여러 앱 서비스에 연결되고, 탈중앙 인증기관을 통합하며, 분산 디지털 시스템을 사람·자산·사물·사건 등 실제 경제의 모든 측면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화된 신뢰 협력 시스템을 위하여 인프라, 모듈과 프로토콜, 공통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보험, 헬스케어, 금융, 정부 기관 및 공공 복지, 저작권, 광고 등과 같은 사업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 컨트랙트 시스템도 포함하고 있다.  
18번째 줄: 16번째 줄:
 
[[파일:리준.jpg|썸네일|200픽셀|'''[[리준]]'''(Li Jun)]]
 
[[파일:리준.jpg|썸네일|200픽셀|'''[[리준]]'''(Li Jun)]]
 
[[파일:다홍페이.jpg|썸네일|200픽셀|'''[[다홍페이]]'''(Da Hongfei)]]
 
[[파일:다홍페이.jpg|썸네일|200픽셀|'''[[다홍페이]]'''(Da Hongfei)]]
[[파일:지쪼우동.jpg|썸네일|200픽셀|'''[[지쪼우동]]'''(季宙栋)]]
 
[[파일:제시 류.jpg|썸네일|200픽셀|'''[[제시 류]]'''(Jesse Liu) 마케팅 책임자]]
 
  
* '''[[리준]]'''<!--리 준-->(Li Jun) : 온톨로지 창시자이다. 컴퓨터공학 학사, 커뮤니케이션 엔지니어링 석사, MBA, PMP 등 여러 개의 학위와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인포시스]](Infosys), 중국 금융선물거래소 등을 거치면서 기획과 시스템 설계 및 기술 관리 업무를 16년 동안 경험해 온 IT와 핀테크 분야의 전문가이다. 그는 여러 기술 팀과 많은 주요 시스템의 아키텍처 설계 및 기술 관리에 참여해 왔다. 또한 금융업계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갖고 있고, 내부 경영 및 외부 커뮤니케이션에도 탁월한 능력을 갖고 있다. 리준은 블록체인 기술을 접한 후 블록체인이 금융 이외에 다양한 분야에도 쓰일 수 있다는 신념으로 2016년 [[네오]]의 설립자인 [[다홍페이]]와 함께 [[온체인 (회사)|온체인]]을 공동 설립하였다. 온톨로지는 온체인으로부터 만들어진 회사로, 코어 개발팀의 대부분은 온체인 출신의 개발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70명의 코어 멤버들 중 50명이 엔지니어이다. 무엇보다 네오를 포함한 외부의 기술 커뮤니티와 기관 기술 파트너들을 통해 많은 도움을 받고 있기도 하다.
+
* '''[[리준]]'''<!--리 준-->([[Li Jun]]) : 온톨로지 창시자이다. 컴퓨터공학 학사, 커뮤니케이션 엔지니어링 석사, MBA, PMP 등 여러 개의 학위와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인포시스]](Infosys), 중국 금융선물거래소 등을 거치면서 기획과 시스템 설계 및 기술 관리 업무를 16년 동안 경험해 온 IT와 핀테크 분야의 전문가이다. 그는 여러 기술 팀과 많은 주요 시스템의 아키텍처 설계 및 기술 관리에 참여해 왔다. 또한 금융업계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갖고 있고, 내부 경영 및 외부 커뮤니케이션에도 탁월한 능력을 갖고 있다. 리준은 블록체인 기술을 접한 후 블록체인이 금융 이외에 다양한 분야에도 쓰일 수 있다는 신념으로 2016년 [[네오]]의 설립자인 [[다홍페이]]와 함께 [[온체인]]을 공동 설립하였다. 온톨로지는 온체인으로부터 만들어진 회사로, 코어 개발팀의 대부분은 온체인 출신의 개발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70명의 코어 멤버들 중 50명이 엔지니어이다. 무엇보다 네오를 포함한 외부의 기술 커뮤니티와 기관 기술 파트너들을 통해 많은 도움을 받고 있기도 하다.
  
