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터스 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히터스 .jpg|썸네일|300픽셀|'''히터스 '''(Hitters Xu)]]
+
[[파일:히터스 .jpg|썸네일|300픽셀|'''히터스 '''(Hitters Xu)]]
 
[[파일:네뷸러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네뷸러스]]'''(Nebulas)]]
 
[[파일:네뷸러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네뷸러스]]'''(Nebulas)]]
[[파일:에프비지캐피탈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에프비지캐피탈]]'''(FBG Capital)]]
 
  
'''히터스 '''<!--히터스쉬, 히터스 슈, 히터스슈-->(Hitters Xu)는 블록체인 [[검색엔진]]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인 '''[[네뷸러스]]'''(Nebulas)의 창시자 겸 중국 블록체인 산업의 선두주자이다. 중국어 이름은 '''쉬이지'''(徐义吉, 서의길, Xu Yiji, {{발음|xú yì jí}})이다. 2013년 중국 최초의 블록체인 및 비트코인 커뮤니티인 [[비츠클럽]](BitsClub)과 중국 최대 규모의 [[ICO]] 플랫폼인 [[ICO365]] 및 중국 최초 암호화폐 투자 펀드인 '''[[에프비지캐피탈]]'''<!--FBG캐피탈-->(FBG Capital)을 설립했다.
+
'''히터스 '''<!--히터스슈-->(Hitters Xu)는 블록체인 [[검색엔진]]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인 '''[[네뷸러스]]'''(Nebulas)의 창시자 겸 중국 블록체인 산업의 선두주자이다. 2013년 중국 최초의 블록체인 및 비트코인 커뮤니티인 [[비츠클럽]](BitsClub)과 중국 최대 규모의 [[ICO]] 플랫폼인 [[ICO365]] 및 중국 최초 암호화폐 투자 펀드인 '''[[에프비지캐피탈]]'''<!--FBG캐피탈-->(FBG Capital)을 설립했다.
  
 
== 생애 ==
 
== 생애 ==
히터스 쉬는 통지대학교의 컴퓨터공학과에 입학했다. 그는 신문동아리에 가입해 활동하는 등 활동적인 대학 생활을 했다. 그는 졸업 후 마이크로소프트에 처음 입사했다. 그는 고객 기술 지원 기사로서 [[ICBC]]와 같은 프리미엄 고객에게 기술을 지원하거나 아시아와 유럽지역에 대한 단계적인 지원을 했다. 이후 그는 [[구글]]에 입사해 웹스팸팀으로 일하기도 했다. 그리고 전자상거래 솔루션 업체 [[네타겟]]을 설립하고 대표가 되었다. 그는 특히 해외 [[B2C]] 사이트를 위한 [[SEM]] 및 [[SEO]]을 설계하고 웹사이트 구축 및 인터넷 마케팅 업무 등에 집중했다. 그는 중국 최초의 오픈 소스 [[블록체인]] 업체인 [[앤트셰어]](現 [[네오]])를 설립하는 데 힘썼다. 그리고 그는 여러 명의 암호화폐 전문가와 함께 중국 상하이에서 [[비트코인]] 결제 [[플랫폼]] [[젬페이]]를 설립하고 대표가 되었다. 이후 그는 [[앤트 파이낸셜]]에서 일하다가 현재는 [[네뷸러스]]를 설립하고 대표이사가 되었다.
+
히터스 슈는 통지대학교의 컴퓨터공학과에 입학했다. 그는 신문동아리에 가입해 활동하는 등 활동적인 대학 생활을 했다. 그는 졸업 후 마이크로소프트에 처음 입사했다. 그는 고객 기술 지원 기사로서 [[ICBC]]와 같은 프리미엄 고객에게 기술을 지원하거나 아시아와 유럽지역에 대한 단계적인 지원을 했다. 이후 그는 [[구글]]에 입사해 웹스팸팀으로 일하기도 했다. 그리고 전자상거래 솔루션 업체 [[네타겟]]을 설립하고 대표가 되었다. 그는 특히 해외 [[B2C]] 사이트를 위한 [[SEM]] 및 [[SEO]]을 설계하고 웹사이트 구축 및 인터넷 마케팅 업무 등에 집중했다. 그는 중국 최초의 오픈 소스 [[블록체인]] 업체인 [[앤트셰어]](現 [[네오]])를 설립하는 데 힘썼다. 그리고 그는 여러 명의 암호화폐 전문가와 함께 중국 상하이에서 [[비트코인]] 결제 [[[플랫폼]] [[젬페이]]를 설립하고 대표가 되었다. 이후 그는 [[앤트 파이낸셜]]에서 일하다가 현재는 [[네뷸러스]]를 설립하고 대표이사가 되었다.  
  
