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비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프로비트]](Probit)는 ‘가장 안전한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이라는 비전 아래 2019년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후 사용자에게 최고 성능의 매칭 엔진과 폭넓은 거래 선택권을 제공하고, 시장 변화에 적극적으로 발맞추면서 2020년 8월 이더랩(ETHERLAB)의 SimilarWeb 조사에서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방문자 순위 5위를 달성하는 등 빠른 성장을 이뤄냈다.  
 
[[프로비트]](Probit)는 ‘가장 안전한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이라는 비전 아래 2019년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후 사용자에게 최고 성능의 매칭 엔진과 폭넓은 거래 선택권을 제공하고, 시장 변화에 적극적으로 발맞추면서 2020년 8월 이더랩(ETHERLAB)의 SimilarWeb 조사에서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방문자 순위 5위를 달성하는 등 빠른 성장을 이뤄냈다.  
 
프로비트는 2019년 론칭 이래 단 한 번의 해킹 이슈도 발생하지 않은 안전한 거래 환경을 자랑한다. 전체 가상 자산의 70%를 오프라인 보관 방식인 ‘콜드 월렛'에 저장 및 관리하고 있으며, 강력한 암호 알고리즘으로 처리되는 데이터와 하드웨어 타입의 강력한 이중인증 계정 접근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전한 거래환경을 제공한다.
 
프로비트는 2019년 론칭 이래 단 한 번의 해킹 이슈도 발생하지 않은 안전한 거래 환경을 자랑한다. 전체 가상 자산의 70%를 오프라인 보관 방식인 ‘콜드 월렛'에 저장 및 관리하고 있으며, 강력한 암호 알고리즘으로 처리되는 데이터와 하드웨어 타입의 강력한 이중인증 계정 접근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전한 거래환경을 제공한다.
프로비트는 블록체인 기술이 가져올 기술 혁신과 자산으로서 코인의 가치 변화가 가져올 미래의 선도자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사용자 자산 보호와 안전한 거래 환경을 최우선으로 지향하며, 코인시장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정부와 당국에 긴밀히 협조하며 더욱 안정적인 가상 자산 거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ref name="홈피">프로비트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probit.kr/ko-kr </ref>
+
프로비트는 블록체인 기술이 가져올 기술 혁신과 자산으로서 코인의 가치 변화가 가져올 미래의 선도자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사용자 자산 보호와 안전한 거래 환경을 최우선으로 지향하며, 코인시장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정부와 당국에 긴밀히 협조하며 더욱 안정적인 가상 자산 거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ref name="홈피">프로비트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probit.kr/ko-kr </ref>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64번째 줄: 65번째 줄:
 
: 이익금의 10%를 적립하여 가상자산 유출 및 탈취를 대비한 손해배상준비금 마련
 
: 이익금의 10%를 적립하여 가상자산 유출 및 탈취를 대비한 손해배상준비금 마련
  
== 연혁 주요 성과 ==
+
== 활용 ==
* 2017. 07 : 핵심 사업팀과 개발팀을 구성하여 개발 착수
+
=== 직톡 ===
* 2019. 01 : 프로비트 거래소 서비스 론칭
+
블록체인 기반 외국어 학습 플랫폼 [[직톡]]이 자사 암호화폐를 원화마켓에 첫 상장한다. 이를 통해 국내시장에서 거래 유동성을 높이고, 직톡 생태계를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직톡은 직(ZIK) 토큰을 암호화폐 거래소 프로비트 원화마켓에 상장한다. 직톡 투자자는 2019년 9월 9일부터 원화를 사용해 직 토큰을 사고팔 수 있게 됐다. 2018년 설립된 프로비트는 올 초 새롭게 원화마켓을 열고 한국 시장 공략을 본격화했다. 현재 암호화폐 시황정보 사이트 코인마켓캡 기준으로 80위권에 진입해 있으며, 일 거래량은 380억 원 규모이다. 프로비트는 연내 300여 개의 암호화폐 상장을 완료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직 토큰은 직톡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한 암호화폐로 직톡에서 제공하는 여러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결제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직톡은 현재 외국어 학습 중심인 서비스를 향후 법률상담, 마케팅 멘토링, 여행안내 등 글로벌 전문가의 재능 판매 플랫폼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심범석 직톡 대표는 "직톡은 베트남과 필리핀, 미국 등 약 25개 국가의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글로벌 서비스로  영어 다음으로 배우고 싶어 하는 언어는 한국어이며, 프로비트 상장을 기점으로 한국어 강사 이용자 확대를 위한 국내 마케팅을 강화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ref>김소라 기자, 〈[https://blockpost.com/tech/49732/ 블록체인 외국어 학습 서비스 '직톡', 프로비트 거래소 원화마켓 상장]〉, 《더블록포스트》, 2019-09-06 </ref> {{자세히|직톡}}
* 2020. 08 :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방문자 순위 5위 달성 (ETHERLAP의 SimilarWeb 조사 기준)
+
 