 
* '''[[다홍페이]]<!--다 홍페이-->'''(Da Hongfei) : 온톨로지 공동 창시자이다. 중국 최초의 암호화폐인 [[네오]](NEO)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그는 남중국공과대학에서 영어 학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 비트코인을 알게 된 후 블록체인 산업에 뛰어들었다. 2014년 1월 [[앤트셰어]](AntShares)라는 이름의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했고, 2017년 6월 네오(NEO)로 이름을 변경했다. 네오는 스타트 계약 플랫폼으로서, 중국판 이더리움이라고 불린다.
 
* '''[[다홍페이]]<!--다 홍페이-->'''(Da Hongfei) : 온톨로지 공동 창시자이다. 중국 최초의 암호화폐인 [[네오]](NEO)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그는 남중국공과대학에서 영어 학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 비트코인을 알게 된 후 블록체인 산업에 뛰어들었다. 2014년 1월 [[앤트셰어]](AntShares)라는 이름의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했고, 2017년 6월 네오(NEO)로 이름을 변경했다. 네오는 스타트 계약 플랫폼으로서, 중국판 이더리움이라고 불린다.
 
* '''[[지쪼우동]]'''(季宙栋, {{발음|季宙栋}}) : 온톨로지의 공동창시자 겸 최고전략책임자(CSO)이다. 그는 [[완다네트워크테크놀리지]](万达网络科技) 그룹 혁신센터 부사장으로, 중국 블록체인 기술과 산업 발전 포럼의 부비서장, [[하이퍼레저]](Hyperledger, 超级账本)의 이사회 멤버, 중국전자학회(中国电子学会) 블록체인 전문가위원회 위원, ISO/IEC TC307 중국대표단 구성원, 칭다우 블록체인 생태계연합(青岛区块链生态联盟) 부회장 등 직책을 맡은 바 있다. 그는 블록체인 업계의 풍부한 경력을 가진 전문가로서 중국 공신부(工信部) 블록체인 백서 및 관련 표준 편성, 블록체인 개발지침서 작성 등 전문서적을 다루는 다양한 블록체인 커뮤니티에 참여하고 있다.
 
 
* '''[[제시 류]]'''(Jesse Liu) : 온톨로지의 마케팅 책임자이다.
 
  
 
== 등장 배경 ==
 
== 등장 배경 ==
85번째 줄: 77번째 줄:
 
*'''온톨로지 커먼'''(Ontology Common)
 
*'''온톨로지 커먼'''(Ontology Common)
  
온톨로지 커먼은 공통 모듈과 프로토콜을 제공하므로써 블록체인 상의 다양한 데이터를 원활하게 교환하고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다양한 산업에 적용시킬 수 있는 기초가 된다. 네 가지 공통 모듈인 신원 관리 모듈, 데이터 공급원 관리 모듈, 스마트 계약 거래 모듈, P2P 커뮤니케이션 모듈로 설계되었다. 온톨로지 커먼은 프로토콜 설계, 모듈 설계, 규칙 설계를 바탕으로 기술적 설계가 되어 있다. 프로토콜 설계의 특징은 다른 프로토콜과의 호환성과 확장성이 있는 형태로 개발 중이다. 모듈 설계는 파트너가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도록 많은 기본 모듈(basic modules)을 고안했다. 다른 블록체인 프로토콜 사이에 정해진 규칙을 사용하여 분산 신원 확인, 분산 데이터 거래, 분산 신뢰 전송 등이 정확하고 빠르게 진행이 되도록 하여 파트너 사이의 협업과 사업 협력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인프라 환경의 제약이 없고, 기술적 지식 레벨이 깊지 않은 개발자들이 쉽게 적용하여 만들 수 있는 커먼 모듈을 제공한다.온톨로지의 컨센서스 모듈을 이용하여 성능과 탈중앙화 사이의 인프라 레벨의 적절한 균형점을 찾을 수 있다. 다른 암호화폐 프로젝트들 중에는 [[리스크]], [[이오스트]], [[부머]] 등과 유사하다.  
+
온톨로지 커먼은 공통 모듈과 프로토콜을 제공하므로써 블록체인 상의 다양한 데이터를 원활하게 교환하고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다양한 산업에 적용시킬 수 있는 기초가 된다. 네 가지 공통 모듈인 신원 관리 모듈, 데이터 공급원 관리 모듈, 스마트 계약 거래 모듈, P2P 커뮤니케이션 모듈로 설계되었다. 온톨로지 커먼은 프로토콜 설계, 모듈 설계, 규칙 설계를 바탕으로 기술적 설계가 되어 있다. 프로토콜 설계의 특징은 다른 프로토콜과의 호환성과 확장성이 있는 형태로 개발 중이다. 모듈 설계는 파트너가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도록 많은 기본 모듈(basic modules)을 고안했다. 다른 블록체인 프로토콜 사이에 정해진 규칙을 사용하여 분산 신원 확인, 분산 데이터 거래, 분산 신뢰 전송 등이 정확하고 빠르게 진행이 되도록 하여 파트너 사이의 협업과 사업 협력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인프라 환경의 제약이 없고, 기술적 지식 레벨이 깊지 않은 개발자들이 쉽게 적용하여 만들 수 있는 커먼 모듈을 제공한다.온톨로지의 컨센서스 모듈을 이용하여 성능과 탈중앙화 사이의 인프라 레벨의 적절한 균형점을 찾을 수 있다. 다른 암호화폐 프로젝트들 중에는 [[리스크]], [[이오스트]], [[부모]] 등과 유사하다.  
  