 
== 약력 ==
 
== 약력 ==
21번째 줄: 20번째 줄:
 
== 주요 활동 ==
 
== 주요 활동 ==
 
=== 네오 ===
 
=== 네오 ===
2014년 [[네오]](NEO)는 [[앤트셰어]](Antshares)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진 중국 최초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이다. 중국 블록체인 업체 [[온체인]]의 대표이사인 [[다홍페이]]가 만들었으며, 히터스 쉬도 개발에 함께 참여했다. 2017년 7월 앤트셰어에서 네오로 이름을 바꿨다. 중국의 특성상 해외 소프트웨어보다 자국의 [[텐센트]], [[바이두]] 같은 서비스가 선호되므로 중국에서의 성장 잠재력이 높다.
+
2014년 [[네오]](NEO)는 [[앤트셰어]](Antshares)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진 중국 최초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이다. 중국 블록체인 업체 [[온체인]]의 대표이사인 [[다홍페이]]가 만들었으며, 히터스 슈도 개발에 함께 참여했다. 2017년 7월 앤트셰어에서 네오로 이름을 바꿨다. 중국의 특성상 해외 소프트웨어보다 자국의 [[텐센트]], [[바이두]] 같은 서비스가 선호되므로 중국에서의 성장 잠재력이 높다.
 
네오는 ‘네오 컨트랙트’라는 독자적 오픈 소스 [[스마트 계약]]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통해 [[레드펄스]](RED Pulse) 같은 [[디앱]](dApp)들을 지원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더리움이 [[Solidity]]에서만 작동하는 반면, 네오는 모든 코딩 언어와 호환이 되므로 유저를 모으는 데 유리한 점이 있다. 수수료나 스마트계약, 디앱(dApp)의 결합 능력이 [[이더리움]]과 비슷해 중국의 이더리움으로 불리기도 한다. 네오는 C#, [[자바]](Java), Go와 같은 대중적인 컴퓨터 언어를 지원하고 있어 접근성이 비교적 좋은 편이며, C, C++, [[파이썬]](Python), [[자바스크립트]](JavaScript)까지 확장할 예정이다.  
 
네오는 ‘네오 컨트랙트’라는 독자적 오픈 소스 [[스마트 계약]]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통해 [[레드펄스]](RED Pulse) 같은 [[디앱]](dApp)들을 지원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더리움이 [[Solidity]]에서만 작동하는 반면, 네오는 모든 코딩 언어와 호환이 되므로 유저를 모으는 데 유리한 점이 있다. 수수료나 스마트계약, 디앱(dApp)의 결합 능력이 [[이더리움]]과 비슷해 중국의 이더리움으로 불리기도 한다. 네오는 C#, [[자바]](Java), Go와 같은 대중적인 컴퓨터 언어를 지원하고 있어 접근성이 비교적 좋은 편이며, C, C++, [[파이썬]](Python), [[자바스크립트]](JavaScript)까지 확장할 예정이다.  
 
네오의 암호화폐는 코인인 [[네오 코인]](NEO Coin)과 네트워크에서 연료 역할을 하는 [[네오가스]](NEOgas) 두 가지가 존재한다. 네오 코인은 총 1억 개 발행되었으며, 절반 정도는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배부되었으며, 나머지 절반은 네오위원회가 관리하고 있다.
 