* 2021. 01 : 고객 원화 예탁금 100억원 돌파
+
=== 마하 프로젝트 ===
* 2021. 02 : 한국인터넷진흥원 KISA 거래소 점검 100% 양호 통과
+
[[파일:마하 프로젝트.PNG|썸네일|400픽셀|'''마하 프로젝트''' 내부]]
* 2021. 03 : 정보관리보호체계(ISMS) 인증 획득
+
마하(MACH) 프로젝트가 라토큰에 이어 프로비트 거래소와 2019년 7월 5일부터 2차 IEO를 진행했다. 이로써 마하는 기존 라토큰(Latoken)과의 IEO 및 상장과 동시에 프로비트까지 두 곳에서 동시에 IEO를 진행하고 동시 상장을 확정했다. 프로비트는 원화 입출금이 가능한 견실한 거래소로, 1초에 150만 건 이상의 주문을 매칭할 수 있는 빠르고 안정적인 거래체결 엔진, 하드웨어 보안키를 지원하는 강력한 보안성, 맞춤설정이 가능한 거래화면, 150개 이상의 코인을 상장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완료됐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프로비트 거래소는 서울대 전기공학부졸업와 김앤장 14년 경력의 변호사 출신 도현수 대표이사를 비롯해 서울대 컴퓨터공학과와 리눅스인터내셔널㈜ 창업자 및 리눅스 전문개발자 출신 우상철 기술 이사, [[뉴욕대학교 스턴 경영대학]](New York University Stern School of Business) 경영학 석사(MBA)와 뉴욕 금융 그룹 본사 근무 윌리엄이사, 서울대 공대 석사 보안 책임자(CSO), 서울대 외교와 석사 홍보이사, 카이스트와 고려대 등 우수한 개발자들이 1년여 기간 동안 공들여서 개발한 글로벌 거래소라 많은 신뢰를 주고 있다.
* 2021. 04 : 사용자 100만 돌파, 지티원 AML Express 구축 완료
+
 
* 2021. 05 :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기업 ‘체이널리시스’와 제휴, 자체 FDS(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 시스템 개발
+
[[IEO]]에 배정된 물량은 최대 100만 마하(MACH)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테더, 자체 유틸리티 토큰인 [[프로비트토큰]](PROB) 등으로 참여했다. 판매 이후 남는 물량은 마하 이코노미 및 투자자들을 위해 전격 소각했다. 프로비트를 통한 IEO는 1 마하 당 1테더 기준으로 진행되었으며, 참여한 투자자들은 20%를 추가 보너스로 받게 된다. IEO 이후 마하는 프로비트에 1달러 이상의 가치로 상장될 예정이다. 마하 프로젝트는 타 암호화폐 프로젝트와는 달리 실체가 있는 프로젝트로 인정받기 위해 공식적인 자금모금 라운딩 이전 [[마켓마하]](Market MACH) 플랫폼을 먼저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최근 베타 서비스를 오픈하며 한 달도 안 된 기간 동안 1만 명에 가까운 회원을 유치했다. 마하 프로젝트는 IEO를 시작으로 2019년 말까지 총 5곳의 국내외 유명 거래소에 상장을 목표로, 최근 전 [[비트코인]](BTC) 코리아 빗썸 부사장 등을 고문으로 영입하는 등 마하 이코노미 구축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ref>이상훈 기자, 〈[http://www.blockchainnews.co.kr/news/view.php?idx=3976 마하 프로젝트, 라토큰 이어 프로비트 거래소서 IEO 및 상장 진행]〉, 《블록체인 뉴스》, 2019-07-08 </ref>
* 2021. 06 : 전 직원 대상 자금세탁방지(AML) 교육 시행
+
 
 +
== 로드맵 ==
 +
* 2017년 3분기 : 핵심 사업팀과 개발팀을 구성하여 개발 착수
 +
* 2018년 1분기 : 내부용 프로비트 거래소를 런칭하는 알파 단계
 +
* 2018년 2분기 : 런칭 준비 시작
 +
* 2018년 3분기 : 백서 발표, 베타버전의 거래 플랫폼 런칭과 PROB 프라이빗 세일
 +
* 2018년 4분기 : PROB 프리세일, 런칭 전 행사, 프로비트 런칭
 +
* 2019년 1분기 : 마진 거래 기능 개발 및 프로비트에 적용, 로컬 시장으로 거래 확장, ICO 플랫폼 개발 및 프로비트에 적용
 +
* 2019년 3분기 : 로컬시장으로 거래소 추가 확장
 +
* 2020년 1분기 : 신규 시장 호주, EU, US로 확장
  
 
==동영상==
 
==동영상==
85번째 줄: 95번째 줄:
 
* 프로비트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probit.kr/ko-kr
 
* 프로비트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probit.kr/ko-kr
 
* 프로비트 백서 - https://static.probit.com/files/probit_whitepaper_ko_v1.0.3.pdf
 
* 프로비트 백서 - https://static.probit.com/files/probit_whitepaper_ko_v1.0.3.pdf
* 임유경 기자, 〈[https://zdnet.co.kr/view/?no=20210623084944 암호화폐 거래소 프로비트, 금융권 출신 준법감시인 영입]〉, 《ZDNet Korea》, 2021-06-23
+
* 김소라 기자, 〈[https://blockpost.com/tech/49732/ 블록체인 외국어 학습 서비스 '직톡', 프로비트 거래소 원화마켓 상장]〉, 《더블록포스트》, 2019-09-06
* 이건엄 기자, 〈[https://www.dailian.co.kr/news/view/1007089/?sc=Naver 프로비트 “은행권 수준 투자자보호 보장한다”]〉, 《데일리안》, 2021-07-01
+
* 이상훈 기자, 〈[http://www.blockchainnews.co.kr/news/view.php?idx=3976 마하 프로젝트, 라토큰 이어 프로비트 거래소서 IEO 및 상장 진행]〉, 《블록체인 뉴스》, 2019-07-08
* 김소라 기자, 〈[https://www.fnnews.com/news/202107081134214982 프로비트,임직원 내부거래 계정 폐쇄…특금법 대응]〉, 《파이낸셜뉴스》, 2021-07-08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