 
*'''온톨로지 커스텀'''(Ontology Custom)
 
*'''온톨로지 커스텀'''(Ontology Custom)
113번째 줄: 105번째 줄:
 
*'''자산 관리''' - 다이아몬드, 브랜드, 자동차 대여 밒 판매, 주택 담보 대출, 토지 소유권, 자산의 디지털화
 
*'''자산 관리''' - 다이아몬드, 브랜드, 자동차 대여 밒 판매, 주택 담보 대출, 토지 소유권, 자산의 디지털화
 
*'''정부''' - 투표, 차량 등록, 수익 분배, 저작권, 학위 증명<ref name="온톨로지 생태계 백서"></ref>
 
*'''정부''' - 투표, 차량 등록, 수익 분배, 저작권, 학위 증명<ref name="온톨로지 생태계 백서"></ref>
 
==제휴==
 
 
===STP네트워크===
 
2018년 7월, 기존의 전략적 제휴를 강화하고 두 커뮤니티 내 강력한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STP 네트워크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하였다. STP 네트워크는 온톨로지의핵심 파트너로서 커뮤니티, 마케팅 및 운영 리소스를 지원하는 것 뿐 아니라, 온톨로지 네트워크 위에 컴플라이언스 레이어를 제공하여 온톨로지 체인 위에서도 컴플라이언스를 충족하는 모든 자산의 토큰화를 지원하기로 하였다.<ref> Standard Tokenization Protocol
 
, 〈[https://medium.com/@StandardTokenizationProtocol/stp-%EB%84%A4%ED%8A%B8%EC%9B%8C%ED%81%AC-%EC%98%A8%ED%86%A8%EB%A1%9C%EC%A7%80%EB%A1%9C%EB%B6%80%ED%84%B0-%EC%A0%84%EB%9E%B5%EC%A0%81-%ED%88%AC%EC%9E%90-%EC%9C%A0%EC%B9%98-a00bdf8494af STP 네트워크, 온톨로지로부터 전략적 투자 유치]〉, 《미디엄》, 2018-07</ref>
 
 
===네오===
 
2018년 7월 10일, 상하이에 기반을 둔 블록체인 R&D회사인 Onchain에 그 뿌리를 두고있는 [[네오]]와 온톨로지는 4,000만 달러 규모의 에어드롭으로 제휴하였다. NEO를 소지한 모든 사용자들은 1NEO당 0.1ONT를 지급 받을 것이라 발표하였으며, 사용자들은 ONT블록체인에서 NEO의 개인키를 사용하여 무료 에어드랍에 액세스할 수 있다.<ref>Andy Peterson, 〈[https://www.ccn.com/free-coins-neo-partners-with-ont-for-a-40m-airdrop/
 