네오의 암호화폐는 코인인 [[네오 코인]](NEO Coin)과 네트워크에서 연료 역할을 하는 [[네오가스]](NEOgas) 두 가지가 존재한다. 네오 코인은 총 1억 개 발행되었으며, 절반 정도는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배부되었으며, 나머지 절반은 네오위원회가 관리하고 있다.
27번째 줄: 26번째 줄:
  
 
=== 젬페이 ===
 
=== 젬페이 ===
[[젬페이]](Gempay)는 히터스 쉬가 여러 명의 암호화폐 전문가와 함께 중국 상하이에 설립했다. 젬페이는 국내 및 해외 결제가 가능한 중국의 첫 번째 비트코인 결제 [[플랫폼]]이다. 젬페이는 국경을 넘나드는 2.0 시대를 열고 수수료가 없는 [[제로 페이]]를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중국의 해외 무역에서 젬페이를 이용해 안전하고 빠르며 분산화된 디지털 통화로 지불할 수 있다. 젬페이는 중국 본토 및 홍콩에 있는 외국 무역 기업들에게 최상의 국제 결제 솔루션을 제공하며, 기업들이 지불한 비트코인을 받아 보관할 수 있으며, 이 과정 동안 수수료는 전혀 부과되지 않는다. 즉 젬페이는 국내 무역만큼이나 간단한 대외 무역을 돕고자 하는 것이다. 젬페이는 수백만 위안을 투자받았다. 한편 젬페이는 [[디지털 지갑]]인 [[젬월렛]]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
[[젬페이]](Gempay)는 히터스 슈가 여러 명의 암호화폐 전문가와 함께 중국 상하이에 설립했다. 젬페이는 국내 및 해외 결제가 가능한 중국의 첫 번째 비트코인 결제 [[플랫폼]]이다. 젬페이는 국경을 넘나드는 2.0 시대를 열고 수수료가 없는 [[제로 페이]]를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중국의 해외 무역에서 젬페이를 이용해 안전하고 빠르며 분산화된 디지털 통화로 지불할 수 있다. 젬페이는 중국 본토 및 홍콩에 있는 외국 무역 기업들에게 최상의 국제 결제 솔루션을 제공하며, 기업들이 지불한 비트코인을 받아 보관할 수 있으며, 이 과정 동안 수수료는 전혀 부과되지 않는다. 즉 젬페이는 국내 무역만큼이나 간단한 대외 무역을 돕고자 하는 것이다. 젬페이는 수백만 위안을 투자받았다. 한편 젬페이는 [[디지털 지갑]]인 [[젬월렛]]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 앤트파이낸셜 ===
+
=== 앤트 파이낸셜 ===
[[앤트파이낸셜]](Ant Financial, 蚂蚁金服)은 2004년 [[알리바바]]가 만든 결제 시스템 ‘[[알리페이]]’에서 출발해 2014년 10월에 출범한 중국의 [[핀테크]] 기업이다. 최근 1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글로벌 유니콘 1위이자 세계 최대의 핀테크 기업으로 거듭났다. 앤트 파이낸셜은 알리페이를 통해 모바일 결제 사업에서 입지를 구축한 후, 머니 마켓 펀드와 소액 대출 등 다른 금융 사업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앤트 파이낸셜은 회사 자신을 ‘금융 서비스업의 모세혈관’이라고 정의했다. 또한 상호의 개미처럼 성실하게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중소기업 및 영세기업, 스타트업, 개인 유저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두 평등하고 그들 스스로의 능력으로 감당 가능한 양질의 금융서비스를 받게 하는 것이 목표이다. 앤트 파이낸셜은 그 사명감과 혁신적 기술을 결합해 개방적이고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신용평가 시스템과 금융서비스 플랫폼을 만들어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앤트 파이낸셜]](Ant Financial, 蚂蚁金服)은 2004년 [[알리바바]]가 만든 결제 시스템 ‘[[알리페이]]’에서 출발해 2014년 10월에 출범한 중국의 [[핀테크]] 기업이다. 최근 1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글로벌 유니콘 1위이자 세계 최대의 핀테크 기업으로 거듭났다. 앤트 파이낸셜은 알리페이를 통해 모바일 결제 사업에서 입지를 구축한 후, 머니 마켓 펀드와 소액 대출 등 다른 금융 사업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앤트 파이낸셜은 회사 자신을 ‘금융 서비스업의 모세혈관’이라고 정의했다. 또한 상호의 개미처럼 성실하게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중소기업 및 영세기업, 스타트업, 개인 유저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두 평등하고 그들 스스로의 능력으로 감당 가능한 양질의 금융서비스를 받게 하는 것이 목표이다. 앤트 파이낸셜은 그 사명감과 혁신적 기술을 결합해 개방적이고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신용평가 시스템과 금융서비스 플랫폼을 만들어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앤트 파이낸셜은 6가지의 핵심 가치(Six Core Values)를 지향하고 있다. 첫 번째는 ‘고객 우선’이며, 두 번째는 ‘팀워크’로 팀원은 책임과 성과를 함께 나누고 팀워크를 다지며 평범한 사람도 특별한 일을 할 수 있다고 믿는 정신을 의미한다. 세 번째는 ‘변화의 수용’이다. 변화에 둔감하고 두려워하지 않으며 혁신적인 생각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네 번째는 ‘정직’이며, 다섯 번째는 열정이다. 마지막 여섯 번째는 프로 정신이다. 항상 프로답게 생각하고 프로답게 성장한다는 의미이다.
 
앤트 파이낸셜은 6가지의 핵심 가치(Six Core Values)를 지향하고 있다. 첫 번째는 ‘고객 우선’이며, 두 번째는 ‘팀워크’로 팀원은 책임과 성과를 함께 나누고 팀워크를 다지며 평범한 사람도 특별한 일을 할 수 있다고 믿는 정신을 의미한다. 세 번째는 ‘변화의 수용’이다. 변화에 둔감하고 두려워하지 않으며 혁신적인 생각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네 번째는 ‘정직’이며, 다섯 번째는 열정이다. 마지막 여섯 번째는 프로 정신이다. 항상 프로답게 생각하고 프로답게 성장한다는 의미이다.
 
앤트 파이낸셜은 최근 홍콩의 스타트업 업체 [[지캐시]](GCash)와 함께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해외 송금 서비스를 시작했다. 홍콩에 거주하는 필리핀 노동자를 위해 시작한 서비스로, 기존 은행 수수료의 10분의 1 정도로 훨씬 더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블록체인 기반으로 거래 데이터를 유저 각각의 장부에 분산해 저장하면서 송금을 하는 방식으로, 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 서비스를 시작한 것은 앤트 파이낸셜이 처음이었다.<ref>김대호 소장, 〈[http://news.g-enews.com/view.php?ud=2018062615053016264a01bf698f_1&md=20180706075917_K (기업분석) 핀테크 1인자, 앤트 파이낸셜 (Ant Financial 蚂蚁金服) …알리바바 마윈의 새 승부수, 블록체인 해외송금 서비스 혁명]〉, 《글로벌이코노믹》, 2018-07-06</ref>
 
앤트 파이낸셜은 최근 홍콩의 스타트업 업체 [[지캐시]](GCash)와 함께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해외 송금 서비스를 시작했다. 홍콩에 거주하는 필리핀 노동자를 위해 시작한 서비스로, 기존 은행 수수료의 10분의 1 정도로 훨씬 더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블록체인 기반으로 거래 데이터를 유저 각각의 장부에 분산해 저장하면서 송금을 하는 방식으로, 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 서비스를 시작한 것은 앤트 파이낸셜이 처음이었다.<ref>김대호 소장, 〈[http://news.g-enews.com/view.php?ud=2018062615053016264a01bf698f_1&md=20180706075917_K (기업분석) 핀테크 1인자, 앤트 파이낸셜 (Ant Financial 蚂蚁金服) …알리바바 마윈의 새 승부수, 블록체인 해외송금 서비스 혁명]〉, 《글로벌이코노믹》, 2018-07-06</ref>
40번째 줄: 39번째 줄:
 
세 번째는 개발자 [[인센티브 프로토콜]](Developer Incentive Protocol)이다. 네뷸러스의 디앱들을 위한 보상 시스템으로 개발자들을 격려하고 디앱의 성장을 돕기 위한 수단이다. 개발자들에게 인센티브 모델을 제공하며, 랭킹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순위가 높은 개발자들이 NAS 코인으로 보상받을 수 있도록 했다.
 