Free Coins: NEO Partners with ONT for a $40M Airdrop]〉, 《CNN》, 2018-07-10</ref>
 
 
===한국웹툰산업협회===
 
2019년 5월 16일, 한국 웹툰산업협회와 MOU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다. 이 협약으로 체결 함으로서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산업 발전을 위한시스템 구축과 블록체인 콘텐츠/웹툰 관련 사업 수행 및 공동사업 추진을 지원하고 나아가 한국 콘텐츠 및 블록체인 산업의 발전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상호 협력 하에 공동 진행해 나가기로 하였다.<ref> 김현아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198406622489576&mediaCodeNo=257
 
웹툰에 퍼블릭 블록체인 접목..웹툰산업협회, 온톨로지와 제휴]〉, 《이데일리》, 2019-05-16</ref>
 
 
==로드맵==
 
 
===2019년 1분기===
 
*TestNet의 Cross-Chain(WASM, MPT, TEE)
 
*WASM-VM 최적화(C /C++)
 
*노드 인센티브 모델 : [[디앱]] 가스 요금 공유
 
*다층 샤딩<ref>샤딩(Sharding)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파티셔닝하는 기술</ref> POC<ref>POC : 신기술이 적용된 신제품을 직접 보고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시장에 소개하는 사전 검증의 개념</ref>
 
*TestNet의 모듈 최적화
 
 
===2019년 2분기===
 
*TestNet의 다층 샤딩
 
*하이브리드 스토리지 솔루션
 
 
===2019년 3분기===
 
*다층샤딩
 
*다층, 다중 체인 비즈니스 생태계
 
 
===2019년 4분기===
 
*다층, 다중 체인 비즈니스 솔루션
 
*이기종 교차 사술 POC
 
 
===2020년===
 
*메인넷 버전 2.0 출시
 
 
===2021년===
 
*온톨로지EVM(Ethereum Virtual Machine) TestNet 출시
 
*ONT 로그인 및 ONT TAG 출시
 
 
===2022년===
 
*온톨로지EVM 공식 출시
 
*OWN(Ontology Web3 Network) ID 프로토콜 계층 최적화
 
*ONT ID 생태계 확장
 
 
===2023년===
 
*온톨로지 메인넷 성능 최적화
 
*노드/유저 스테이킹 기능 및 UI 최적화
 
*Ontology EVM Web3 인터페이스 개선, EVM 프로젝트 액세스 비용 감소
 
*보안 강화 및 Web3 인프라 확장
 
 
===2024년===
 
*온톨로지 블록체인의 전방위 상호운용성 제공
 
*Goshen Network와의 통합
 
*블록체인 보안 강화
 
*ONT 스테이킹 확장(stONT 출시)
 
*분산형 ID(DID) 도입 및 적용 추진
 
 
==평가 및 전망==
 
 
온톨로지는 일련의 완전한 [[분산 원장]]과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하는 새로운 고성능 [[블록체인]]을 제공함으로서 차세대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이자 분산화 신뢰 공동 작업을 위한 플랫폼으로 평가받는다. 온톨로지 블록체인 프레임워크는 퍼블릭 블록체인 시스템을 지원하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로 다른 [[퍼블릭 블록체인]]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프로토콜]] 그룹을 가진 체인 간의 협력을 지원하며, 분산 디지털 신원 [[프레임워크]]와 분산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분산화 시나리오에 대한 기저 인프라 커먼 모듈을 꾸준히 제공한다.
 
 
온톨로지는 2019년 5월 서울창업허브에서 '온톨로지 X 블체인 게임'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설명회를 갖고, 게임 개발자와 블록체인에 관심이 있는 회사, 그리고 기존 플랫폼에 서비스 중인 게임업체 등 다양한 곳에 지원을 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며, 앞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게임 관련 분야에서 혁신을 꾀할 것이란 전망이다.<ref>최진승 기자, 〈[https://www.be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4499 블록체인 게임 투자 선언... 온톨로지의 장점은?]〉, 《비아이뉴스》, 2019-05-12</ref>
 
  
 