세 번째는 개발자 [[인센티브 프로토콜]](Developer Incentive Protocol)이다. 네뷸러스의 디앱들을 위한 보상 시스템으로 개발자들을 격려하고 디앱의 성장을 돕기 위한 수단이다. 개발자들에게 인센티브 모델을 제공하며, 랭킹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순위가 높은 개발자들이 NAS 코인으로 보상받을 수 있도록 했다.
 
네 번째는 [[헌신 증명]](Proof of Devotion)이다. 랭킹 알고리즘을 통해서 네뷸러스 생태계 내에서 영향력이 큰 계정을 선별한 뒤 블록 형성에 대한 보상으로 NAS 토큰을 보상으로 받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네뷸러스 순위가 높은 계정 순으로 블록생성 권한이 주어지고, [[작업 증명]]([[PoW]])이 가진 에너지 소모의 문제 및 [[지분 증명]]([[PoS]])이 가진 자본 독점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ref>BlockBox, 〈[https://blog.naver.com/blockbox33/221361268063 (코린이 코인집중모드) Nebulas 네뷸러스 : NAS]〉, 《네이버 블로그》, 2018-09-18</ref>
 
네 번째는 [[헌신 증명]](Proof of Devotion)이다. 랭킹 알고리즘을 통해서 네뷸러스 생태계 내에서 영향력이 큰 계정을 선별한 뒤 블록 형성에 대한 보상으로 NAS 토큰을 보상으로 받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네뷸러스 순위가 높은 계정 순으로 블록생성 권한이 주어지고, [[작업 증명]]([[PoW]])이 가진 에너지 소모의 문제 및 [[지분 증명]]([[PoS]])이 가진 자본 독점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ref>BlockBox, 〈[https://blog.naver.com/blockbox33/221361268063 (코린이 코인집중모드) Nebulas 네뷸러스 : NAS]〉, 《네이버 블로그》, 2018-09-18</ref>
네뷸러스는 최근 중국의 정보산업발전연구원(CCID)이 선정한 글로벌 퍼블릭 블록체인 종합 6위에 올랐다. 히터스 쉬는 CCID 평가는 네뷸러스가 퍼블릭 블록체인으로서 가진 잠재성을 보여준 것이며, 긍정적인 피드백을 참고하고 지속해서 발전하는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
네뷸러스는 최근 중국의 정보산업발전연구원(CCID)이 선정한 글로벌 퍼블릭 블록체인 종합 6위에 올랐다. 히터스 슈는 CCID평가는 네뷸러스가 퍼블릭 블록체인으로서 가진 잠재성을 보여준 것이며, 긍정적인 피드백을 참고하고 지속해서 발전하는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 향후 계획 ==
 
== 향후 계획 ==
48번째 줄: 47번째 줄: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 히터스 쉬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hitters/
+
* 히터스 슈, 〈[https://www.linkedin.com/in/hitters/ 히터스 슈 링크드인 Linkedin]〉, 《링크드인》
 
* 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80716021047 "블록체인에 특화된 검색엔진 따로 있다"]〉, 《지디넷코리아》, 2018-07-17
 
* 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80716021047 "블록체인에 특화된 검색엔진 따로 있다"]〉, 《지디넷코리아》, 2018-07-17
 
* 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80315181047 中 블록체인 네오 "2020년엔 비트코인 누른다"]〉, 《지디넷코리아》, 2018-03-15
 
* 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80315181047 中 블록체인 네오 "2020년엔 비트코인 누른다"]〉, 《지디넷코리아》, 2018-03-15
63번째 줄: 62번째 줄:
 
* [[ICO365]]
 
* [[ICO365]]
 
* [[에프비지캐피탈]]
 
* [[에프비지캐피탈]]
* [[조우슈오지]]
 
  
 
{{암호화폐 창시자|검토 필요}}
 
{{암호화폐 창시자|검토 필요}}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
 
{{암호화폐 투자자}}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