==향후 계획==
 
==향후 계획==
온톨로지의 목표는 중국 최고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거듭나는 동시에 2020년까지 세계 10위권 안에 드는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신뢰 기반의 플랫폼이 실질적인 비즈니스 모델과 연결되도록 온톨로지는 각각의 산업에서 필요한 개인 간 거래(P2P)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블록체인 인프라를 구축한 후, 공공인증을 필요로 하는 기업들이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 즉, 기술적 부분을 넘어 생태계 조성에 공을 들일 예정이다. 실제로 작동하는 디앱에 도전하는 다양한 산업군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단순 기술력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설계와 운영 단계에 주력한다는 것이다.<ref>오세성 기자,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083542g (코인터뷰) "블록체인 핵심은 코드 개발…독창적이어야 살아남는다"]〉, 《한국경제》, 2018-09-09</ref> 물론 매 분기마다 기능 업그레이드를 통해 전체 플랫폼의 적용 범위를 확장하며 엔지니어링 설계와 업그레이드 조정, 품질 관리 및 기타 문제도 개선해 나갈 것이다. 이를 통해 다른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완전한 독립형 제품으로 사용되길 바라고 있다. 그밖에 온톨로지가 중국 코인인 만큼, 중국 정부와의 논의도 긴밀하게 주고 받고 있어 정부가 온톨로지 거버넌스 모델의 일부를 담당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대한 지원해 주고 있어 계속 상부상조해 나갈 예정이다.
+
온톨로지의 목표는 중국 최고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거듭나는 동시에 2020년까지 세계 10위권 안에 드는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신뢰 기반의 플랫폼이 실질적인 비즈니스 모델과 연결되도록 온톨로지는 각각의 산업에서 필요한 개인 간 거래(P2P)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블록체인 인프라를 구축한 후, 공공인증을 필요로 하는 기업들이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 즉, 기술적 부분을 넘어 생태계 조성에 공을 들일 예정이다. 실제로 작동하는 디앱에 도전하는 다양한 산업군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단순 기술력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설계와 운영 단계에 주력한다는 것이다.<ref>오세성 기자,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083542g (코인터뷰) "블록체인 핵심은 코드 개발…독창적이어야 살아남는다"]〉, 《한국경제》, 2018-09-09</ref> 물론 매 분기마다 기능 업그레이드를 통해 전체 플랫폼의 적용 범위를 확장하며 엔지니어링 설계와 업그레이드 조정, 품질 관리 및 기타 문제도 개선해 나갈 것이다. 이를 통해 다른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완전한 독립형 제품으로 사용되길 바라고 있다. 그밖에 온톨로지가 중국 코인인 만큼, 중국 정부와의 논의도 긴밀하게 주고 받고 있어 정부가 온톨로지 거버넌스 모델의 일부를 담당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대한 지원해 주고 있어 계속 상부상조해 나갈 예정이다.  
  
 
{{각주}}
 
{{각주}}
198번째 줄: 124번째 줄:
 
* "[https://coinmarketcap.com/currencies/ontology/ Ontology (ONT)]", ''coinmarketcap'', 2018-11-12
 
* "[https://coinmarketcap.com/currencies/ontology/ Ontology (ONT)]", ''coinmarketcap'', 2018-11-12
 
* 핵심만 콕콕! 암호화폐 분석, 〈[https://cryptochain.tistory.com/52 온톨로지(Ontology)는 무엇인가? 네오(NEO)와 함께 가는 새로운 블록체인 플랫폼]〉, 《블록센스》, 2018-07-03
 
* 핵심만 콕콕! 암호화폐 분석, 〈[https://cryptochain.tistory.com/52 온톨로지(Ontology)는 무엇인가? 네오(NEO)와 함께 가는 새로운 블록체인 플랫폼]〉, 《블록센스》, 2018-07-03
* 김성민 기자,〈[http://m.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1759#09nf 블루콘, 온톨로지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시사매거진》, 2019-08-20
 
* 사업확장 - 〈[https://kr.coinness.com/news/401192 블루콘 Exo-Platform과 DeFi 프로젝트 추진]〉, 《CoinNess.com》, 2019-09-17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온체인 (회사)|온체인]]
+
* [[암호화폐]]
 +
* [[암호화폐 종류]]
 +
* [[리준]]
 
* [[네오]]
 
* [[네오]]
* [[리준]]
 
 
* [[다홍페이]]
 
* [[다홍페이]]
* [[지쪼우동]]
 
* [[제시 류]]
 
  
 +
{{로고 필요}}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